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flower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39초

Comparison of Phytochemicals Ingredient Contents According to Flower Color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 Mun, Jeong-Yun;Jang, Tae-Won;Choi, Ji-Soo;Im, Jong-Yun;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8-118
    • /
    • 2019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belonging to Oleaceae is only species in Korean endemic genus, Abeliophyllum. Abeliophyllum distichum (AD) is divid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flower shape and color. AD is known to have various colors such as white, pink, and ivory. Recently, light yellow flowers have been registered as new varieties (Okhwang 1ho). To date, various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on AD have been carried out, but no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phytochemicals and activities according to various trai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tochemical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om four kinds of flowers (white, pink, ivory, light yellow) in full bloom. The contents of phytochemicals such as chlorogenic acid, Hirsutrin, Rutin, Acteoside and Isoacteoside were analyzed by HPLC.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DPPH, ABTS. As a result, the content of each substance varied according to the flower color. These results will provid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usefulness of genetic resources in Korea and developing new functional materials in preparation for the Nagoya Protocol.

  • PDF

조선시대 민화 <연화도> 콘텐츠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Minhwa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Lotus Flower Painting -)

  • 장현주
    • 복식
    • /
    • 제62권5호
    • /
    • pp.59-72
    • /
    • 2012
  • This study aims to collect Minhwa, or folk painting, particularly the Lotus Flower Painting, to analyze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story, and to develop cultural fashion products by utiliz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flavor based on the results. Lotus flowers grow from mud, but are unstained, and they bloom beautiful flowers. Thus, they symbolize Gunja, a true gentleman who is very learned and proper in behavior. In Buddhism, lotus flowers are divine flowers that have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life and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Lotus flowers also represent the love between man and woman as well as conjugal harmony and love. Lotus flower painting includes the paintings of the lotus flower alone as well as the paintings of the lotus flower with ducks, white heron, kingfisher, fish, butterfly, crab, or tortoise. Colors that are mostly used in lotus flower paintings is the compatible combination of red and blue (green). Based on these findings, fashion products such as bag accessories, sitting cushions, and kitchen utensils are developed using various designs such as realistically drawn lotus flower, schematized lotus flower, the lotus flower alone, or the lotus flower with kingfisher, crab, or dragonfly, that emphasizing the compatible color combination of red and blue.

황색종 연초 돌연변이 계통 KF8832-85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 New Flue-cured Tobacco Mutant Line KF 8832-85)

  • 조수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32
    • /
    • 1995
  • A new flue-cured tobacco mutant line BU 8832-85 was developed at Taegu Experiment Station, Korea Ginseng and Tobacco Research Institute in 1994. KF 8832-85 was resulted from a cross of flue-cured cultivars NC 95$\times$NC 2326, and developed by a pedigree system of breeding ; initial selection was made by plant type and resistance to bacterial wilt(BW) disease(heudomonas solanaceamm) in the F2 generation under the natural field conditions infested with the pathogen. One white flowered plant was occurred by spontaneous mutation in a certain line among the F3 generatioin while the others were pink. Six plants from the seeds by selfing were selected at the field infested with the pathogen among 240 populations with white flowering in the F4, KF 8832-85 was selected based on yield and leaf quality trials among 6 lines in Fs generation. BCF 8832-85 was compared with its Parent for certain agronom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t Taegu Experiment Station in 1993 and 1994. The results showed that KF 8832-85 have white flower, the stalk height was approximately that of NC 2326 but averaged about loom taller than NC 95. It produced ground suckers as much as NC 95, and did not breakdown leaf at the same as WC 2326. KF 8832-85 have high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disease. Yield of KF 8832-85 was 10 and 18% higher then that of NC 2326 and WC 95, respectively. Price per Kg was equal to that of NC 2326. The contents of nicotine and reducing sugar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NC 95, while total nitrog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C 95. Therefore, the new mutant line is genetically stable for agronomic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a source of bacterial wilt disease resistance for use in breeding resistant flue-cured cultivars. Key words : Mutant line, White flower, Spontaneous mutation.

  • PDF

카네이션 'White Liberty'의 염색화에 따른 인공염료가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Dyes on Vase Life in Cut Dianthus Caryophyllus 'White Liberty' Dyed Flower)

  • 정재간;구본순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2호
    • /
    • pp.23-35
    • /
    • 2020
  • 스탠다드형 카네이션은 매스플라워로써 플라워디자인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화색이 다양하지 못해 이용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용에 한계가 있는 스탠다드형 카네이션을 사용하여 최적 염색 상태의 처리 조건을 찾고 더 나아가 염색 카네이션의 화훼장식에서 활용도를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스탠다드형 카네이션 'White Liberty'를 이용하여 6가지 염료별로 4가지 화합물 처리에 따른 염색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염료 6가지 색[black(2012), lavender(2200), lime Green(2315), light blue(2386), christmas red(2506), yellow(2375) (Robert Koch Industries INC, USA)]과 4가지 화합물 처리(증류수, 4% 에탄올, 3% 설탕, 100mg·L-1 구연산)를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 6가지 염료 모두 3% 설탕과 100mg·L-1 구연산 처리가 빠른 염색과 염색정도에 우수한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절화수명은 black과 lavender 염료를 제외한 나머지 염료에서 대조구(7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연관지도를 이용한 새우난초, 금새우난초, 변이종의 화색의 유전분석 (Genetic Analysis of Flower Color Traits in Calanthe discolor, C. sieboldii, and Variants Using Molecular Linkage Map)

  • 조동훈;정미영;지선옥;김창길;정재동;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39-1244
    • /
    • 2009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새우난초 3개체, 금새우난초 3개체 그리고 변이종 14개체를 포함하여 총 20개체를 화색에 따라 분류하고 유전자지도를 작성하여 QTL분석을 하였다. 화색은 새우난초가 어두운 자색으로 CIE Lab값이 $40{\sim}50$ 정도였으며, 금새우난초는 황색으로 $110{\sim}130$ 정도였고, 변이종 개체들은 새우난초와 유사하거나 다소 높았다. PCR 결과 얻은 polymorphism이 인정되는 154개 marker에 대한 분리비 적합도 검정에서 51개 marker에서 5% 수준의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유의성이 인정된 51개 marker 중에서 새우난초 type은 37개, 금새우난초 type은 14개 였다. Polymorphism이 인정된 154개 marker에 대하여 MAPL program을 이용하여 이들 marker 상호간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16개의 연관군과 1개의 독립군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들 연관군에 대한 분자연관지도는 전체 group의 크기가 220.4 cM (centi Morgan)이고, marker간의 평균거리는 3.3 cM이었다. 양적 형질에 대한 분자연관지도상의 QTL 분석 결과, LOD 3.0 이상인 화색과 설판색의 QTL은 각각 3개와 1개였다. 이상에서 얻어진 자료는 새우난초 속의 화색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조생 순백색 자주 화심 글라디올러스 '아리랑' ('Arirang', Early-flowering Pure White Gladiolus with Purple Core)

  • 조해룡;이혜경;임진희
    • 화훼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2-146
    • /
    • 2010
  • 순백색 바탕에 자주색 화심이 있는 조생종 글라디올러스 '아리랑'이 1998년 국립원예특작과학원(구 원예연구소)에 의해 개발되었다. '아리랑'은 어두운 오렌지색 조생종 '아리안느'에 밝은 홍적색 대형종 국산품종인 '홍광'을 교배한 조합에서 선발되었다. 1993년에 교배하여 얻은 실생 종자를 파종, 1994년에 처음 선발하였으며 1998년까지 5년에 걸쳐 생육특성검정을 하였다. 아리랑은 밝은 백색바탕에 자주색 화심이 있는 절화용 품종으로 조생종이면서 꽃대가 휘지 않는 강한 초세를 갖고 있다. 따라서 여름철 노지 재배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장마철 습해에도 강하고 구근부패병에 강해 장마철 절화가 가능한 품종이다. 생육속도는 매우 빠르며 구근 번식력도 좋다. 아리랑의 여름철 개화소요일수는 75일 정도이며 구근 생산재배 시 품질 좋은 구근생산을 위해 생육 기간 중 추비를 1-2회 뿌려 주는 것이 좋다.

압화 방법에 따른 장미 꽃잎의 변색 (Color Change in Pressed Rose Petals as Affected by Pressing Method)

  • 변미순;김순자;김규원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49-56
    • /
    • 2008
  • 장미의 대표적인 화색인 적색 'Red Corvette', 분홍색 'Nobless'b, 황색 'Golden Metal' 및 백색 'Rose Yumi' 꽃을 재료로 건조방법에 따른 화색의 변화를 조사하고, 4주 및 8주간의 광처리(2,000lux, 16시간, 형광조명) 뒤의 화색 변화를 조사하였다. 모든 종류에서 실리카겔 매트로 압화 하는 처리구가 압화 당시와 광처리 후 화색변화가 가장 적었고, 전기압화기의 사용으로 꽃잎은 갈변화가 촉진되었다. 장미 적색은 한국산 시트지, 분홍색과 황색은 한국산 전기압화기, 장미 백색은 일본산 전기압화기 처리구가 화색의 변화가 가장 심하였다. 압화 당시 화색의 변화가 가장 컸던 것은 적색 장미였고, 그 다음이 분홍색, 황색, 백색 순이었다. 광처리에 의한 화색 변화정도가 가장 심했던 것은 황색 품종이었고, 다른 3종류는 다소 안정적이었다.

절화수명이 긴 백색 중형 스탠다드 장미 'Honey Lemon' 육성 (Breeding of Medium Standard Rose, 'Honey Lemon' with White Color and Good Vase Life)

  • 김성태;김원희;이은경;이수영;허건양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4-287
    • /
    • 2010
  • 1999년도에 백색의 스탠다드 'Escimo' 품종을 모본으로 생육이 우수하고 다수성인 스탠다드 'Medeo' 품종을 부본으로 인공교배 하였다. 2000년에 파종을 실시하여 840개체의 실생을 획득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2001~2003년까지 3차에 걸쳐 특성검정을 실시한 후 최종 특성검정 단계에서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최종선발된 '원교 D1-54'를 'Honey Lemon'로 명명하였다. 'Honey Lemon'의 화색은 백색으로 RHS 칼라챠트번호 4D이며 화형은 고심형이며 향기는 거의 없었다. 꽃잎수는 17.0개로서 'Tineke'의 69.9개보다 훨씬 적었으며 화폭은 8.0 cm로 'Tineke'보다 약간 작았다. 평방미터당 연간 절화수량은 248.0본으로 'Tineke'보다 2배 이상 많았으며 절화장은 53.0 cm 절화경경은 5.0 mm로 'Tineke' 보다 길이와 굵기는 약하였으나 수량성이 높고 강건한 절화형태를 보였다. 또한 절화수명은 16.9일로 'Tineke'보다 2배 이상 길었다.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Controlling Flower Color in Pharbitis nil Using AFLP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d DDRT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

  • Kim, Eun-Mi;Jueson Maeng;Lim, Yong-Pyo;Yoonkang Hur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7권2호
    • /
    • pp.73-78
    • /
    • 2000
  • To analyze molecular traits determining pigmentation between Pharbitis nill violet and white,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and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DDR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either genomic DNAs or total RNAs isolated from both plants. Results of AFLP experiment in combination of 8 EcoRⅠ primers with 6 MseⅠ primers showed 41 violet-and 60 white-specific DNA bands. In the subsequent experiment, 22 violet-and 22 white-specific DNA fragments were amplified by PCR with DNAs eluted. The sizes of the fragments range from 200 to 600bp. DDRT using total RNA produced 19 violet-and 17 white-specific cDNA fragments, ranging from 200 to 600bp. The fragments obtained by both AFLP and DDRT had been cloned into pGEM T-easy vector, amplified and subjected to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es. As a result of Blast sequence analysis, most of them sequenced up to date showed no similarity to any Known gene, while few has similarity to known animal or plant genes. An AFLP clone V6, for example, has a strong sequence similarity to the human transcription factor LZIP-alpha mRNA and a DDRT clone W19 to Solanum tuberosum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mRNA.

  • PDF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무궁화 127 품종 중 조경적 활용가치가 높은 유망품종 선발 (Study on the Selection of Promising Cultivars with Unique Flower Characteristics in the Recently Developed Cultivars of Rose of Sharon (Hibiscus spp.) for Landscape Uses)

  • 김광호;이춘석;강호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24-139
    • /
    • 2016
  • 본 연구는 조경수용 무궁화 우수품종 보급을 위한 유전자원 수집과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127품종의 1년생 접목묘를 이용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2년 동안 생육 및 형태적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품종 중 화색 및 꽃이 특이한 품종을 조사하여 무궁화를 조경수로 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품종들의 화색별 분류로는 크게 분홍색 단심(pink color with red eye spot), 흰색 단심(white color with red eye spot), 붉은 자주색 단심(purplish red color with red eye spot), 분홍보라색 단심(violet pink color with red eye spot), 심홍색 단심(crimson color with red eye spot), 흰색 바탕에 붉은색 무늬의 이중색(asadal), 흰색(white color), 푸른색(blue color) 등 총 8종류로 분류되었다. 화색이 붉은 자주색으로서 적색이 강한 꽃으로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으로 '광명', '난파', '노스페이스', '불새', '비단', '송암', '영창', '적퍼소', '키호', '탐라', '화수레드', '환희' 등이 있었으며, 국외에서 육성되어 국내에 도입된 품종으로는 'Aphrodite', 'Dr. Uemoto', 'Freedom', 'Pink Cup', 'PS 80-1', 'Purpureus Variegatus', 'Red Giant', 'Woodbridge' 등이 있었다. 화색이 분홍보라색으로서 특이한 품종으로는 '꼬마', '도투락', '명미', '병화', '산처녀', '태화', 'Hikari-hanagasa', 'Little Kim Violet' 등이 있었다. 화색이 심홍색으로 기존의 꽃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품종으로 '종무'와 'Ruffled Satin' 등이 있었다. 최근 국내외에서 육성된 품종중 조경수용 소재로 보급할 수 있는 품종중 기존 품종에 비해 꽃의 크기가 큰 품종으로 무궁화 종간교잡종인 Hibiscus hybrid 'Daewangchun', 'Daeil', 'Jina' 등이 있었다. 반면 꽃이 작고 조경적 가치가 높은 품종으로 '꼬마', '미백', '안동', '릴킴', '은하수' 등이 있었다. 백단심계 무궁화 '꼬마' 품종은 수고가 작은 왜성형으로 꽃의 크기가 5.2cm로 작은 소형화 품종으로 나타났다. 기존 품종에 비해 단심의 길이가 긴 품종으로 '훈장'과 '하이리레드'가 있었다. 홍단심계 무궁화 '훈장'은 꽃의 크기는 12.0cm로 중간크기이나 단심길이는 4.8cm로 지금까지 육성된 품종중 가장 긴 품종이었다. 또한 홍단심계 무궁화 '하이리레드'의 단심길이 역시 4.2cm로 꽃잎 길이에 비해 단심의 길이가 길어 조경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