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of Senior Center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oi, Jeong Mi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Su-A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 Park, Min-Seo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 Kweon, Gu-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최정민 (전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수애 (목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민서 (목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권구영 (목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2011.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Senior Center User's services satisfaction impacts quality of life.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ing Senior Center users. bootstraping metho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partial and full mediation model were compared and X2 difference 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two model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ing senior center us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ior center user's service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Empowering senior center user mediated fully the effect of senior center user's services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to aid the search for highly effective interventions.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의 관계구조에서 임파워먼트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 후, X2 차이 검증을 통해 경쟁모형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 중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운영과 관련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의 이용자 참여 확대, 직원의 임파워먼트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기회와 인센티브 제공, 임파워먼트 실천 모델개발과 매뉴얼화, 임파워먼트 실천에 대한 정부의 평가체계 반영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