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interest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윤리적 소비의 개념 및 실태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oncept and Practice of Ethical Consumption)

  • 박미혜;강이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047-1062
    • /
    • 2009
  • Nowadays, ethical consumers are increasing and they consider social values such as worker's human rights, environment and animal's welfare as key criteria in purchasing products. This study focused on the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of ethical consumption, in which the needs and interests are now growing globally. This study addressed the concept, trend and practices of ethical consumption as well as seeking methods to support and promote ethical consumption. It examined the concept and types of ethical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n ethical consumption. Ethical consumption was defined as a behavior that intend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the welfare of people and animals by purchasing products produced according to sound ethical principles and avoiding products that are made through the exploitation or the damage of people, animals and the environment. It also dealt with the practices of ethical consumption such as the fair trade movement, Clean Clothes Campaign, boycott, local food movement, animal's welfare movement. In conclusion, I suggested that consumers, companies, governments, and NGOs should make an effort to promote ethical consumption.

대학생의 노인세대 인식 : 세대갈등, 노인의 기여, 노인복지정책 인식을 중심으로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Older Generations: Focusing on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Elderly's Contribution and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Korea)

  • 최유석;오유진;문유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28-24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2013년 전국 대학생 865명 대상의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고령화, 저성장 경제에 직면한 대학생의 노인세대에 대한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은 노인세대와의 관계를 심각한 갈등관계로 인식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은 노인의 가족돌봄, 경제성장 기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세대간 재분배를 둘러싼 구체적인 정책에서는 청년세대와 노인세대 간의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진보적일수록 노인의 기여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노인복지에 대한 정부책임을 확대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정치관심이 많을수록 노인의 기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노인복지 재정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고 인식한 반면, 세대갈등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대출금액, 용돈금액, 전공계열, 취업준비여부도 노인세대에 대한 인식과 일부 관련을 맺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노인세대에 대한 이해와 노인세대와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만의 분절된 사회보험 체계의 역사적 기원: 노동보험과 공무원보험을 중심으로 (Historical Origins of Taiwan's Status-Differentiated Social Insurance Scheme)

  • 왕혜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3호
    • /
    • pp.151-178
    • /
    • 2014
  • 대만의 분절된 사회보험 체계는 높은 계층화 효과를 보이는 보수주의 복지체제의 일반적 특성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대만의 사회보험은 서구의 보수주의 복지국가들과는 다른 차별성을 보인다. 첫 번째로 대만의 사회보험은 초기부터 다양한 급부를 제공하는 종합보험의 형식으로 발달하였다. 두 번째로 노동보험과 공무원보험의 계층화 효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노동보험은 노동자라는 보편적 지위에 기반한 탈계급적 보험 형식을 취한 반면, 공무원보험은 직종과 지위별로 분절된 체계로 발전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대만의 사회보험체계를 국가의 복지개입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와 가입자들의 이해, 특히 공무원과 노동자 사이의 정치적, 경제적, 민족적으로 대립되는 정체성이 결합하여 만들어낸 결과임을 밝히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장애인복지기관에 대한 종사자와 이용자간 인식 (Difference between Employees and Users of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김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405-412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인자립생활센터(IL센터) 종사자 및 이용자가 갖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관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여 기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정보제공에 목적을 둔다.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장애인복지기관 8개소 장애인 이용 당사자 178명과 종사자 173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도, 기관의 미래 준비수준, 장애인복지기관의 변화예측 등 관련된 자체 제작 설문지를 통해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았으나 장애인복지기관의 준비수준에 대한 인식에서는 이용자에 비해 종사자이 인식하는 기관의 미래 준비수준은 낮다고 평하였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변화 예측에 대해서는 이용자에 비해 종사자가 더 긍정적 변화를 예측했고 종사자가 이용자 보다 더 높은 기대를 갖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런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대응전략을 위한 정보제공을 하여 향후 한국장애인복지계의 발전을 도모하고 한국장애인복지정책 방향설정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 여긴다.

주요일간지(主要日刊紙)의 보건의료관계사설(保健醫療關係社說) 내용분석(內容分析) (An Analysis on Contents of Health-Concerned Editorials in Korean Neswspapers)

  • 김병익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3권1호
    • /
    • pp.53-66
    • /
    • 1980
  • The editorials of the leading newspapers may reflect as well as help formulate the public opinions to a significant degree. Bearing this in mi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useful in formulating such public health policies that could practically meet the social interests and demands in health appearing in the editorials of the newspapers. This analysis covered the editorials of 5 leading newspapers such as Donga Ilbo, Chungang Ilbo, Hankook Ilto, Chosun Ilbo and Seoul Shinmoon for about 10 years from Jan. 1st, 1970 through Oct. 31th, 1979.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health-concerned editorials in the five daily papers for the period was 1,768 or occupied 6.4% of the total editorials of the same sources. The increasing trend of frequnecy of the health-concerned editorials since 1976 indicates the increment of social interests and demands in health. Analysing the contents, environmental pollution received the greatest attention in those editorials, which was followed by medical affairs, environmental sanitation, and disease control in order in terms of frequency of appearance.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interests i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medical affairs and social welfare tended to increase year by year, whereas those in environmental hygiene and disease control comparatively decreased. 2. Motives of dealing with the health-concerned editorials were provided by announcement of the governmental policies and implementation for 25.6% and by out-breaks of the relevant events for 23.9%. This tendency coincides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ditorials that reflect the timely issues. Closely analysing, however, the fact that the motives engendered by the out-breaks of the relevant events or by the season concerned comparatively tended to decrease as years pass by, indicates that the editorials tend more to seek the future-oriented demands in health rather than the current issue-oriented. 3. The editorials appeared to be more concerned with the governmental policies. 95.7% of all the editorials analysed were addressed to the government. This signifies the role of government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and medical affairs. Their attitudes toward health-related policies of the government were much more negative than the other editorials that were addressed to the government in other fields. This suggests that the governmental interests in health were neither sufficient nor fair. 4. What the editorials most stressed were; (1) increment of governmental interests in health, (2)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al health administration, (3) enriching the basic statistics, and (4)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pertinent to health affairs and disease control, and so forth. However, must of their suggestions were not concrete but rather abstract and conceptual. 5. The editorials also expressed strong interests in research area. The areas of the needed research most suggested by items are; (1) development of effective health care delivery system, (2) establishment of more practical system of calculating medical cost, (3) implementation of effective policies to control degenerative diseases, (4) division of medical care services and pharmaceutical services systems, (5) effective ways to prevent Co poisoning accidents, (6) changing statu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its effects upon health, and (7) status of occupational diseases, and so forth. 6. There were some editorials -not small in quantity -that have risk to mislead the public opinions as well as the health policies due to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writers.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some kind of mechanism that screens the erroneous contents of the editorials to help prevent misleading opinions.

  • PDF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자활, 복지의존, 일의 의미- (Re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in Poverty -The Meaning of Self-Sufficiency, Welfare Dependency, and Work-)

  • 정혜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251-277
    • /
    • 2015
  • 본 질적연구는 '아래로부터의 관점(bottom-up approach)'에 근거하여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국가와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복지가 "쓰러진 그들의 손을 잡아 일으켜 준", "남편 대신"이었다는 연구참여자들의 메시지를 통해 '복지의존'은 그들 스스로와 자녀의 삶을 지켜내는데 긴요한 도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그들에게 자활이란 '복지의존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라기보다 '복지의존을 통해 이루어갈 수 있는 과정적 지향'이며, 경제력 외에도 자존감을 세우고 자신의 가치를 찾을 수 있는 일을 통해 찾아나갈 수 있는 길이다.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을 돕기 위해서는 '일을 통한 탈수급'의 성급한 초점보다는 그들이 겪고 있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다루어 자활 잠재력을 복원하고 장기적 차원의 자활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직업 능력 개발과 자녀 보육 및 교육 지원 서비스의 확충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자활 사업이 참여자들에게 비추어진 '종속과 낙인'의 이미지를 벗고 근로연계복지의 애초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사업 참여 동기와 과정에 대한 내부자관점을 반영하는 수행 및 평가시스템을 갖추고 그들의 욕구와 관심에 따른 맞춤형 자활사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성인기의 노후준비의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 전귀연;배문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1호
    • /
    • pp.13-2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723 adults from Daegu and Kyungpook.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marriage status, occupation and incom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perception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elderly-related variables such as taken the elder program, interests in media for elderly, the opinion 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contact with aged and the opinion about contact with aged.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education, marriage status, occupation and income. Fi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behavior for preparing their old age according to the elderly-related variables such as taken the elder program, interests in media for elderly, the opinion on living together with the aged and the opinion about contact with aged.

산업기술정책의 정부개입 정당성과 정부의 역할 변화 (Legitimacy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industrial technology policy and changes in the government roles)

  • 장효성;성지은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79-102
    • /
    • 2009
  • 본 연구는 산업기술정책의 대상으로서 갖추어져야 하는 기술의 공공성 문제와 추격에서 탈추격 혁신체제 전환으로 나타나는 산업기술정책의 새로운 변화요구를 살펴보았다. 그동안 산업기술정책에서 정부개입의 근거가 되었던 공공성은 점차 퇴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가가 개입하여 특정한 기술 또는 산업을 진흥하는 것이 정당하고 효과적인가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1980-90년대 기술추격의 시기에는 소수의 특정기업을 선정 지원하여 신속히 선진기술을 추격케 하는 현장애로기술개발 중심의 산업기술정책이 효율적이었다. 하지만 현재는 창조형 기술개발을 목표로 탈추격의 행보를 가야 하는 환경이므로 기존의 정책 틀이 변화되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또한 최근 기업 R&D 비중에서 볼 수 있듯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주도권이 점차 민간주체인 기업 및 대학으로 넘어가고 있으며, 민간 부문이 정부 역할의 상당부분을 대치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정부주도의 강한 산업기술정책을 줄이고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환경과 인프라를 조성하는 간접 지원 정책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특정기업과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은 줄여 나가되, 기술혁신 활동의 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에너지, 환경, 보건복지 등에 정부의 R&D 투자 비중을 점차 높여나가야 한다.

  • PDF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Social Inclusion)의 개념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사회적 배제에서 포함으로- (A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Inclusion about the Disabled -From Social Exclusion to Inclusion-)

  • 신유리;김경미;유동철;김동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3호
    • /
    • pp.5-28
    • /
    • 2013
  • 최근 사회적 포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애인의 사회적 포함에 대한 연구들도 적극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장애인복지 영역에서 당사자들로 하여금 시민권자로서의 권리와 자원 등에 대한 동등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기존 패러다임의 재고, 새로운 관점 및 개념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사회적 포함의 관점이나 개념적 접근은 장애인들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제반영역에 완전히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과제제안에 유용한 접근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우선, 사회적 배제와 포함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부터 각 개념과 구성요소, 특성, 유용성 및 제한성 등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기초로 장애인에 대해 사회적 포함이 어떻게 개념화 되는지 고찰하고, 그리고 장애인복지에서 사회적 포함의 개념적 접근이 갖는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복지기술을 활용한 치매전략 방안 (Dementia Strategies using Welfare-technology)

  • 한정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57-363
    • /
    • 2022
  • 한국은 저출생 현상과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돌봄 위기에 처해 있다.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이 본격적으로 실시되면서 노인돌봄의 사회화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나 다양하지 못한 서비스 선택권, 맞춤형 돌봄의 부족, 커뮤니티 케어의 불안정함 등으로 돌봄의 공백은 아직 사회문제로 남아있다. 또한 고령화의 진전에 따라 치매유병율의 증가는 새로운 사회위기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복지기술은 부족한 자원과 증가하는 수요의 공백을 메꾸어줄 미래의 중요한 대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에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치매서비스를 경험한 바 있는 경증치매노인 집단그룹면접, 치매고위험군 집단그룹면접을 통해 복지기술에 대한 친밀성, 접근성, 치매예방방안 등을 파악하였다. 치매 정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두 그룹 모두 복지기술을 활용한 치매서비스에 관심이 높았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자립적 훈련은 친밀한 도구인 TV나 전화를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고 경증치매노인군의 경우 데이케어센터에서 기술활용을 위한 도움서비스와 가정 내 연계방안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