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 noodle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산 밀의 제면 적성에 관한 연구 (Noodle- Making Properties of Domestic Wheats Cultivars)

  • 남재경;한영숙;현영희;오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593-601
    • /
    • 2000
  • 국내산 밀로 수원 261, 수원 265, 은파, 고분, 알찬, 올그루, 금강밀 및 표준밀 ASW(Australian Standard White Wheat)의 제면 적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국내산 밀의 원맥과 밀가루의 회분함량은 표준밀 ASW보다 0.1-0.3%정도 높게 나와 제분시 회분의 조절이 더 요구되었다. 단백질 함량은 밀가루의 가공공정을 좌우하는 것으로 국내산 밀 품종 중 수원 261, 수원 265, 금강밀이 각각 10.32, 11.3, 9.57%로 제면용으로 적합하였다. Farinograph의 valorimeter value(v.v.)는 은파, 올그루, 금강밀이 각각 68, 67, 61 v.v.로 표준밀인 ASW의 70v.v.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어 중력분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Extensograph의 형상계수가 적을수록 박력분인데, 본 결과에서는 국내산 밀의 형상계수가 표준밀 보다 낮게 나타났다. 전분의 호화특성을 측정하는 amylograph에서 최고점도가 500-800 BU가 제면용으로 적합한데 국내산 밀 중 은파밀, 올그루밀, 금강밀이 이에 속하였다. 국내산 밀과 표준밀의 건면, 습면의 조리특성은 무게증가, 부피증가, 탁도로 나타내었는데 단백질 함량이 낮아 수분 침투가 많았던 올그루밀의 무게 , 부피증가가 높았다. 탁도는 무게, 부피의 증가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수원 265밀과 은파밀을 제외한 국내산 밀 품종은 표준밀 ASW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국수의 기계적 조직감을 습면, 건면으로 제조한 후 조리 전, 후로 나누어 TPA test를 측정하였다. 습면의 경우 조리에 의해 탄력성과 응집성을 증가시키며 국내산 밀이 표준밀 ASW보다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건면의 경우 탄력성, 응집성은 조리 전, 후 품질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고 검성, 씹힘성, 견고성의 경우 전반적으로 국내산 밀 품종이 표준밀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인장력의 경우 습면은 시료간 차이가 없었으나 건면의 경우 국내산 밀이 표준밀보다 높은 인장력을 보였고, 표준밀은 습면의 인장력과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국내산 밀의 경우는 습면과 비교시 2-3g force전도 인장력이 상승되었다. 국내산 밀 품종과 표준밀 ASW의 색도는 밀가루와 반죽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준밀이 적색도가 낮았고, 습면의 경우 밀가루보다 백색도와 적색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건면의 경우도 시료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표준밀 ASW가 국내산 밀보다 역시 적색도가 낮았으며 습면과 비교시 백색도는 비슷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되었다. 관능검사 항목은 습면과 건면으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습면, 건면 모두에서 금강밀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금강밀이 제면용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생면용에 적합한 밀가루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suitable for Wet Noodle)

  • 신은주;김남근;정장호;김효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0-546
    • /
    • 2014
  • 국내 시판되는 각 제분사별 면용밀가루(n=8) 중에서 중력밀가루(AF, n=4)와 고급면용밀가루(PF, n=4)를 일반성분분석과 입도, 반죽특성, Texture analyzer, 관능검사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조단백질함량은 AF, PF가 각각 평균 8.97~9.26%, 8.53~9.06%로 나타났고, 조회분함량은 AF, PF가 각각 0.38~0.40%, 0.35~0.39%로 PF가 단백질함량, 0.20~0.45%, 회분함량, 0.01~0.03%가 AF보다 낮은 결과였다. 국내에서 면용에 주로 이용되는 밀가루의 입도는 $47.5{\sim}56.5{\mu}m$의 범위임을 알 수 있었다. Farinogram의 흡수율은 AF가 57.08~59.70%, PF는 58.00~61.50%의 결과를 보여 PF가 1~2% 높은 흡수율임을 나타냈다. 형성시간은 AF가 1분20초~2분, PF는 5분-8분의 결과로 PF가 약 3분40초~6분 긴 형성시간의 특성을 보였다. 최고점도는 AF가 660~839 BU, PF는 667~983 BU의 범위를 보였다. Texture analyzer 측정값의 견고도, 부착성, 검성 모두 밀가루 종류별 차이보다는 제분사별 차이를 보여 제조공정 조건의 차이에 따른 영향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부드러운 정도와 기호도는 PF가 AF보다 좋게 평가되었다. 상관관계의 결과와 같이 회분함량이 낮을수록, 입도가 작을수록, 반죽형성시간이 길수록, 강력도가 높고, 약화도가 작을수록, 부드러움이 좋았으며,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회분함량이 높은 AF(중력밀가루)보다 회분함량이 낮으며 입도가 작은 PF(고급면용밀가루)가 생면용에 우수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포도 과피 첨가량에 따른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fter Addition of Grape-Peel Powder)

  • 조용기;김장익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822-828
    • /
    • 2008
  • Optimal Chinese-noodle product in the aspect of preference and quality that added functionality, the focus was put on developing the stable high value-added product in a farm househol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 for infrared water-content analysis of moisture was $85.74{\pm}0.12%$, crude protein was $1.31{\pm}0.01%$, the crude fat $3.91{\pm}0.08%$, the ash $1.83{\pm}0.01%$, carbohydrate $1.08{\pm}0.03%$, and crude fiber $6.12{\pm}0.10%$. For all experiments with Chinese noodles, the grape peels were frozen and dried, powdered, and filtered with a 150-mesh strainer. The grape-peel powder, was added to the composite flour in a proportion of 0%, 1%, 3%, 5%, and 7%. The color of the cooked noodle appeared brown, demonstrating that the L-value decreased as the amount of grape-peel powder increased. The value of a,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l of redness, increased and the cooked noodle appeared brown as the amount of grape-peel powder added increased. The yellowness of the cooked noodle tended to decrease as the value of b, which corresponds to the level of yellowness, gradually (p<0.05). In the texture analysis, hardness was highest in the 7% grape-peel powder group, while the 5% groups showed the highest springness values. The 1% groups showed the highest cohesivness while the 7% groups were the chewiest. The 7% groups had the lowest stickiness values (p<0.05). It terms of sensory quality, the overall surface color, texture and taste were perceived as superior for the 3% grape-peel powder-added groups and lowest for the 7% group (p<0.001). The 3% treatment showed the best overall quality.

  • PDF

어수리분말 첨가 국수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Noodles Prepared with Heracleum moellendorffii(Hogweed) Powder)

  • 남유화;홍주헌;윤광섭;노홍균;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02-607
    • /
    • 2010
  • 어수리의 실용적인 활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수리 분말을 첨가하여 생면을 제조하고. 이들 면의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국수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이 감소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 국물의 탁도와 조리중 고형분 손실량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생면의 명도(L)와 적색도(a)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b)는 증가하였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국수의 기호성은 증가하였으며, 0.6%첨가 국수가 기호성 즉 맛, 조직감, 종합적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대조구 22%, 어수리 분말 0.6%와 0.9%첨가구는 각각 40.22%와 49.42%이었다. 저장 중 미생물의 변화는 저장 6일째까지 대조구와 첨가구(0.3 - 0.6%)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장 12일째 대조구, 0.3% 그리고 0.6%첨가구는 $10^6$ CFU/mL이었으나, 어수리 분말 0.9%첨가 국수는 $10^3$ CFU/mL이었다. 저장 중 pH의 변화는 대조구와 0.3%, 0.6%첨가구는 유사하였으나 0.9% 첨가구는 전 저장기간 동안 pH의 변화가 지연되었다.

동결건조 마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 정창호;심기환;배영일;최진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369-1374
    • /
    • 2008
  •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의 일반성분과 밀가루 중량 100%를 기준하여 0.5, 1.0, 2.0 및 4.0%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품질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동결건조 마늘의 일반성분은 일반성분 중 수분 $4.72{\pm}0.14%$, 조단백질 $19.46{\pm}0.28%$, 조지방 $1.21{\pm}0.10%$, 가용성 무질소물 $68.45{\pm}2.06%$, 조섬유 $2.38{\pm}0.05%$ 및 회분 $3.78{\pm}0.06%$이었다.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국수의 중량, 부피 및 함수율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국물의 탁도는 증가하였다. 조리 전 반죽의 색도는 동결 건조 마늘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L, a 및 b값 모두 증가하였으며, 조리한 생면의 색도 중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동결건조 한 마늘 분말을 첨가하여 조리한 국수의 조직감은 밀가루만 첨가하여 제조한 대조구에 비하여 경도, 부착성, 탄력성, 검성, 씹힘성 및 응집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동결건조 마늘 분말 0.5% 첨가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않았다.

Pediocin 처리가 생면의 저장 중 pH와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diocin Treatment on the Microbial Quality of Wet Noodles during Storage)

  • 한민우;박기재;정승원;김석중;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28-331
    • /
    • 2007
  • Pediocin 처리에 따른 생면의 저장성 연장효과를 얻기 위하여 pediocin을 처리한 후 생면의 미생물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pH의 변화는 pediocin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후 2일에서 약간 증가 하다가 이후부터 점차 감소함을 보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일반 세균수의 변화는 점차 균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1,000 ppm 처리구의 경우 저장 1일 후 일시적으로 균수의 감소되어 살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나 이후 균수는 저장 4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장균군의 변화는 1,000 ppm 처리구의 경우 저장 4일까지 대장균군의 검출이 없었으나, 대조구의 경우 저장 후 2일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효모와 곰팡이군의 변화는 pediocin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균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대조구의 경우 균수가 빠르게 증가하여 저장 후 4일에서는 5 log CFU/mL 이상의 균수를 보였다. 따라서 pediocin 처리는 생면의 저장성 연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라지 분말 첨가량에 따른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Doraji Powder)

  • 유현희;주뤠이위;김선효;오종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48
    • /
    • 2020
  •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et noodles added with doraji (Platycodon grandiflourm) powder at concentrations of 1%, 2%, 3%, and 4%, respectively, were investigated. Th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crude fiber, and moisture contents of the dried doraji powder were 11.00%, 0.95%, 4.10%, 29.64%, and 6.21%, respectively. As the added amount of doraji powder increased, weight, volume, and water absorption of the wet noodles after cooking decreased. However, the turbidity of the soup increased. Color L values of wet and cooked noodles decreased, while a and b value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doraji powder. Texture measurement indicated that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of the cooked noodles decreased by addition of doraji powde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wet noodles added with doraji powder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doraji powder. Finally, sensory evaluation of wet noodles added with doraji powder revealed that taste significantly decreased. However, flavor, color, texture, appearance, and overall acceptance scores for the 1% addition group rank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oraji powder could be used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End-Use Properties of Korean Waxy Wheat Lines

  • Hong, Byung-Hee;Park, Chul-Soo;Baik, Byung-Kee;Ha, Yong-Wo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67-374
    • /
    • 2001
  • End-use properties of six Korean waxy wheat lines and their parental plant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Korean waxy wheat lines showed unsuitable characteristics for end products, such as sticky crumb of bread, sticky cooked wet and dry noodles and small cookie diameter. Korean waxy wheat lines produced lower loaf volume and less desirable crumb grain structure of bread, and lower chewiness of cooked wet and dry noodles than their parental plants even though Korean waxy wheats were much higher in protein content and SDS-sedimentation volume than their parental plants. We observed adverse effects of high flour protein content in Korean waxy wheat lines, such as smaller cookie diameter and harder snapping force than those produced from their parental plants.

  • PDF

서울지역 대중음식점의 위생상태에 관한 미생물학적 조사연구 - 물수건, 냉면육수, 엽차를 중심으로 - (Survey on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Restaurants in Seoul Area)

  • 신정식;박상현
    • 환경위생공학
    • /
    • 제1권1호
    • /
    • pp.41-46
    • /
    • 198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anitation of restaurants in Seoul Area. The subjects were 153 wet towels, 64 cold noodle soup and 190 barely t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wet towels: The detected rate of standard plate counts was $86.9\%$ (133 samples) and average count was $1.8\times10^3/g$ $the detected rate of coliform was $37.9\%$ (58 samples) and average count by MPN method was $2.0\times10^3/100g$, the detected rate of fecal coliform was $15.7\%$ (24 samples) and average count by MPN method was $3.2\times10/100g$. In cold noodle soups: The detected rate of standard plate counts was $100\%$ (64 samples) and average count was $9.4\times10^5/ml$, the detected rate of coliform was $75\%$ (48 samples) and average count by MPN method was $6.0\times10^5/100ml$, the detected rate of fecal coliform was $51.6\%$ (33 samples) and average count by MPN method was $3.4\times10^3/100ml$. In barely tea: The detected rate of standard plate counts was $87.4\%$(166 samples) and average count was $5.8\times10^3/ml$the detected rate of coliform was $66.3\%$ (126 samples) and average count by MPN method was $3.9\times10^3/100ml$, the detected rate of fecal coliform was $32.6\%$ (62 samples) and average count was by MPN method was $4.7\times10/100ml$.

  • PDF

자색 고구마 분말 첨가 생면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 이재상;유승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9-496
    • /
    • 2012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hocyanin content of wet noodl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freeze-dri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For viscosity, initial pasting temperature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reas peak viscosity, peak viscosity time and final viscosity steadi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breakdown value of viscosity and set back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For chromaticity, as the amount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L-value decreased gradually, whereas a-value gradually increased and b-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thocyanin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ddidtive group (91.79)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70.20). Measurement of texture characteristics found that hardness wa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but it decreased as the amount of purple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color, odor,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nce were high in the 6% addictive group. In this study, by investigating the anthocyanin content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attributes of wet noodles with freeze-dri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we found that the 6% additive group is the best. Our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oodles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