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croak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망지를 이용한 트롤 탈출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Trawl Escapement Net using net material)

  • 조삼광;신종근;차봉진;양용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3호
    • /
    • pp.165-173
    • /
    • 2008
  • Sea experiment fo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Trawl Escapement Net(TEN) using net material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undersized fishes that escaped from trawls in the Korean southern sea in May and November, 2005. Three kinds of Trawl Escapement Net(TEN) were examined to increase the escapement rate for fishes escaped from the TEN, and total catches in the codend and cover-net were investigated. The main catch species in the experimental fishing trials using a V shape TEN(A type) in May were Korean pomfret(Pampus echinogaster), slimy(Leiognathus nuchalis), gizzard shad(Konosirus punctatus), white croaker(Pennahia argentata) and smelt(Sillago sihama). In the experimental fishing trials using a V shape TEN with a protector for undersized fishes(B type) and a panel shape TEN with a protector(C type) in November, the main catch species were horse mackerel(Trachurus japonicus), sea pike (Sphyraena japonica), large-head hairtail(Trichiurus lepturus), kammal thryssa(Thryssa kammalensis), white croaker(Pennahia argentata), butterfish(Psenopsis anomala) and red gurnard(Lepidotrigla microptera). Most of large-sized fish species like Korean pomfret and Spanish mackerel could not escape through the TEN in the B type and C type. Catches of horse mackerel were highest in the experimental fishing of November and escapement rates for most fish species including horse mackerel were higher in the C type compared with B type.

국내산 및 수입산 참조기류 중 황색색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유통저장중의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Yellow Pigments in Domestic and Imported Yellow Croakers and Their Changes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 김희연;권용관;홍영표;안영순;김태운;박희옥;진명식;장해춘;이명렬;신일식;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03-81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조기류 성분의 유통저장품의 이화학적 변화와 조기류의 황색색소 및 착색용 황색색소의 이화학적 특성 및 유통저장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각 인공색소의 저장조건에 따른 연구결과 황색색소와 적색색소의 최대흡수 파장을 UV/Vis spectrometer로 측정한 결과 적색색소는 504 nm, 황색색소는 412 nm에서 최대흡수 파장을 나타내었으며, 황색색소는 산성, 중성, 염기성의 조건과 온도변화에 상당히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색색소는 산성과 중성의 조건에서는 온도의 변화에 대해서는 안정하였으나 고온의 염기성 물질에서는 상당히 불안정함을 나타내었다. 황색색소와 적색색소의 인공조명에 의한 영향은 광을 차단하여 보관한 경우 색소의 잔존율에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인공광에 의한 손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중의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고 이에 따라 지방이나 단백질, 회분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참조기와 위화된 조기의 색도변화실험에서 참조기의 색소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기류들의 색소 용출실험에서 $100^{\circ}C$에서 색소의 용출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보든 위화색소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여 위화조기의 판별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착색 변조된 조기의 육안을 통한 판별실험 결과 위화시 육안 판별이 어렵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한국 남해안에 서식하는 보구치(Pennahia argentatus)의 성숙과 산란 (Maturity and Spawning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전복순;최정화;임양재;이해원;김재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6-42
    • /
    • 2020
  • The maturation and spawning of white crocker Pennahia argentatus were investigated using samples collecte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18. We analysed monthly changes in maturity stage, gonad-osomatic index (GSI), total length (TL) at 50% group maturity. The spawning period was May to July. Fecundity varied between 71,627 and 888,041 egg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cundity and TL of the fish was expressd in the fecundity equation as F=0.2198TL4.2784 (r2=0.8423). The percentage of sexually mature females estimated from a logistic function was over 50% for the size group 19.33 cm (total length, TL).

한국 남해안 세존도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보구치 (Pennahia argenta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white croaker, Pennahia argentata in the coastal waters off Sejon island, Korea)

  • 고은혜;안영수;백근욱;장충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2호
    • /
    • pp.139-146
    • /
    • 2014
  • Feeding habits of white croacker, Pennahia argent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omach contents of 153 specimens caught by bottom trawl from May 2011 to March 2012 in the Sejon island, Korea. To know feeding habits of the white croacker, P. argentata, a species composition and it's fluctuation were analyzed based on growth. White croacker, P. argentata caught in the area composes 15 species. The most species in an number of the prey was Macrura which was occupied at 66.4% from whole prey, the second most species was Pisces which was occupied at 20.3%. The most species in an wet-weight of the prey was Pisces which was 49.3% out of the whole specimens. The second most species was Macrura which was 43.3%. The frequency occurrence of the prey was Macrura which was 68.6%, the next one was Pisces which was 28.8%. The highest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of the prey was Macrura which was 78.2%, the next one was Pisces which was 28.8%. A number of the prey per specimen of small, middle and large class were 1.3, 1.5, 1.7, respectively. A wet weight of the prey per specimen of small, middle and large class were 0.2, 0.6, 0.2 g, respectively.

냉동 백조기의 알칼리 수리미 겔 제조를 위한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최적화 (Optimum Formulation of Starch and Non-muscle Protein for Alkali Surimi Gel from Frozen White Croaker)

  • 박주동;김진수;조영제;최종덕;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26-1031
    • /
    • 2003
  • 냉동 백조기로 제조한 알칼리 수리미의 가열 겔 강도 증강을 위한 최적 전분 및 비근육 단백질의 선정과 이들 성분의 최적 첨가량을 설정하기 위해 2수준 fractional factorial과 mixture design을 실시하였으며, 반응 값은 punch test에 의한 물성과 색차계로 색을 측정하였다. 전분은 종류에 관계없이 파괴강도와 변형 값을 감소시켰다. 파괴강도 값은 전분의 농도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고, 변형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근육 단백질 중 소혈청 단백질이 겔의 파괴강도와 변형 값을 가장 크게 증가시켰으며,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파괴 강도와 변형 값은 증가하였다. 백색도는 전분과 근육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괴강도 100g 이상, 변형 값 4.6mm이상, 백색도 25.5 이상을 보이는 수리미, 감자전분, 소혈청의 최적 혼합 비율은 각각 89.4∼90.0%, 4.5∼5.2%, 5.3∼5.8%의 범위였다. 전분과 비근육 단백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가열 겔이 단백질의 균일한 분포와 치밀한 망상 구조 형태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 같은 구조가 높은 물성 값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국 근해 복수어구 및 다종어업 자원 평가모델 연구 I. 단일어구에 의한 다종자원의 이용 (A Study on the Multi-gear and Multi-species Fisheries Assessment Models in Korean Waters I. Multi-species by a Single Gear)

  • 서영일;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5-358
    • /
    • 2001
  • 본 논문은 한국 근해 다종어업 자원의 평가모델에 대한 연구결과로서 대형기선저인망쌍끌이어업과 같은 단일어업에 의하여 다종자원을 이용하는 형태이다. 단일어구에 의한 다종자원의 평가모델은 단일어구에 어획되는 다종자원 중 어획량비율이 상위를 차지하는 어종을 선별한 후 각 어종에 대한 혼획율 및 자원생태학적 특성치를 추정하여 Beverton and Holt (1957)의 가입당생산량 모델을 변형시킨 다종가입당 생산량모델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모델은 현재의 $t_c$에서 다종에 대한$F_{0.1}$에 해 당하는 F값을 구하여 각 어종별 가입당산란자원량 모델에 적용하였으며, 이때의 산란자원량 수준인 $F_{x\%}$를 추정하여 자원평가에 이용하였다.

  • PDF

어류의 가열조리 및 보존에 의해 생성되는 변이원성 물질의 정량적 해석과 제어법 (Screening and prevention of the mutagenicity for fishes accordind to cookery and storage)

  • 홍이진;이준경;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52-662
    • /
    • 2000
  • 섭취 빈도가 높은 어류중 붉은 살 생선인 고등어(Mackerel), 삼치(Saury pike), 방어(Yellowtail), 연어(Salmon), 흰 살 생선인 조기 및 염장조기(Croaker, Salted Croaker), 및 갈치(Trichiurus)를 시료로 하여 , 가스그릴, 전기그릴과 microwave oven으로 가열 조리한 후 일정기간 동안 냉장 및 냉동 보존한 시료와 보존한 시료를 microwave로 재가열하였을 때 변이원성을 in vitro test로 Ames/salmonella assay를, in vivo test 로 Micronucleous test를 실시하여 검색하고, 그 제어방법으로 항암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녹황색 채소즙으로 전처리하여 돌연변이 억제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지질의 과산화도를 측정하여 변이원 생성과 과산화 지질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어류의 가열조리에 의해 대조군(생시료)보다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 생성된 변이원은 모두 농도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5 mg/plate인 농도구간에서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2. 조리온도가 높아질수록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대사활성물질을 첨가했을 경우 무첨가시보다 2-4 배정도 돌연변이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3. 조리기기에 따른 복귀 돌연변이 균수는 가스그릴과 전기그릴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MW에서 조리한 시료의 경우에는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4. 생선 종류별 변이원성을 검색한 결과 흰살 생선이 붉은 살 생선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붉은 살 생선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등어가 약간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흰살 생선중에서도 유의차는 없었으나 염장조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5.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후 가열조리을 한 시료의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변이원성이 억제되었으며, 녹차>생강>무순으로 변이원성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6. 저장에 의해 돌연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냉장 저장시 저장 3일째부터, 냉동저장시에는 저장 7일째부터 변이원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냉동저장보다 냉장저장시 더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MW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변이원성이 증가되었다. 7. Micronucleus test 결과, 조리온도가 증가할수록 골수 소핵 형성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고, 채소즙 처리군의경우 생강>녹차>무순으로 골수 소핵 형성 억제효과를 보였다. 8. 조리, 재가열 및 저장 조건에 따른 산패도(TBA value)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산패도가 증가하였고 냉장 저장시료의 경우 저장 3일째부터 유의 적으로 산패도가 증가되었으며 냉동 저장 시료의 경우에 는 저장 7일째부터 유의적으로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다. 냉장저장 시료가 냉동저장 시료보다 더 높은 산패도를 나타내었으며, microwave에 의한 재가열에 의해 산패도가 증가되었다. 9. 채소즙 및 녹차 추출물로 처리 한 고등어의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EDA)측정 결과는 양파>녹차>생강>양배추 순으로 양파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10.전기그릴 26$0^{\circ}C$에서 조리한 시료의 냉장저장 및 냉동저장에 따른 변이원성과 과산화지질 생성간의 상관관계는 냉장 저장했을 때 0.93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재가열했을 경우 0.98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냉동저장 역시 0.92를 나타내어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재가열했을 경우에는 0.89로 오히려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어육의 배소에 의한 지질산화에 관한 연구 -IV. 백색육어의 배소 및 재가열에 의한 heme 화합물의 변화- (Lipid Oxidation in Roasted Fish Meat -IV. Changes in Heme Compounds in Roasted and/or Reheated White Muscled fishes-)

  • 조호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62-165
    • /
    • 2002
  • 백색육어를 배소한 경우와 배소한 시료를 저온에 저장 후, 단계적으로 가열처리했을 때 일어나는 산화에 의한 heme 화합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Heme 화합물 중 myoglobin 함량은 각시가자미나 조기 모두 180$^{\circ}C$에서 20분간 어피 제거육의 상태로 배소한 것이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컸으며 가열, 재가열에 의해서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Myoglobin의 감소 추세에 따라 metmyoglobin 함량은 역으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배소온도가 낮을수록 또한 어피를 제거함으로써 생성된 metmyoglobin의 함량이 높았다. 총철 함량은 배소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처리하여도 두 어종 모두 생시료와는 함량 차이가 거의 없었다. 비 heme 철은 각시가자미의 경우 생시료에는 총철함량에 대해 약 $20\%$ 정도 함유되어 있었으나, 180$^{\circ}C$에서 20분간 어피 제거육의 상태로 배소했을 경우 생시료에 비해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조기는 생시료에는 건물당으로 약 0.8mg/100g 함유되어 있었으나 배소, 가열 및 재가열과 같은 반복되는 가열과정에 의해 증가하였다. Heme 철 함량은 각시가자미와 조기 모두 비 heme 철의 증가에 반비례해서 감소하였으며 또한 배소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어피 잔존육보다는 어피 제거육의 감소폭이 더 컸다.

어육의 가열조건에 따른 몇가지 정미성분 함량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Some Taste Compounds of Fish Meat by Heating Conditions)

  • 심기환;이종호;하영래;최진상;이용수;주옥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9-204
    • /
    • 1995
  • 가열조건을 달리 하였을 때의 고등어, 꽁치, 조기 및 가자미의 핵산관련물질 및 유기염류(TMAO, TMA 및 총 creatinine)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시료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inosine의 함량이 높았으며, 적색육어 보다는 백색육어에서 그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열을 함으로서 hypoxanthin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그 외의 다른 성분들은 감소하였다. TMAO의 함량은 각 시료에서 생시료일 때에 31.1, 26.2, 49.4 및 58.5 mg%로 가자미에 있어서가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가열을 함에 따라서 그 함량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TMA의 함량은 각 시료에서 3.7, 5.8, 22.9 및 16.9 mg%로 나타났으며, 조기의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가열처리를 함에 따라서 TMAO가 환원되어 그 함량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총 creatinine의 함량은 341.2, 469.8, 52.3 및 87.6 mg%로 백색육어 보다는 적색육어에서 더 많은 함량을 보였으며, 꽁치에서 가장 많았다. 가열을 함에 따라서 모든 시료에서 정미성분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 PDF

참조기 천연색소의 분리 및 판별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paration and Discrimination of the Natural Yellow Pigment on Croaker)

  • 김희연;홍기형;홍진환;김동술;한상배;이은주;이정성;강길진;정형욱;송경희;박종석;권용관;장영미;신일식;이창국;박희열;하상철;조재선;박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62-769
    • /
    • 2002
  • 참조기 추출색소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여 정제하고 UV-vis spectrophotometry를 행하여 최대 흡수파장을 검색한 결과는 모든 획분의 최대 흡수파장은 $480\;nm{\sim}420\;nm$ 사이에 공통적으로 3개의 최대흡수대역을 나타냈다. 이는 carotenoid의 일반적인 특성과 일치하였으며 파장의 대역도 유사하여 carotenoid계 색소로 추정되었다. 또한 획분 간에 파장의 대역이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것은 구조가 비슷한 이성체이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동상 A인 0.1 mol 암모늄아세테이트 용액 메탄올(50 : 50 v/v)과 이동상 B인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90 : 10 v/v)를 이용하고 처음 2분간 10%의 이동상 A로부터 시작하여 60분 동안 이동상 B로 점차 조성을 변화시켜 최종적으로 이동상 B가 되게 gradient mode 조건으로 한 이동상에서 PDA-HPLC를 이용하여 참조기 추출색소를 분석한 chromatogram은 각각 RT값이 27.54, 28.48, 29.40, 29.72. 30.06, 35.61에서 총 6개의 peak가 검출되었다. 이때의 검출파장은 약 $380{\sim}490\;nm$ 사이의 파장이었으며, RT값이 30.06와 35.61 사이에 한 개의 peak가 보였으나 그 양이 너무 적어 peak로 인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UV-vis spectrophotometry를 이용한 추출색소의 최대 흡광도 대역과 거의 일치하여 색소의 조성은 총 7개의 성분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의 결과 참조기 추출색소의 분석을 위한 최적파장은 450 nm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동상 B인 메탄올 : 메틸렌클로라이드(90 : 10 v/v)을 이용하여 isocratic made로 한 이동상의 조건으로 PDA-HPLC를 이용하여 참조기 추출색소를 분석한 chromatogram은 각각 RT값이 3.27, 7.69, 20.92에서 총 3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때의 검출파장은 약 $380{\sim}490\;nm$ 사이의 파장으로서 gradient mode로 한 이동상의 조건과 일치하였다. 또한 RT값이 3.27의 peak에서 가장 많은 색소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gradient mode로 한 이동상의 조건에서 7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isocratic mode로 한 이동상의 조건에서는 3개의 peak가 검출된 것으로 보아 정성적으로는 gradient mode로 한 이동상의 조건이 더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DA-HPLC를 이용한 참조기와 수조기의 색소성분을 비교한 결과, 수조기와 참조기에서 검출되는 peak중 각각의 3개의 peak는 유사한 RT값을 보였으나, 참조기 및 수조기의 각각 1개의 peak는 서로 다른 RT값을 보였으며 참조기 성분의 peak중 RT = 31.02는 수조기 성분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이 성분은 참조기 성분과 연관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