• 제목/요약/키워드: whitening effects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4초

멜라노마 세포에서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의 MITF, TRP-1, TRP-2, Tyrosinase mRNA 발현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Gamisoyo-san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mRNA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주다혜;이수연;유단희;이진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7-163
    • /
    • 2014
  • Objectives : Gamisoyo-san complex prescription were made with Angelicae Gigantis Radix, Paeoniae Radix, Atractylodes rhizome white, Hoelen, Bupleuri Radix, Moutan Cortex Radicis, Gardeniae Fructus, Zingiberis Rhizoma Crudus, Menthae Herb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 of the extract from Gamisoyo-san, which is one of the used herbal complex prescription.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 of Gamisoyo-san in tyrosinase activity. Cell viability were performed using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Then, Gamisoyo-san measured reversed-transcription-PCR for mRNA expression using B16F10 mouse melanoma cells. Results : For whitening effects, the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extract was shown to 52.4% at $5,000{\mu}g/m{\ell}$ concentration. The cell viability on B16F10 melanoma cells of Gamisoyo-san extract showed higher than 75% at $1,000{\mu}g/m{\ell}$ concentration. In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non-toxic concentration range of 50, 150, $250{\mu}g/m{\ell}$. Th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tyrosinase mRNA expression inhibitory by reverse transcription-PCR of Gamisoyo-san extract were decreased by 95.3%, 98.8%, 96.3% and 49.5% at $250{\mu}g/m{\ell}$ which the highest concentration. Conclusions : All these findings could verify that whitening effects of Gamisoyo-san extract by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nd mRNA expression. The Gamisoyo-san could be used as material for functional cosmetics, such as skin whitening products.

국내 시판 식용버섯 열수 추출물의 피부미백 기능 연구 (Skin-whitening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domestic edible mushrooms)

  • 김현재;장병현;박건희;장갑열;박기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5-231
    • /
    • 2016
  • 국내시판 식용버섯의 16종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L-DOPA oxidation activity, melanin 합성 억제활성을 통해 미백에 가장 효능이 우수한 버섯으로 갈색백만송이버섯 (No. 10)과 흰색만가닥버섯 (No. 15)를 선별하였다. 또 멜라닌 세포와 표피가 재현된 인공피부를 이용하여 이 두 가지 버섯 열수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확인한 결과 흰색만가닥버섯 (No. 15)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건칠의 항주름 효과와 미백효과 연구 (The effect of wrinkle care and whitening by Rhus verniciflua Stokes)

  • 안재형;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4-133
    • /
    • 2016
  • Objectives : Recently, the demands for the effective and safe depigmentating and anti-aging agents of the skin have increased due to the medica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reas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new materials from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which inhibit the aging process of skin in vitro.Methods : Human dermis cell (HS68)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RVS). 80% ethanol or water extracts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elastase. Elastase inhibition effect was tested by microplate reader instrument. And MMP-1 suppression effect of RVS was tested by western blot. These cells were investigated the viability by MTS assay. And also the inhibition effect of tyrosinase by RVS was tested.Results : RVS (final concentrstion 1 ㎎/㎖ appeared over 30% of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So we are investigated anti wrinkle effec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look through MMP-1 inhibition activity, also Extracts of RVS showed higher anti-tyrosinase activity than arbutin as final concentration 1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rbal medicines could be strong potential sources of inhibition of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for the skin.Colclusions : RVS was the best suppressor candidate of elastase activity among other control oriental drugs. It was found that RVS did not have toxicity to cells. We found proper concentration of RVS to treat in HS68 culture and investigated not only wrinkle care effect but also whitening effect of RVS.

B16F10 멜라닌 세포에서 약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 분획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ractions from Glycine soja Siebold et Zucc.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김보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1-2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약콩(Glycine soja Siebold et Zucc.) 분획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관찰하기 위해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2 (tyrosinase related protein-2), 티로시나제 발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약콩 분획 추출물 0.125, 0.25, 0.5, 2.0 mg/mL 농도에서 82% 이상의 높은 세포생존율을 나타내었다.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alpha}-MSH$)을 처리한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약콩의 EtOAc 분획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티로시나제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약콩 분획 추출물이 멜라닌생합성과 관련되는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부 미백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효과 (Aureobasidium pullulans Ferment of Black Tea for Anti-oxidatio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 김영은;여민아;한정희;이정민;정석균;정현아;김선화;이지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65-2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능을 확인하였다. 홍차 흑효모 발효물의 결과는 홍차 추출물, 흑효모 발효물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항산화능 평가 결과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흑효모 발효물보다 뛰어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홍차 추출물과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실험에서도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유의적 제거 활성을 보였다. 또한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이며 Melan-a, B16F10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형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항주름 효능 확인을 위해 콜라겐 분해 효소(MMP-1)를 측정한 결과 홍차 흑효모 발효물이 홍차 추출물, 흑효모 발효물보다 높은 항주름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홍차 흑효모 발효물은 항산화능 효능을 보이며 미백, 항주름 효능을 보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기자 추출물이 피부 미백 및 주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ycii Fructus Extracts(LFE) on Skin whitening and Elasticity using Melanoma cells)

  • 최주호;최정화;박수연;김종한;정민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8-67
    • /
    • 2014
  • Objective : Lycii Fructus Extracts(LFE) can do Anti-hypertension activity, Antidepressant, Anti-diabetic activ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LFE on skin whitening and elasticity using melanoma cells. Methods : In this experiment, effect of LFE on cell viability,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and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elastase. Results : More than $250{\mu}g/ml$ of LFE treated group showed lowered proliferation rates significantly compared to non-treated group. More than $125{\mu}g/ml$ of LFE treated groups were lower levels of melanin synthesis respectively. LFE showed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ctivities in vitro. And, LFE suppressed tyrosinase activities in B16F10 cells significantly. Finally, LFE suppressed elastase type I and IV activities in dose-dependent manner in vitro. And LFE also slightly suppressed elastase activities in vivo.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FE can inhibit melanin synthesis through ihhibitory action on tyrosinase activity and inhibt elastase activity, and also suggest that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the study on maintaining skin elasticity or whitening.

비건(Vegan)인증 화장품 원료 7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 연구 (The Antioxidant Capacity and Whitening Effects of the Extract from the Mixture of 7 Different Vegan Cosmetic Ingredients)

  • 최인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1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비건 인증(Vegan) 화장품 원료 7종 혼합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미백효과를 확인하였다. 라디컬 소거능으로서 DPPH, ABTS, FRAP 실험, 항산화 물질 측정으로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DPPH 실험에서는 105.74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며, ABTS 실험에서는 85.31 mg ascorbic acid / g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FRAP에서는 7종 혼합추출물의 1 mg이 ascorbic acid 198.01±5.50 ㎍의 환원력을 보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30.19±0.75 mg/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9.12±0.36 mg/g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독성과 미백활성을 알아보았다. 세포독성의 경우 20% 이하의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100 ㎍/mL 농도에서 34.70±2.97%의 멜라닌 생성 억제능을 보여 7종 혼합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소재 특성 (Functional Cosmetic Effect of Sargassum Extracts)

  • 심하은;노대영;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2호
    • /
    • pp.142-146
    • /
    • 2024
  • 전세계적으로 천연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기존 화학합성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대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천연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모자반은 우리나라의 해안 전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갈조류의 일종으로서 식용으로도 이용되는 만큼 안전성이 확보되어있는 해조류이다. 본 연구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 짝잎 모자반(Sargassum hemiphyllum), 쌍발이 모자반(Sargassum patens)의 3가지 종류의 모자반으로부터 열수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으며, 항산화효과, 미백효과,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 및 항염증효과를 측정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자반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결과 안전성이 매우 우수하였고,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한 항산화능 측정결과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여주었으며 tyrosinase inhibition을 이용한 미백효과시험에서는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의 미백효과가 상당히 우수하였다. 그러나 주름개선효과, 자외선흡수효과와 항염증효과는 비교적 낮았다. 결론적으로 큰잎 모자반(Sargassum coreanum)은 세포독성이 적었고, 항산화효과와 미백효과가 우수하여 미백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Prunus persica Flos)

  • 이진영;안봉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54-161
    • /
    • 2010
  • 도화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한 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000ppm에서 각각 54.0, 58.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40.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였다. 또한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을 확인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56.5%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57.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1,000ppm에서 48.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ppm에서 41.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아세톤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화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16F10 세포에서의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활성 검증 (Whitening Effect of Abelmoschus esculentus on Melanoma Cells (B16F10))

  • 유단희;이인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85-492
    • /
    • 2021
  • 본 연구는 오크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tyrosinase의 효소 억제 활성으로 측정한 결과, 최종 농도인 1,000 ㎍/ml 농도에서 22.2%, 32.8%의 저해활성 효과를 보였다. 세포 차원에서 미백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오크라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MTT assay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100 ㎍/ml 농도에서 95%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농도 이하에서 멜라닌 생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억제 효과를 5, 10, 50, 100 ㎍/ml의 농도에서 western blot으로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오크라 열수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88.1%, 24.8%, 62.2%, 42.9%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오크라 70% 에탄올 추출물은 100 ㎍/ml 농도에서 MITF, tyrosinase, TRP-1, TRP-2 인자들은 각각 65.3%, 58.3%, 66.2%, 65.3%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오크라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