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Attributes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LED Lighting Fixtures

LED조명등기구 디자인 개발을 위한 형태적 속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윤봉식 (남부대학교 IT디자인학과) ;
  • 조광수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11.28
  • Accepted : 2016.12.1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tandards to give the design weight in case when developing equipment designs, by classifying products with similar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lso extracting the typicality. Limiting the sampling group for the extraction of the typicality to a pendant-type and a ceiling buried-type through the preceding case study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majors and relevant workers in six cities, sampling products released in Korea and Japan before May 2016. The 1st survey was about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nd the 2nd times about the extraction of the typicality while the 3rd one was about the classification of the morphological attributes. By drawing the design attributes based on the functional/morphological classification and formative principles, it aimed to establish the base of the future research on the measurement of design wei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 to efficiently establish the roles of design technology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lighting fixture market caused by the substitution of light sources, and also to draw the development direction to rapidly cope with the accelerated changes in lighting design types and corporate R&D.

본 연구는 유사 목적을 가진 제품들을 형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기능적 유사성을 기반으로 범주화하여 전형성 추출함으로써 기구디자인 개발 시, 개발방향의 기준 마련에 목적을 둔다. 전형성 추출을 위한 본 연구의 표본영역은 선험 사례연구와 전문가자문을 통해 팬던트형과 천정부착형으로 제한을 두고, 한국과 일본에 출시된 2015년 12월 이전 출시 제품을 표본으로 국내 주요 6개 도시 관련업무 종사자 및 전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형태적 분류를 위한 1차 조사와 전형성 추출에 관한 2차 조사, 형태적 디자인속성 분류에 관한 3차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기능 및 형태적 분류와 조형원리를 기준으로 디자인 속성을 도출하고 개별 요소를 추출함으로써 디자인 가중치 측정에 대한 향후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의 산업적 적용으로 광원 대체로 인한 조명기구 시장변화에 디자인기술의 효율적 역할 정립과 기업의 연구개발 및 조명기구관련 제품디자인 타입 변화 가속화에 신속한 대응방향 제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웅, 무인항공기 기반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 설계, 스마트미디어저널,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Vol.5(2), 54-55, 2016
  2. 강정화, 신재생에너지산업 동향,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2014.
  3. 권태일, 관광지 리모델링 사업의 영향요인 우선순위 도출에 관한 연구 -델파이 기법과 계층적 의사 결정 방법 적용,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지혜, 디자인 분야별 감성평가모형 적용성 분석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30, 2014.
  5. 류승호, 컨버전스 제품 개발을 위한 기능의 결합 조건에 관한 연구, 스마트미디어저널,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Vol.2(4), 48-49, 2013
  6. 양종열, 컨셉테스팅에서 제품디자인선호에 대한 디자인요소들의 영향, 디자인학연구, 한국디자인학회, Vol.43(3), 71-72, 2001.
  7. 유필화, 핸대의 마아케팅과학, 법문사, 146-148, 1990.
  8. 전민수, UI 사용성 테스트 실무. 멘토르출판사, 서울, 2011.
  9. Jesse James Grarrett, 사용자 경험의 요소. 인사이트, 서울, 2013.
  10. Everlight사의 Stephangreiner부사장 인터뷰 인용, 대만, 2013.
  11. 에너지관리공단, 2015.
  12. 유필화 외 공저, 핸대의 마아케팅과학, 법문사, 147-148, 1990.
  13. Angus, R. G., Heslegrave, R. J. Effects of sleep loss on sustained cognitive performance during a command and control simulation.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and Computers, 20 Vol.17(1), 1985.
  14. D.E. Kornbrot, Theoretical and Empirical Com parison of Luce's choice model and logistic Thurstone model of categorical judgment. 193-208, Vol.24(3), 1978. https://doi.org/10.3758/BF03206089
  15. D L Medin, M W Alton, T D Murphy, Given versus induced category representations: Use of prototype and exemplar information in classific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Learning Menory & Cognition 338-342, Vol.10(3), 1984.
  16. Displaybank Report, 'LED Lighting Industry Growth Perspective', 2009.
  17. Garner, W. R., & Felfoldy, G. L., Integrality of stimulus dimensions i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gnitive Psychology, 225-231, No.1, 1970.
  18. Izard, C.E. Humanemotions. New York, 1997.
  19. Limberg, L. Experiencing information seeking and learning: a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two phenomena. Retrieved October 19, 2012
  20. Robert M. Nosofsky, Attention, Similarity, and the Identification-Categorization Relationship, Journal of Expcrimmatal Psychology: General 41-42, Vol.115(1), 1996.
  21. Strategy Unlimited Report, 2013.
  22. Veryer, Welley and Hutchinson, The Influence of Unity and Prototypicality on Aesthethic Responses to New Product Desig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7-381, Vol.24(4),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