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state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31초

스모그 챔버를 이용한 이차 초미세유기먼지의 최근 연구 동향 (Review of Recent Smog Chamber Studies for Secondary Organic Aerosol)

  • 임용빈;이승복;김화진;김진영;배귀남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57
    • /
    • 2016
  • A smog chamber has been an effective tool to study air quality, particularly secondary organic aerosol (SOA), which is typically formed by atmospheric oxid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controlled environments, smog chamber studies have validated atmospheric oxidation by identifying, quantifying and monitoring products with state-of-art instruments (e.g., aerosol mass spectrometer,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and provided chemical insights of SOA formation by elucidating reaction mechanisms. This paper reviews types of smog chambers and the current state of smog chamber studies that have accomplished to find pathways of SOA formation, focusing on gas-particle partitioning of semivolatile products of VOC oxidation, heterogeneous reactions on aerosol surface, and aqueous chemistry in aerosol waters (e.g., cloud/fog droplets and wet aerosols). For future chamber studies, then, this paper discusses potential formation pathways of fine particles that East Asia countries (e.g., Korea and China) currently suffer from due to massive formation that gives rise to fatal health problems.

의료봉사에 대한 노인과 한의대생의 만족도 및 노인의 의료복지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The Study on Senior Citizens and Korean Medicin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bout Medical Service and Senior Citizens' Perception of Medical Welfare Service)

  • 안재학;채우정;조수경;조충식
    • 혜화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nior citizens' perception of medical welfare service in Daejeon, an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orean Medicin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bout medical services that they have done. Methods : We visited Daejeon city hall and Dae jeon Seo-gu community health center, and interviewed them. After that we select two population and did two different surveys. Firs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medical services and medical welfare in Daejeon, we select neglected class senior citizens who were serviced at social welfare center. Second, we select Daejeon Korean Medicine University student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medical services and pre-education. In first population, we random select 25 of 34 senior citizen who visits mere social welfare center. In second population, we random select 78 of 115 Korean Medicine University student who belongs to medical welfare club. Results : We found some advantages and problems in medical services. A lot of senior citizen who were serviced at social welfare center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about medical service. But there were few citizens who knows about health & medical welfare. And most Korean Medicine University student who services medical service to neglected class senior citizen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medical welfare for senior citizen needs more publicizing. Because result of our survey, many senior citizens showed not only low level of recognition in medical welfare service, also showed low utilization rate in public health center. And most Korean Medicine University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mselves about medical service that they have done, it seemed medical service gives beneficial influence to not only senior citizen but also Korean Medicine University student.

  • PDF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의 변화 - 행위자간 관계의 분석 - (The Change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Korea - Analyzing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Actors -)

  • 양난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4호
    • /
    • pp.79-102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의 변화를 민영화이론, 복지혼합, 소비자주의 접근으로 설명하는 것이 제한적이라고 보고 서비스 행위자간 관계분석으로 변화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서비스의 네 행위자인 이용자, 전달자, 제공자, 정부가 맺는 여섯 차원의 관계에서 변화를 공식성과 평등성 이라는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한국 사회복지서비스에서 행위자들의 관계가 온정적이고 시혜적인 성격의 비공식적이고 위계적인 관계에서 공식성과 평등성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제도화되고 있음을 포착하였다. 이러한 관계는 계약적 방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행위자 권리의 제도적 기초가 형성된 점이 의미 있는 변화로 발견되었다. 반면, 정부와 다른 행위자들과의 관계가 가지는 불명료성이 딜레마로 분석되었다. 이 딜레마는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에서 서비스 질 관리라는 정부의 역할을 구체화하면서 해결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PDF

한국 사회의 근대화 기획자 가족정치 : 가족계획사업을 중심으로 (Modernization Project of Korean Society and Family Politics: on the Basis of Family Planning Programs)

  • 김홍주
    • 한국인구학
    • /
    • 제25권1호
    • /
    • pp.51-82
    • /
    • 2002
  • 본 논문은 60년대 이후 한국 가족의 구조적 변동을 가져온 핵심 요인으로 가족계획사업을 통한 국가의 가족정치(family politics) 과정을 주목하였다. 국가의 용의주도한 기획 아래 가족의 '계획'이 이루어졌으며, '계획합리성(plan rationality)'에 의해 인위적이고 강압적으로 새로운 가족이 만들어진 것이다 가족계획사업의 진행과정에서 국가의 가족정치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사업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근대 가족의 이미지를 동원하는가 하면,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미시적 감시망 속에 가족을 묶어두기도 했다. 소자녀가족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지원을 통해 근대 핵가족을 유도하기도 했으며, 의료적 기술을 통해 강압적인 구조변동을 이끌기도 했다. 이에 따라 사업 이후 40년 동안 우리 가족은 규모의 축소와 구성의 단순화, 전반적인 근대적 가족행동 및 가치의 증가를 경험하게 되었다. 사업을 통해 국가는 가족을 공적 영역으로 끌어내고. 근대화 기획에 걸맞는 가족 유형과 규범을 만들어 갔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나타난 가족 문제는 아주 심각하다. 그럼에도 국가는 다시 신자유추의 정치담론을 통해 가족을 국가복지의 대리인이 될 것을 강요하고 있다. '가족을 통한 복지'로 국가복지의 취약성을 대신하려 한다. 가족은 복지의 대상이지 복지의 주체가 아니다. 국가의 가족정치는 바로 이러한 복지 대상으로서 가족을 만들어 가는 노력으로 바뀌어져야 한다.

미군정하 한국 복지체제, 1945~8: 좌절된 혁명과 대역전 (Capitalist Welfare Regime in US Military Government, 1945-1948)

  • 윤홍식
    • 한국사회정책
    • /
    • 제24권2호
    • /
    • pp.181-215
    • /
    • 2017
  • 본 연구는 미군정시기 분배체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 한국복지체제의 기원이 미군정시기의 정치와 경제질서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밝혔다. 1960년대 계급의 이해로부터 자유로운 개발국가의 탄생은 1945년부터 1948년까지의 미군정기를 사상하고는 상상할 수 없다. 미군정은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을 물리력으로 해체시키고, 좌파 정치세력에게 괴멸적 타격을 가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군정은 1945년 8월 해방 당시 좌파가 지배적인 한국의 정치지형을 우파가 지배적인 정치지형으로 완전히 전환시켰다. 더욱이 조선 민중 대다수가 바라던 사회(민주)주의 대신 미국식 자본주의를 이식시키는데도 미군정의 물리력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농지개혁을 통해 전통적 지주계급을 몰락시키고, 혁명적 농민들을 보수적인 농민으로 전환하고, 일본인이 소유했던 공장들의 배분을 통해 국가에 종속되는 새로운 자본가 계급을 탄생시켰다. 복지체제의 관점에서 미군정 시기의 가장 큰 의미는 미군정이 1960년대 계급의 이해로부터 자유로운 개발국가, 즉 노동력의 상품화에 기초한 한 복지체제가 만들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만든 것이다.

미국의 노동중심적 복지개혁에서의 '노동시장연결' 모델과 '인간자본개발' 모델 비교 (Comparing Labor Force Attachment and Human Capital Development Models in America's Welfare to Work Policies)

  • 김종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1권
    • /
    • pp.119-146
    • /
    • 2000
  • The goals and strategies of welfare-to-work (WTW) policies have been sources of contentious political debate.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20 years of welfare reform, there remain important differences of opinion regarding how best to design and deliver WTW programs. The proliferation of state and local WTW experiments ha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two ideal-types of WTW programs: the Labor Force Attachment and Human Capital Development models. Most of the recent policy debate about WTW in America has focused on the relative merits and performance of LFA and HCD. While the Primary goal of the LFA model is for welfare recipients to achieve a rapid transition into work, the HCD model seeks to improve the long-term employability of welfare dependents through education and skill development. LFA policies tend to be strongly outcome-oriented and generally can yield quick results. Their "any job is a good job" philosophy has proved attractive to policy-makers who are anxious to see concrete results in a short-term period. In contrast, the HCD policies do not simply dump welfare dependents at the bottom of the labor market, but aim to secure relatively stable and well-paid jobs. However, these strengths are offset by several practical weaknesses including high unit costs and long-term investment in human capital. In recent years, LFA policies have been increasingly favored by both policy officials and politicians in the United States. The introduction of Temporaray Assistance to Needy Families of 1996 has been accelerating the trend. What is going to happen to welfare recipients? This simple shift to the LFA model, however, will only see an alarming increase of working poor in a near future.

  • PDF

건설 안전관리의 현황과 발전방향 - 건설공사 관리의 개선방안 (The Countermeasure for improvement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 박무일
    • 기술사
    • /
    • 제34권3호
    • /
    • pp.33-40
    • /
    • 2001
  • Predict-Plan-Do is the main point to settle Safety management well, but we have neither Predict nor Plan. So just like the system of English CDM is necessary to be adapted in construction work which makes them work in full responsibility by clarifying the responsibility located step by step from planning to designing & constructing-To adapt this system needs more money for Safety than now, but this system makes companies earn maximum confidence & profit by accident prevention. Furthermore leads the nation and the society to earn large profit, then open the road to Welfare State. If you sees only the things such as money, profit, etc before your eyes, no more safety remains. That means no more respect of persons and no more welfare state.

  • PDF

한국 복지정치의 젠더메커니즘: 태도의 성별차이와 복지지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Gender Mechanism of Korean Welfare Politics: Gender Difference in Attitudes and Mediating Effects of Welfare Statuses)

  • 김은지;안상훈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2호
    • /
    • pp.309-334
    • /
    • 2010
  • 본 연구는 복지지위론을 분석틀로 삼아 한국 복지정치에서의 젠더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있다. 기존의 한국 실증연구들이 대부분 여성의 복지태도가 부정적이거나 통계적으로 무의미하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본연구의 태도에 관한 성별차이 분석도 이를 지지하는 방향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복지지위론의 견지에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결과, 한국 복지정치의 젠더메커니즘이 다음과 같이 구조화된다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첫째, 노동시장에서의 성별격차와 사회보험중심구조 하에서 한국 여성들은 남성보다 낮은 복지수급자 지위를 지니며 덜 친복지적인 태도를 지닌다. 둘째, 복지서비스 제공자를 매개로 해서는 남성보다 더 친복지적인 태도를 지닌다. 셋째, 여성은 복지납세자로서 낮은 지위를 갖기 때문에 친복지정당지지의 가능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노동시장 소득과 직결된 현금중심 전략에서 벗어나 욕구중심의 사회서비스중심 전략으로 전환할 경우, 여성을 친복지정치의 새로운 우군으로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저소득층 아동·청소년 교육복지정책 발전방안 (Development Plan of the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of Low Income Group)

  • 문아람;이윤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33-344
    • /
    • 2018
  • 저소득층 아동 소년을 위한 대표적인 교육복지정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드림스타트, 방과후학교 등 세 가지 교육복지정책의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보다 내실 있고 효율적인 교육복지정책 수립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문헌고찰 방법을 사용하였다. 각 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 교육복지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각 부처에서 분절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을 총괄할 통합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담당인력의 전문성 향상과 민간 인력의 고용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각 기관과 전문가 간 연계와 협의를 통해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을 고양해야 한다. 넷째, 새로운 서비스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국가의 재정분권이 복지재정에 미치는 영향 : OECD 19개 국가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national fiscal decentralization on welfare fiscal expenditure)

  • 이슬이;홍경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3호
    • /
    • pp.35-60
    • /
    • 2018
  • 본 연구는 탈산업사회를 경험한 복지국가들이 중앙정부의 재정 압박과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해 지방정부 책임과 역할의 확대를 포함한 지방분권을 그 대응방안으로 삼았다는 점을 주목하여, 재정분권이 복지재정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복지재정의 다면적 특성에 따라, 재정분권이 복지지출에 미친 영향과 현물급여 비중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화되었다. OECD 19개 회원국의 1997년에서 2013년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한 결합시계열회귀분석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분권 수준이 증가할수록 국가의 복지지출 수준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정분권 수준이 증가할수록 전체 복지지출 중 현물급여의 지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