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ight of attributes

검색결과 246건 처리시간 0.03초

소비자 가치기반 디자인 평가 모형: 제품 속성, 인지 속성, 소비자 가치의 3단계 접근 (Design Evaluation Model Based on Consumer Values: Three-step Approach from Product Attributes, Perceived Attributes, to Consumer Values)

  • 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57-76
    • /
    • 2017
  •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같은 IT 기기에서 이런 변화들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전의 IT 기기들은 기능상의 혁신과 진보를 통해 소비자들을 끌어들였지만, 현재는 IT 제품 상에서 기능상 발전과 혁신은 둔화되었다. 기능상 차별점이 줄어든 시점에서 기업들은 외관과 디자인적 측면에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외관적 변화를 반영하듯 소비자들도 성능보단 디자인을 스마트폰 구매의 중요 요인으로 삼고 있다. 스마트폰은 패션 아이템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스마트폰의 디자인과 외형이 지속적으로 중요해짐에 따라 해당 제품에 대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디자인 가치가 무엇인지도 중요해졌으며, 무엇에 영향을 받는지도 중요해졌다. 소비자들이 느끼는 가치가 중요해짐에 따라 소비자들이 해당제품의 디자인에 대해 평가하는 메커니즘을 밝힐 필요성이 존재하며, 적절한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이 필요하다. 디자인과 관련한 기존 연구들은 소비자들의 인지와 가치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하였지만, 제품 속성 자체에 대한 부분은 고려하지 않은 경향이 있으며, 제품이 갖고 있는 객관적인 속성들에 따라 소비자들의 인지가 변화하는 과정과 최종적으로 느끼는 가치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는 부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제품이 갖고 있는 객관적 속성인 제품 속성과 객관적 속성을 통해 느끼는 소비자들의 인지, 가치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3단계 디자인 평가 모형을 제시하려 한다. 3단계 디자인 평가 모형은 제품 속성, 인지 속성, 소비자 가치까지 모든 단계를 고려한 정량화된 모형으로 스마트폰 분야만이 아닌 사용자경험 분야에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며, 기업이 갖고 있는 소비자 데이터와 결합한다면, 특정 소비자층을 겨냥한 제품 생산 및 설계가 가능한 지능형 디자인 가치 평가 모형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묘사분석 및 소비자 조사에 의한 참외의 관능특성 (Sensory properties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var. makuwa) by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and consumer test)

  • 김상섭;최은정;최정희;구경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27-737
    • /
    • 2016
  • 본 연구는 친환경 참외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성주지역에서 재배되는 참외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 방법별 품질 지표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성주산 참외의 묘사분석 결과 총 40개가 도출되었는데, 외과피에서 도출된 특성 6종과 향 특성 2종 및 중과피의 외관 특성 3종, 내과피 (endocarp) 외관 특성 4종, 또 중과피의 향 특성 5종과 내과피의 씨부분의 특성 3종이 도출되었다. 이외에 중과피의 맛 7종 및 조직감 특성 6종이었다. 한편 유기농 재배와 관행 재배된 참외의 pH, 총산도, 고형분 함량 등이 전반적으로 재배 방법과 재배 농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묘사 분석 및 일반 소비자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행재배 시료와 유기농 재배 시료 간에 차이가 있었고, 재배 농가별로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묘사분석에 의한 외관특성과 참외 중과피와 내과피의 품질 특성들의 주성분 분석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에 의한 총설명력은 각각 58.36%, 46.18%였다. 전반적으로 과피가 포함된 참외 시료의 경우는 외관에 의해 재배 방법과 재배 농가별로 비교적 차이가 뚜렷하였으나, 과피가 제거된 중과피와 내과피의 관능특성 항목에서는 관행재배(CC)를 제외하고는 농가별 시료는 확실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한편 소비자 조사 후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가 묘사 분석 결과와 유사하였고, 전체적인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관능적 품질 특성은 단맛, 단향,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참외 껍질의 노란색, 아삭함, 다즙성, 경도가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다.

C자형 영상증강장치를 사용한 방사선 투시하에 피부로부터 대요근 근구까지의 깊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Depth from the Skin to the Psoas Compartment under C-arm Guidance)

  • 우승훈;강정권;오완수;홍기혁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1호
    • /
    • pp.93-96
    • /
    • 2000
  • Background: Psoas compartment block with local anesthetics and corticosteroids is one of the treatments which provides long term analgesia of the lower back and anterior thigh unilaterally, and its technical easiness and safety allows blind application without C-arm guidance in the out-patient clinic.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mean of the depth from the skin to the psoas compartment, and its correlation to the following attributes: age, weight, height and PI (Ponderal Index). Methods: We investigated 28 patients who underwent psoas compartment block. All blocks were performed using Chayen's method (punctured at the point of 3 cm caudally and 5 cm laterally from the 4th lumbar vertebral spinous process) with a 22 G, 8 cm Tuohy needle under C-arm guidance. We recorded the depth from skin to the psoas compartment, height, weight and PI (weight (kg)/height (cm)$\times100$ (%)).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depth and other attributes identified by p-value of less than 0.05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mean depths from skin to the psoas compartment were $6.02{\pm}0.28$ cm in men, $5.44{\pm}0.22$ cm in women.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pth and other patient's attributes. Conclusions: The mean depths from skin to the psoas compartment may be one of the guide for psoas compartment block in outpatient clinics without C-arm guidance.

  • PDF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비만도와 외식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besity Index and Attributes of Selecting Places to Eat Out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s - Focusing on Pusan University Students -)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58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지역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고 각 집단과 외식선택속성과 비만도와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PASW Statistic 18.0(Predictive Analytics Software)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t-test, ${\chi}^2$-test, 비 계층적 군집분석과 ANOVA을 실시하였다. 남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75.59 cm, 체중은 69.53kg이고, 여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62.81 cm, 체중은 53.42kg으로 나타내었다. 남학생 체질량지수를 저체중이 1.7%, 정상체중은 64.6%, 과체중 19.7%이고, 비만은 14.0%로 나타났다. 여학생 체질량지수는 저체중이 22.9%. 정상체중은 62.7%, 과체중이 8.5%, 비만은 5.9%를 나타내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항목은 건강추구, 안전성추구, 분위기추구, 미각추구, 서양음식추구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외식선택속성은 음식의 질과 서비스, 합리적인가격, 접근성과 분위기, 먹어본 경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군집1은 [식생활 무관심형 집단] 군집2는 [건강지향형 집단] 군집3은 [건강무관심형 집단]으로 군집 명을 부여하였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군집과 외식선택속성 요인간의 차이분석에서 군집1은 먹어본 경험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2는 음식과 서비스의 질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3은 접근선과 이미지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 PDF

위탁급식 전문업체 브랜드이미지 척도 개발 (Scale Development for Measuring the Brand Images of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 류혜숙;김옥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2호
    • /
    • pp.186-197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brand images of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by identifying brand image attributes and then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to measure the weight of these attributes. The measurement scale was developed by following a 5-stage process that included face-to-face interviews with experts,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 surveys, verification of scale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total of 137 items measuring brand image were collected: 37 items from studies of brand image and corporate image, 55 items from studies of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and 45 items from the internet and websites of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A survey was then conducted to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tems. Ultimately, the 137 items were reduced to 40 items. The calculated Cronbach's alpha for the 40 brand image items was 0.934, demonstrating good internal consistency.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employee attitude, menu content, corporate image, dining location and ambience, along with 33 subattributes, were identified as brand image attributes. Employee attitude was the most significant attribute influencing brand image. Aft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a review process, four brand image attributes and 33 subattributes were finalized and incorporated into the scale.

  • PDF

Visual Tactile Attributes in Online Product Presentations for Improving Purchase Intention

  • Suh, YouHyun;Kim, Songmi;Kim, Wonj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2호
    • /
    • pp.7-15
    • /
    • 2018
  • Online shopping is increasing worldwide. Providing customers actual feeling of the product is essential in online shopping. Various technological aids can be used to support visual feeling. When delivering visual tangibility, it is important to study which attributes are significant in product presentations that best portray the actual tactileness. In this perspective, we suggest 'visual tactility' (VT) as a parameter for delivering tangibility in visual presentation. By measuring visual tactility in different product types, latent factors of visual tactility were identified and their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was determined in this study. We defined material properties of touch such as surface texture, hardness, temperature, and weight as Visual Tactility (VT), the influential factor of tactilit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V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d analyzed tactileness within four online product presentations: single static picture, multi static pictures, zoom, and video.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underlying effects of visual tactile attributes on touch and determine their influences according to online product presentation formats. Our results showed that visual tactility positive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 and that each attribute differed in importance according to product type. Moreover, this study revealed a strong relation between online product presentation and VT attributes. These results provide a guide when selecting which presentation is optimal for delivering a product's tactility in online shopping situation.

신뢰받는 블로그 콘텐츠의 특성 탐구: 파워블로그의 사용후기분석과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Attributes of Trusted Blog Contents: Through Analysis of Product-reviews in Powerblogs and Consumer Survey)

  • 소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73-8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로그 콘텐츠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블로그 속성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단계에서는 블로그 이용자의 질적 설문을 통하여 파워블로그 사용후기의 신뢰 속성을 도출하고, 2단계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신뢰 속성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가 블로그 사용후기의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려하는 35개의 신뢰 속성이 도출되었다. 개별 신뢰 속성은 유명도, 실재감, 매력도, 진실성, 전문성의 다섯 신뢰요인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전반적으로 '가치 있는 정보의 제공'과 '진실한 의도'가 블로그 신뢰성 평가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블로그의 매력도 역시 신뢰성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이었다. 셋째 전통적인 신뢰연구에서 주목받지 못했던 '실재감'이 주요한 신뢰속성으로 등장하였다. 남녀의 차이와 블로그 이용 동기에 따른 신뢰속성의 중요도가 함께 분석되었으며, 이에 근거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가 제시되었다.

포장조건에 따른 청매실의 호흡생리 및 선도유지 특성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nd Quality Attributes of Mature-Green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as Influenced by MAP Conditions)

  • 차환수;홍석인;박정선;박용곤;김관;조재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304-1309
    • /
    • 1999
  • The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nd quality attributes of mature green mume fruits as influenced b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MAP) conditions during storage at 25oC for 8 days were investigated. The quality attributes of mume frui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fresh weight loss, physiological injury and yellowing. The packaging materials used for MAP were low density polyethylene(LDPE) films with various different thicknesses. Yellowing and fresh weight loss of mume fruits were noticeably reduced by the packaging treatments with LDPE A and B. The physiological injury of the fruits during storage was found to be more severe in LDPE C than others. For LDPE A and B, the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tents within the packages of Mume fruits maintained at the levels of 2~3% and 7~8%,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visual quality, MAP prolonged the shelf life of the fruits much longer compared with the unsealed control.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LDPE films with the gas trans mission rates of about 2,100 O2 ml/m2.day.atm and 6,700 CO2 ml/m2.day.atm would be proper for MAP of mature green mume fruits during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 PDF

LED조명등기구 디자인 개발을 위한 형태적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Attributes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LED Lighting Fixtures)

  • 윤봉식;조광수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4호
    • /
    • pp.103-110
    • /
    • 2016
  • 본 연구는 유사 목적을 가진 제품들을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기능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범주화하여 전형성 추출함으로써 기구디자인 개발 시, 개발방향의 기준 마련에 목적을 둔다. 전형성 추출을 위한 본 연구의 표본영역은 선험 사례연구와 전문가자문을 통해 팬던트형과 천정부착형으로 제한을 두고, 한국과 일본에 출시된 2015년 12월 이전 출시 제품을 표본으로 국내 주요 6개 도시 관련업무 종사자 및 전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형태적 분류를 위한 1차 조사와 전형성 추출에 관한 2차 조사, 형태적 디자인속성 분류에 관한 3차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기능 및 형태적 분류와 조형원리를 기준으로 디자인 속성을 도출하고 개별 요소를 추출함으로써 디자인 가중치 측정에 대한 향후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의 산업적 적용으로 광원 대체로 인한 조명기구 시장변화에 디자인기술의 효율적 역할 정립과 기업의 연구개발 및 조명기구관련 제품디자인 타입 변화 가속화에 신속한 대응방향 제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적응적 가중치에 의한 특징점 추적 알고리즘 (A Feature Tracking Algorithm Using Adaptive Weight Adjustment)

  • 정종면;문영식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6S권11호
    • /
    • pp.68-7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에서 특징점의 궤적을 추적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된 대부분의 정합의 척도(matching measure)는 동영상의 움직임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여 잘못된 궤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범의 공간좌표, 이동방향과 이동거리 등 3가지 속성을 정합에 사용하는데 이들 속성에 대하여 가중치(weight)가 부여된 Euclidean 거리를 정합의 척도로 사용한다. 이때 3가지 속성에 대한 가중치를 움직임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시켜 줌으로써 강건하게 특징점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매 프레임마다 특징점의 운동특성을 정확히 반영함으로써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정확한 궤적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동영상에 대한 실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