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 vegetation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28초

사천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특성: 생태계 보전 대책의 제안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and Biota in the Gahwacheon Estuarine Wetland, Sacheon, South Korea: Proposals for the Ecosystem Conservation)

  • 추연수;조광진;임정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9권4호
    • /
    • pp.237-246
    • /
    • 2022
  • 하구습지는 생물생산성이 높고 물리적 환경도 독특하여 국가 생물다양성 관리 및 그들의 서식처 확보 관점에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하구습지 보전 및 관리를 위해 열린 하구이며 다양한 서식공간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화천하구습지의 식생 및 생물상 조사를 통해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정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염습지식생, 암극지식생 등 5개 상관식생형의 12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남강댐 방류, 조수의 영향으로 수변부의 좁은 입지를 따라 식생이 대상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12종 포함 총 715종이 확인되었다. 다양한 하상구조와 미소서식처가 분포하고 있는 I, III구간에서 종다양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해수 유입에 따른 기수역의 형성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멸종위기 야생생물도 분포하여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화천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군위군 화산습지의 식생: 오리나무림을 중심으로 (Hwasan Wetland Vegetation in Gunwi, South Korea: with a Phytosociological Focus on Alder (Alnus japonica (Thunb.) Steud.) Forests)

  • 김종원;이승은;이정아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70-78
    • /
    • 2017
  • 화산습지는 경북 군위와 영천 경계의 산정 분지 (표고 644~780 m)에 위치한다.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장 식생조사가 이루어졌고, 현존식생도가 제작되었다. 단위식생의 출현종의 행동양식은 피도와 상대기여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버드나무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산돌배하위군락으로 이루어진 오리나무-백당나무군락이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오리나무 우점림에 대한 선행 기재단위식생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일본갈매나무군집, 버드나무-신나무군집 등)과의 군락분류학적, 군락동태학적 대응성이 논의되었다. 본 군락은 오리나무군강(Alnetea japonicae)에 귀속되고 산간 계류 선상지에서의 분지상(分地狀) 범람원 습생림으로 규정되었다. 화산습지의 잠재자연식생이고 증거 식생형으로서 식생보존등급 [I]의 자연식생으로 평가되었다. 입지의 수리수문 환경조건의 극적인 변화(건생화 및 부영양화)로부터 국가적 보호 전략이 요구되었다.

영산강 수계의 배후습지인 우습제에 서식하는 식생분포와 특성 (Vegetation Distribution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 of Useupje (Backswam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 정현기;임정철;최병기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57-168
    • /
    • 2017
  • 배후습지는 범람에 의해 고운 입자가 퇴적된 범람원으로 일반적으로 추이대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배후습지인 우습제의 식생다양성과 자연성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습제의 식생은 서식처의 종조성에 따라 4개 상관형의 14개 단위식생으로 분류되었다. 부유식생에는 개구리밥군락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이 출현하였고 부엽식생에는 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 community), 연꽃-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Nelumbo nucifer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정수식생의 진연안대에는 물참새피군락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고마리군락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갈풀군집 (Phalaridetum arundinaceae)이 확인되었고 추수대에는 줄-매자기군집 (Scirpo fluviarilis-Zizanietum latifoliae), 애기부들군락 (Typha angustat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조간대에는 큰고랭이군집 (Scirpetum tabernaemontani), 갈대군집 (Phragmitetum australis)이 확인되었고 중수위권의 습지추이대지역에서는 버드나무-이삭사초군락 (Carex dimorpholepis-Salix subfragilis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우습제 식생분포결과에 따르면, 식생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서 습지 내 수위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 우습제의 단위식생 평가결과는 식생자연도에 따라 대부분 III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넓은 면적에서 다양한 고유식생 분포가 확인되었고 인접한 습지가 존재하지 않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생태계에 기여하는 생태학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soil seed bank in three abandoned rice paddies along a seral gradien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South Korea

  • Cho, Yong-Chan;Lee, Seon-Mi;Lee, Chang-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3호
    • /
    • pp.90-102
    • /
    • 2018
  • Background: We sough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ed bank and vegetation in abandoned rice paddi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guide management of these sites. We investigated the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richness of the soil seed bank and ground vegetation in former paddies along three seral gradients (wet meadow, young forest, and mature forest) in Gwangneung Forest Biosphere Reserve. Results: Seed bank samples contained 59 species, of which the dominant families were Cyperaceae, Gramineae, and Polygonaceae. Species richness and seedling density (59 taxa and 19,121 germinants from all samples) were high. Carex spp. (11, 921 germinants) were the dominant taxa.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seed bank changed gradually as the land transitioned from wet meadow to mature forest. Sørensen's index of similarity between above- and below-ground vegetation was 29.3% for wet meadow, 10.8% for young forest, and 2.1% for mature forest. Germinant density also declined, with 10, 256 germinants for wet meadow, 6445 germinants for young forest, and 2420 germinants for mature forest. Conclusions: Changes in aboveground environment and life history traits such as amphicarpic plants, likely affect the composition of soil seed bank species. Abandoned paddy fields may be good sites for restoration of wetland forest and conservation of wetland habitat. Some intervention may be required to promote the recovery of a natural species assemblage.

대암산 작은용늪 및 애기용늪 생태현황분석 (Ecosystem Analysis for Little Yong-neup, Baby Yong-neup in Daeam-san in Korea)

  • 이란;박은경;박미옥;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56
    • /
    • 2014
  • In this study, ec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on Yong-neup, Daeam-san for 5 times. This area is considered DMZ zone located between Yanggu-gun and Inje-gun, Gangwon-do, where has been recognized highly valuable for ecological preservation. As a result, Sphagnum and hydrophobic vegetation were found in Little Yong-neup, revealing its characteristics of high moor, where as no Sphagnum were found in Baby Yong-neup. Thereby, the carnification has been investigated in both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A main cause of damage was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stating rink and increases of visitors. The damages of vegetation in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have been intensified by road construction or uses of groundwater while relocating military troops to upper stream of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further causing the damages of water circulation system and soil erosion. These artificial factors have caused the carnification of wetland protection areas including Little Yong-neup. The terrestrial vegetations, such as Plantago asiatica, Geranium Koreanum and Artemisia feddei have increased compared to current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5 endangered species, such as Lychnis wilfordii and Trientalis europaea and 5 other introduced species, such as Aster pilosus and Taraxacum officinale were found. 10 different species of mammal and 2 species of amphibian were investigated; and in addition to this, a original form of Sphagnum fens, the remaining wetland was found. Therefor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damages in Little Yong-neup and Baby Yong-neup through their ecological survey and accordingly proposing a direc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system, creation of habitats for plant and animal, restoration of vegetation through eco-friendly materials and indigeneity, relocation of the current military troops, securing of structural stability.

안양천 및 주변지역의 생태계 현황 및 생태공원 조성방안 연구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ecosystem and ecological parks in Anyang Stream)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45-153
    • /
    • 2010
  • 안양천은 한강 지류의 국가하천으로서, 안양천 수변관리를 위한 생물상 현황조사를 수행하였다. 수변 및 주변지역 조사를 통하여 출현종 및 개체수를 파악하고 생태현황을 나타내는 민감종 및 서식지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외래종을 파악하였다. 안양천 수변부에서 출현한 식물상은 35목 78과 196속 230종 33변종 2품종 1잡종의 총 266종류(분류군)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외래종으로는 총 10목 16과 37속 47종 2변종 49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류의 한강 합류부와 상류의 기아대교 하류부의 제방사면에서 외래종이면서 위해식물인 가시박(Sicyos angulatus)이 확인되어 이에 대한 관리대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양천 주변을 11개 권역으로 분류하여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 및 외래종 관리방안과 사람과 자연이 공생할 수 있는 환경창출 방안과 하천 생태축(블루네크워크)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GIS에 기반한 습지목록의 제작과 활용 (Development of GIS Based Wetland Inventory and Its Use)

  • 이기철;이재원;김용석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0-61
    • /
    • 2010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의 습지를 대상으로 습지생태계의 공간정보 추출을 위해 지리정보시스템 및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3차원 습지목록을 제작하였다. 습지와 관련된 현장 조사는2009년 3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고, Landsat TM (2002년 10월 30일), Kompsat-2 (2008년 1월 17일 & 2008년 11월 20일) 인공위성 영상 자료와 항공 LiDAR (2009년 3월 1일) 및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된 수치지형도(1:5,000)를 사용하였다. 각종 영상자료는 기하보정한 후, 감독분류 및 무감독분류를 실시하여 현지 식생조사 자료와 비교, 분석해 습지분류도를 제작하였으며, 습지의 생산력을 분석하기 위해 낙동강 하구 습지의 우점식물종인 갈대군락의 생산성에 근거한 습지생산력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제작된 3차원 습지지도는 철새의 가시권 분석, 침수 모델링, 저서생물의 분포 특성 파악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이러한 기법들을 잘 이용하면 우리나라 전역의 습지목록 작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용인시에 위치한 생태공학적 수질정화 비오톱의 식생 및 수환경 특성 (Vegetation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an Eco-technological Water Purifying Biotope in Yongin)

  • 남보은;김재근;홍문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2-445
    • /
    • 2018
  • 조성 후 5년이 경과한 생태공학적 수질정화 비오톱을 대상으로 식생 및 수환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36과에 속하는 91종의 유관속식물종이 확인되었으며 갈대, 달뿌리풀, 줄, 큰잎부들 그리고 애기부들 등 초기 식재된 대형정수식물들이 주된 식생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기전도도(P < 0.01)를 포함하여 질산태(P < 0.05) 및 암모니움태 질소(P < 0.001)와 칼륨(P < 0.05), 나트륨(P < 0.01) 및 마그네슘(P < 0.01) 등에서 수질정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질산태 및 암모니움태 질소의 경우 인공습지를 경유하는 과정을 통해 각각 약 60% 및 30% 수준으로 감소하는 수질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15개의 단위습지(다중셀습지)가 곡류형 하천과 같은 형태로 조성됨에 따른 '분리성'과 '곡률'은 본 인공습지가 온전한 생태공학적 수질정화 비오톱으로서 지속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인공습지 조성에 있어, 습지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제고하는 생태공학적 디자인 요소 반영을 적극 제안하는 바이다.

하천통로에서 미세 지형 발달이 하천 식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topography on the Development of Riparian Vegetation in Stream Corridors)

  • 정경진;김동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49
    • /
    • 1999
  • Urban streams have, recently, been straightened and widened to alleviate flooding problem. As a result, the stream have been modified inadvertently for ecological functions and microtopograph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riparian vegetation and microtopography of the tributaries of Han River before and after the monsoon rain in summ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late the stream microtopography to the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The stream microtopography was investigated for its scale and pattern. Vegetation was investigated from 131 plots by Braun-Blanquet method. The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tream microtopography. Various herbaceous species occurred at stream bank slop, high terrace and channel side. However, at channel side and concave part of terrace where soils were in high moisture level, only a few wetland species were dominated. The complexity of the microtopography in the stream corridors led to heterogeneous riparian vegetation. The vegetation showed more stability against flooding at the stream corridors with natural and complex microtopography than at the urban-type stream corridors with simple topographical fea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velopment of riparian vegetation was influenced by the changes in microtopography, which wa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channel. It seemed that a close-to-nature river system would be restored more readily with an understanding of microtopographical feature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