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service user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6초

지방자치단체 민원실의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연구 - 광주광역시 구청사를 중심으로 - (User's Satisfaction with Universal Design in Local Government's Public Service Center - Focusing on Public Servic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 최아진;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67-76
    • /
    • 201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user' satisfaction about universal design in public service center that will be needed for helping planning and design the public service center.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visitor in five district's public service cent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253 responses were analyzed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bout universal design in public service center. The study also analyzed of the respondent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eatures of universal design were categorized into supportive design, communicability, safety-oriented design and accessible design, and total 25 specific items were included in the evalu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waiting space, however they showed a lower level of satisfaction toward the information materials space. Those with a higher education attainment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stronger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and information materials space. Groups with a lower age were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common space and public service space. Also female tended to show a strong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ommon space than mal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ould provide a guideline for planning and design the public service center.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of Senior Center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최정민;이수애;박민서;권구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63-77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의 관계구조에서 임파워먼트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 후, X2 차이 검증을 통해 경쟁모형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 중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운영과 관련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의 이용자 참여 확대, 직원의 임파워먼트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기회와 인센티브 제공, 임파워먼트 실천 모델개발과 매뉴얼화, 임파워먼트 실천에 대한 정부의 평가체계 반영 등을 제안하였다.

사회복지심부름센터 효과성 평가에 대한 다층분석 연구 (A Multi-layered Analysis Study o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he Social Welfare Errand Center)

  • 송운용;도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62-675
    • /
    • 2021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사회복지심부름센터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용자의 개인특성 및 종사자 직무환경특성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주목한 연구이다. 분석 자료는 전라북도 각 시·군 사회복지심부름센터 11개소의 이용자 및 종사자를 대상으로 수집한 서베이 자료이다. 구체적인 분석에서는 이용자들의 개인특성은 1수준 독립변수, 종사자의 직무환경 특성은 2수준 독립변수, 이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한 다음 위계적 선형모형분석 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가구, 직무가치감, 직무스트레스, 역할과다, 급여만족도가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종사자의 직무환경특성이 서비스 이용자들의 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보여주는 바로, 사회복지심부름센터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가치감, 직무스트레스, 역할과다, 급여만족도 등의 종사자의 직무환경 측면들에의 개선이 적극 필요함을 시사하여 준다.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 기제와 한국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 (Issues on User Participation in Korean Disability Services : Implications from UK Community Care)

  • 김용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363-38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 커뮤니티케어의 이용자 참여와 관련된 요소들의 검토를 통해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서 이용자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한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함의는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영국의 커뮤니티케어에서 채택한 핵심적인 전략인 시장기제의 도입을 통한 소비자주의 접근은 크게 다른 서비스 환경 때문에 현재의 우리나라 장애인서비스에는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방이양의 쟁점과 관련하여 서비스의 지방이양이 서비스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이용자의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서비스의 질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먼저 정립되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들에게 사정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이와 함께 사례관리 과정에 의해 운영되는 공식적 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필요하다. 넷째, 이용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와 함께 서비스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공식화된 이의제기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전문가들이 이용자들의 개별적인 서비스 과정에 대한 참여뿐만 아니라 집단적인 이용자 운동의 참여에 대해서도 지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가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용자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장애인운동의 역할도 동시에 강조될 필요가 있다.

  • PDF

지역사회서비스 이용자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ser's Repurchase Intention on Community Social Service)

  • 이형하;최한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169-17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사회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사회서비스의 재구매의도 수준을 분석하고, 사회서비스의 만족요인과 효과성이 재구매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사회서비스 재구매의도 수준은 평균 3.62(5점만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사회서비스 재구매의도에 서비스만족도 요인중 본인부담액(B=.2111, p<.001), 서비스접근성(B=.144, p<.005)과 서비스효과요인중 일상생활 적응성(B=.164, p<.005)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 PDF

방문요양서비스 기관 평가의 효과성 : 이용자 관점에서 (Effectiveness of Evaluation for Visiting Care Service Institu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 조한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50-15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용자의 관점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 기관 평가의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내 지역별(14개 시·군) 할당표집을 통해 수집한 이용자(266명) 설문자료와 기관(47개) 자료를 결합하여 다층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평가영역 중 이용자에게 권리의식을 갖게하고, 이용자를 존중하는지에 대한 '권리·책임' 영역의 점수가 높을수록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5개 평가영역 중 '권리·책임' 영역과 '급여제공결과' 영역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관운영', '환경·안전', '급여제공과정' 영역은 서비스 품질, 만족도,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형식적이고 정량적인 평가지표보다는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고, 방문요양서비스의 기본 목적에 충실한 내용으로 평가지표를 재구성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지역적 환경과 제도적 특성을 고려한 사회서비스 공급체계 분석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ccording to the Community Size and Financial Provision Types)

  • 김은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3호
    • /
    • pp.5-33
    • /
    • 2016
  •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의 핵심적 공급환경인 지역유형과 제도환경인 재정지원방식에 주목하여 사회서비스 공급현황과 공급체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역유형별로 사회서비스가 공급현황에 차이가 있는지, 재정지원방식별로 어떠한 공급특성이 나타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제도적, 지역적 차이가 실제로 사회서비스 공급체계 내 하위요소들 간 관계(타기관, 이용자, 공공부문)에는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사회서비스 수요공급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4,100개의 사회서비스 공급기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급기관(재정)지원방식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재정)지원서비스나 시장방식 서비스와 비교해서 타기관간 경쟁의 정도나 이용자와의 관계에서 역점사항, 정부에 대한 정책적 요구도에서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의 지역유형 간 격차가 크지 않았다. 이용자지원서비스는 이용자와의 관계에서, 시장방식서비스의 경우 정부와의 관계에서 이러한 지역 간 격차가 뚜렷이 나타났다. 대도시 지역에서는 이용자지원방식이 시장방식과 유사하게 작동되고 있는 반면 농어촌 지역에서는 공급기관지원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움직이고 있었다.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농어촌에서 경쟁기관의 수가 상당히 적으며, 이용자와의 관계에서 있어서도 홍보나 마케팅과 같은 시장전략이 중시되지 않았다. 시장방식서비스도 농어촌에서는 경쟁기관수가 대도시나 중소도시에 비해 확연히 적고, 직접적인 국가의 정책지원을 상당히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기제를 활용(이용자지원과 시장방식)하는 사회서비스 공급방식이 농어촌지역에서는 자연스럽게 작동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수체육활동프로그램 참여 부모의 프로그램 가치, 서비스품질, 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rogram value,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of parents participating in adapted physical activity)

  • 유진호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87-94
    • /
    • 2022
  • 본 연구는 목적은 특수체육활동에 참여하는 부모의 프로그램 가치 인식, 서비스품질, 서비스만족의 관계를 검증하고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장애인 복지시설 및 사설특수체육기관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였으며, 수집되어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36부이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그리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프로그램 가치 인식과 서비스 품질의 관계에서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 보증성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둘째, 프로그램 가치 인식과 서비스 만족의 관계에서 이용만족, 성과만족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셋째, 서비스품질과 서비스 만족의 관계에서 이용만족, 성과만족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A Study on the Effect of Beauty Service of the Elderly on Successful Ageing: 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 Jung, Myung-Hee;Moon, Ji-Su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4호
    • /
    • pp.213-223
    • /
    • 2018
  • The interest in decrepitude expanded by graying is gradually growing in modern society. Moreover, he concern over decrepitude along with healthy mind and body is increasing. Therefore, there are many concerns and efforts toward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the interest in and effort for appearance health and value is rising as well as physical and mind health. The middle age is the most stable age based on the economic and social status that had been achieved through the life, but it is the most stressful age due to physical health problem and appearance ageing. There are many advanced studies for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by using hair, skin-care, cosmetic, nail-art among beauty related fields but studies on self-esteem and perception of successful ageing through user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 is lacking. This study is aiming to verify empir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improvement through user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eing for middle-aged over 50 years old. The study has assumed that the higher middle-aged's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 is, the more self-esteem improves and there has a mediated effect to contribute successful ageing.

Effect of Social Service Quality on Service Satisfaction and Service Repurchase - Focusing on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

  • Jang, Chun-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13-218
    • /
    • 2021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ocial services, developed countries overseas have introduced authorization or permit system to primary filtering when entering the market that provides social services. However, in Korea, a quality evaluation system for social service quality management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but no significant effect has been achieved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hich are important variables to measure social service quality improvement, and to use it for service quality manage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service quality, servic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re important factors for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ervice provider of and continuous user selection and service quality management are also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