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contents

검색결과 2,368건 처리시간 0.039초

웹 컨텐츠 선호도 측정을 위한 대용량 웹로그 분석기 구현 (Implementation of big web logs analyzer in estimating preferences for web contents)

  • 최은정;김명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3-90
    • /
    • 2012
  • With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infrastructure, World Wide Web is evolving recently into various services such as cloud computing, social network services. It simply go beyond the sharing of information. It started to provide new services such as E-business, remote control or management, providing virtual services, and recently it is evolving into new services such as cloud computing and social network services. These kinds of communications through World Wide Web have been interested in and have developed user-centric customized services rather than providing provider-centric informations. In these environments, it is very important to check and analyze the user requests to a website. Especially, estimating user preferences is most important. For these reasons, analyzing web logs is being done, however, it has limitations that the most of data to analyze are based on page unit statistics. Therefore, it is not enough to evaluate user preferences only by statistics of specific page. Because recent main contents of web page design are being made of media files such as image files, and of dynamic pages utilizing the techniques of CSS, Div, iFrame etc. In this paper, large log analyzer was designed and executed to analyze web server log to estimate web contents preferences of users. With mapreduce which is based on Hadoop, large logs were analyzed and web contents preferences of media files such as image files, sounds and videos were estimated.

태깅 시스템의 태그 추천 알고리즘 (Tag Recommendation Algorithms in Tagging System)

  • 김현우;이강표;김형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9호
    • /
    • pp.927-935
    • /
    • 2010
  • 웹 2.0 시대에는 웹 상의 사용자들이 수많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함에 따라서 멀티미디어 검색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URL, 사진, 동영상과 같은 웹 컨텐츠를 설명하는 간단한 키워드인 태그는, 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역할을 하고 있다. 태그가 달린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면 훨씬 풍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웹 컨텐츠를 대상으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태그를 이용한 검색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 태그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는 많지 않다. 태그를 입력하는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이거나 어떠한 태그를 입력하는 것이 다른 사용자들로부터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태그 입력 과정을 도와주는 기법인 태그 추천이 연구되었다. 사용자가 어떠한 웹 컨텐츠를 게재하려고 할 때, 태그 추천 시스템이 해당 웹 컨텐츠에 적절한 태그를 추천하면, 사용자는 적절한 태그를 선택하는 것으로 태그 입력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태깅 시스템에서의 다양한 태그 추천 방법론을 분석하고, 분류하였다.

디지털 콘텐츠 제작 기반의 통합 출력 및 배포 도구를 위한 웹 응용프로그램 (The Web Application Program for Integrated Print and Distribution Tools Based on Contents Editing)

  • 임양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309-318
    • /
    • 2011
  • 최근 웹의 발전은 포털(portal) 사이트 중심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 사이트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사용자 편의를 위한 콘텐츠 제작용 웹 응용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으나, 다양한 웹 브라우저와 이기종(heterogeneous) 장치에서 동작하고 있는 웹 응용프로그램은 다양한 원소스 데이터의 포맷 형식들로 인해 아직까지 배포와 관리에 대한 많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여러 가지 단말기에서 작업할 수 있는 환경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 배포, 관리할 수 있는 통합형 출력 및 배포도구 (Integrative Displaying and Distributing Tool, IDD-Tool)를 제안한다. IDD-Tool은 사용자가 개인 맞춤의 작업환경에서 쉽게 콘텐츠 제작에 참여할 수 있고, IDD-Tool에서 제작된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어 교육, 출판, 기업 등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서버 기반 웹 리더 kWebAnywhere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ver-Based Web Reader kWebAnywhere)

  • 윤영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217-225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kWebAnywhere system based on WebAnywhere, which assists people with severely diminished eye sight and the blind people to access Internet information through Web interfaces. The WebAnywhere is a server-based web reader which reads aloud the web contents using TTS(text-to-speech) technology on the Internet without installing any software on the client's system. The system can be used in general web browsers using a built-in audio function, for blind users who are unable to afford to use a screen reader and for web developers to design web accessibility. However, the WebAnywhere is limited to supporting only a single language and cannot be applied to Korean web contents directly. Thus, in this paper, we modified the WebAnywhere to serve multiple language contents written in both English and Korean texts. The modified WebAnywhere system is called kWebAnywhere to differentiate it with the original system. The kWebAnywhere system is modified to support the Korean TTS system, VoiceText$^{TM}$, and to include user interface to control the parameters of the TTS system. Because the VoiceText$^{TM}$ system does not support the Festival API used in the WebAnywhere, we developed the Festival Wrapper to transform the VoiceText$^{TM}$'s private APIs to the Festival APIs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WebAnywhere engine. We expect that the developed system can help people with severely diminished eye sight and the blind people to access the internet contents easily.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의류학관련 교과목 콘텐츠의 개발 -의류소재 이해 및 분석- (Development of the Multimedia Contents for the Clothing & Textiles -Understanding h Analysis of Textile Materials-)

  • 이정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62-16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ultimedia contents for the subject . is the subject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ile materials and to be putting the key point to utilize the textile materials as the fashion materials. 1 developed the contents using multimedia system standing on the basis of Internet. The developed contents were organized to induce the interest. The sounds, pictures. computer graphics, animations, text, AOD and AOD etc. were utilized in these contents. These contents were consisted of preview, restudy, and the feedback through question. These contents can be executed directly in Web browser through Internet. Address is http://web.cnu.ac.kr/-fabric. Ⅰ applied this multimedia contents to actual class. It was utilized much more than textbook and it was turned out to be efficient in the experiment class. It was inspected that the most of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utilizing these multimedia contents.

Ajax기반 공유 word 개발 (Public word development based on Ajax)

  • 신영식;고성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12
    • /
    • 2006
  • 한때 word process를 하기 위해 PC를 구매하던 때가 있었다. 그리고 지금도 word process 기능은 PC를 쓰는데 없어서는 안 될 기능중 하나이다. 그리고 최근 들어 web2.0의 추세와 함께 일반 application에서 수행하였던 Application들이 Web에서 수행이 가능한 web application으로 변화하고 진화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기반의 공유 word process인 'Ajax기반 공유 word'를 만들었다. 이는 웹에서 WYSIWYG(what you see is what you get)으로 문서를 편집하면서 문서들을 사용자간 공유하고 문서의 변경내용을 다른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web application이다.

  • PDF

A Web Cluster Scheme using Distributed File Server in Internet Environments

  • Han, Jun-Ta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4권1호
    • /
    • pp.16-19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to new dispatcher method, which doesn't depend on an operating system of the server, and the direct routing method, by which a server answers a client's request at first hand. And, propose new web clustering scheme based on the contents on the web where web servers composed of cluster, with each different contents, answer client's request. The other purposes are to reduce overhead of the dispatcher through load balance, and to minimize the time to take in responding to a client's request. The performance of new web cluster scheme was improved by about 39% than that of the existing RR method. It was identifi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web cluster method was extraordinary improved comparing with that of the existing RR method as a whole.

DOM을 이용한 PC 웹 페이지에서 모바일 웹 페이지로의 다이나믹 오브젝트 변환 및 서비스 기법 (A Scheme that Transcodes and Services from PC Web Page to Mobile Web Page of Dynamic Object with DOM)

  • 김종근;강의선;심근정;고희애;임영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3호
    • /
    • pp.355-362
    • /
    • 2007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달과 모바일 인터넷의 확산으로 많은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웹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게 되었으며 나아가 더 많은 콘텐츠의 서비스를 요구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요구로 인하여 유선 웹 콘텐츠를 모바일 웹에 사용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변환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통신사 및 모바일 단말기들의 지원사양이 표준화되지 않아 모바일 웹 콘텐츠의 변환 및 생성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특히나 유선 웹 페이지의 내용 중에 시간이나 사용자에 따라 그 내용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다이나믹 오브젝트를 모바일 웹에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말기에 맞도록 스크립트를 프로그래밍 해야 할 뿐 아니라 사용되는 리소스의 선 변환이 요구되어진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유선 웹 페이지의 구조적 특성을 나타내는 DOM(Document Object Model)의 계층구조를 이용한다. 즉 유선 웹페이지를 분석하여 이를 자료구조화 하고, 이 가운데에서 다이나믹 오브젝트를 추출하여 그 영역을 인덱싱 하였다가, 모바일 웹 페이지를 서비스 할 때 인덱싱 된 위치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실시간으로 모바일 웹 콘텐츠를 생성하여 서비스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 기법을 적용하여 모바일 웹 콘텐츠를 편집하는 편집기와 이를 서비스하는 모바일 웹 서비스 서버를 개발하는 데 그 목표가 있다.

PC 및 PDA 브라우저 지원을 위한 XML 기반의 웹 컨텐츠 개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Developing XML-based Web Contents Supporting PC and PDA Browser)

  • 김경아;용환승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59-74
    • /
    • 2002
  • PDA, 휴대폰 등 무선 기기의 발달과 대중화와 더불어 무선 인터넷의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PC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PDA등에서 검색할 수 있는 웹 컨텐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풍부한 양질의 컨텐츠 제공을 위해 이미 제작된 유선 인터넷용 컨텐츠를 무선 인터넷에도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 변환 솔루션과 마크업 언어 통합 등의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기종 단말기를 지원하는 웹 컨텐츠 제작을 위해서 XSLT 엔진으로서 공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비용의 부담이 없고, 사용하기에도 간편하여 기존 HTML을 사용하는 웹 프로그래머들도 DTD와 XSL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만 학습하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XML 기반의 웹 컨텐츠 제작 기법을 사례 개발을 통해 제안한다.

  • PDF

대규모 웹 기록물의 원격수집을 위한 콘텐츠 중복 필터링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enhanced filtering method of the deduplication for bulk harvest of web records)

  • 이연수;남성운;윤대현
    • 기록학연구
    • /
    • 제35호
    • /
    • pp.133-160
    • /
    • 2013
  • 네트워크 및 정보통신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웹이 우리 일상에 미치는 영향력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웹 공간에서 생성되는 정보도 각 시대를 반영하는 중요한 기록물로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웹 정보들을 아카이빙 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중 한 가지가 자동화된 수집도구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스냅샷 전략이다. 하지만 스냅샷 전략은 주기적으로 웹 콘텐츠를 수집하기 때문에 동일한 웹 콘텐츠가 중복 수집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웹 환경에서 구현되는 복잡한 기술로 인하여 의미 없는 웹 콘텐츠가 수집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 홈페이지 웹 콘텐츠를 스냅샷 전략으로 수집한 사례 분석을 통해서 원격 수집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콘텐츠 중복 문제들을 살펴보고, 기술 측면에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