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attack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31초

피싱공격 차단을 위한 PSMS 설계 및 구현 (PSMS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a Phishing Attack Intercept)

  • 유재형;이동휘;양재수;박상민;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08
  • 최근의 공격은 URL과 사이트를 속이는 형태와 지능화된 악성코드를 침투하는 기술적 은닉기법을 이용한 공격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피싱보안 기술들은 아직 피싱 수법들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환경의 급변화함에 따른 개방된 정보교류 강화를 위해 웹서버와 클라이언트 간 네트워크 단에 프락시서버를 설치하여 유해사이트 분석 및 피싱URL을 화이트도메인리스트와 비교하여 필터링하고 안정된 웹 기반의 정보교류를 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최소한의 규제와 능동적인 제어를 통해 피싱차단 할 수 있는 설계 및 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ELPA: Emulation-Based Linked Page Map Analysis for the Detection of Drive-by Download Attacks

  • Choi, Sang-Yong;Kim, Daehyeok;Kim, Yo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2권3호
    • /
    • pp.422-435
    • /
    • 2016
  • Despite the convenience brought by the advances in web and Internet technology, users are increasingly being exposed to the danger of various types of cyber attacks. In particula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oday's cyber attacks usually occur on the web via malware distribution and the stealing of personal information. A drive-by download is a kind of web-based attack for malware distribution. Researchers have proposed various methods for detecting a drive-by download attack effectively. However, existing methods have limitations against recent evasion techniques, including JavaScript obfuscation, hiding, and dynamic code evalu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mulation-based malicious webpage detection method. Based on our study on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thods and the state-of-the-art evasion techniques, we will introduce four features that can detect malware distribution networks and we applied them to the proposed method. Our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a URL scan engine provided by VirusTotal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detects malicious webpages more precisely than existing solutions.

제어시스템의 웹 취약점에 대한 현황과 연구 (A Study on ICS/SCADA System Web Vulnerability)

  • 김희현;유진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27
    • /
    • 2019
  • 과거의 제어 시스템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않은 폐쇄망이라 그 자체로 보안성을 보장 받을 수 있었으나 최근에는 관리의 편이성 등을 위해 외부로 연결시켜 놓은 사례가 많으며, 폐쇄망이라고 주장을 하나 어느 한 접점은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어 운영 중인 제어시스템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외부 연결로 인해 해커들이 제어시스템을 목표로 다양한 공격 시도를 할 수 있게 되었으며 다양한 보안 위협에 노출되어 공격의 타겟이 되고 있는 실정은 당연한 것이다.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산업제어시스템은 웹서비스 또는 원격 관리를 위한 원격관리 포트가 대부분 연결되어 있으며 웹 프로그램을 통한 웹 서비스의 확대는 제어시스템도 예외는 아니므로 일반적인 웹 취약점을 그대로 상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격자 입장에서 제어시스템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시도되는 웹 해킹 공격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의 웹 취약점 항목을 분류 및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제어시스템 필수 웹 취약점을 선별하였으며 또한 누락된 취약점이 있는지 검토하고 확인하고 자 하였다.

Implementing Firewall to Mitigate YOYO Attack on Multi Master Cluster Nodes Using Fail2Ban

  • Muhammad Faraz Hyder;Muhammad Umer Farooq;Mustafa Latif;Faizan Razi Khan;Abdul Hameed;Noor Qayyum Khan;M. Ahsan Siddiqu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2호
    • /
    • pp.126-132
    • /
    • 2023
  • Web technology is evolving with the passage of time, from a single node server to high availability and then in the form of Kubernetes.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community have been trying to provide high availability in the form of multi master cluster with a solid election algorithm. This is helpful in increasing the resources in the form of pods inside the worker node. There are new impact of known DDoS attack, which is utilizing the resources at its peak, known as Yoyo attack. It is kind of burst attack that can utilize CPU and memory to its limit and provide legit visitors with a bad experience.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mitigate the Yoyo attack by introducing a firewall at load-balancer level to prevent the attack from going to the cluster network.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멀티레벨 에뮬레이션 (Multi-Level Emulation for Malware Distribution Networks Analysis)

  • 최상용;강익선;김대혁;노봉남;김용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121-1129
    • /
    • 2013
  • 최근 악성코드 유포는 단순한 개인적 피해를 넘어 3 20 사이버테러와 같은 사회적인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취약한 웹을 통한 유포방법인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by download) 공격은 가장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공격에 사용되는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Malware Distribution Network, MDN)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웹페이지 내에 포함된 난독화하고 은닉화한 스크립트를 식별해야 하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식별하기 위해 멀티레벨 에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숨겨져 있는 유포지로 연결하는 링크를 분석하여 악성코드 유포 네트워크 분석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호연관성 분석을 이용한 웹서버 보안관리 시스템 (Web-Serv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 김성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57-16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증가하고 있는 웹 서비스 공격을 정확하고 빠르게 탐지할 수 있고, 잘못된 공격탐지를 줄여줄 수 있는 웹서버 보안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여러 단위보안모듈들의 결과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상호연관성 분석과정을 통해 탐지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단위보안모듈은 네트웍기반 침입탐지시스템 모듈, 파일무결성 검사 모듈, 시스템로그분석 모듈 그리고 웹로그분석 모듈로 구성되며, 그리고 각각의 단위보안모듈들의 결과에 연관성을 부여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상호연관성 분석 모듈이 있다. 제안한 시스템은 공격탐지의 정확성 뿐 아니라 단위보안모듈의 추가 그리고 상호연관성 분석의 범위확장이 용이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안한 시스템의 단위보안모듈 중 침입탐지시스템 모듈은 다중 쓰레드 기반으로 Snort를 재구성하여 보다 빠른 공격 탐지 시간을 갖는다. 처리량이 많은 단위보안모듈의 처리시간을 단축함으로서 웹서버 보안관리시스템 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웹사이트 패스워드 인증 시스템의 보안성 분석 (Security Analysis on Password Authentication System of Web Sites)

  • 노희경;최창국;박민수;김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12호
    • /
    • pp.463-478
    • /
    • 2014
  • 포털사이트는 검색 엔진, 이메일 서비스뿐만 아니라 블로그, 뉴스, 쇼핑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 포털 업체인 네이버의 하루 평균 로그인 횟수가 3억 건에 달할 만큼 많은 사람들이 포털사이트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털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더불어 이용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포털사이트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 패스워드 인증 시스템은 주로 로그인 단계에서의 보안 위협에 초점을 두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패스워드 인증 시스템의 전체 절차인 회원가입, 로그인, 패스워드 재발급 1단계, 패스워드 재발급 2단계의 모든 단계에 대한 보안 위협 및 보안 요구사항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공통평가기준의 공격 성공 가능성이 로그인 단계에만 국한되었던 것을 확대시켜 패스워드 인증의 모든 단계에 대한 공격 성공 가능성을 측정하였으며, 국내외 포털사이트 패스워드 인증 시스템의 보안성을 정량화된 수치로 비교 분석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e 3-Tier Web Application with Open Source Software

  • 김창수;유혜인;이용주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3-54
    • /
    • 2010
  • Providing a secure 3-tier Web application has become a high priority for companies as e-businesses have increased the amount and the sensitivity of corporate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web. Web applications become more difficult to secure with this very increase in online traffic and transactions.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3-tier of web application, types of attacks that can threaten web application services and security principles. We then are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secure web application with open source software that able to mitigate the web application vulnerable to attack.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을 위한 가상화 기반 보안 모델 (A Study on Secure Model based Virtualization for Web Application Security)

  • 양환석;유승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7-32
    • /
    • 2014
  • 네트워크 기술의 빠른 발전과 컴퓨팅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웹 어플리케이션 활용 분야가 최근 몇 년 사이에 광범위하게 넓어졌으며 복잡해졌다. 이러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중요한 서비스에 많이 사용되면서, 이를 대상으로 한 공격도 증가하고 있으며, 그 방법도 다양해지고 지능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어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을 막기 위해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보안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델에서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해 생성되는 세션에 ID를 부여한 후 해당 요청에서 쿼리 유형을 분석하여 해당 가상 웹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도 쿼리에 대한 요청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가상 웹 서버들 사이의 트래픽을 감시하고, Host OS의 자원 낭비를 줄이기 위해 VM-Master 모듈을 구성하였다. 제안한 기법의 공격탐지 및 자원 활용의 우수한 성능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웹쉘 수집 및 분석을 통한 머신러닝기반 방어시스템 제안 연구 (A study on machine learning-based defense system proposal through web shell collection and analysis)

  • 김기환;신용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87-94
    • /
    • 2022
  • 최근 정보통신 인프라의 발달로 인터넷접속 디바이스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IoT디바이스까지 인터넷접속을 통하여 정보통신서비스를 받고 있는 것이다. 디바이스 운영환경이 대부분이 웹(WEB)으로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웹쉘을 이용한 웹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웹쉘이 웹 서버에 업로드 될 경우 웹 서버의 제어가 손쉽게 이루어 질 수 있어서 공격빈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웹쉘로 인한 피해가 많이 발생하면서 각 기업에서는 침입차단시스템, 방화벽, 웹방화벽등 다양한 보안장비로 공격에 대응하고 있지만,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웹쉘 대응 장비는 패턴 기반으로 탐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웹쉘 변종에 있어서는 탐지가 어려우며 이런 특성으로 웹쉘 공격의 예방 및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체계와 보안소프트웨어만 가지고 대응 하기에는 힘든 상황이 현실이다. 이에 인공지능 머신러닝 과 딥러닝기법을 활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웹쉘을 사전에 탐지하는 등 신규 사이버 공격에 대하여 대처 할 수 있는 인공지능 머신러닝 기반의 웹쉘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자동화된 웹쉘 방어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머시러닝기반 웹쉘 방어시스템 모델은 웹환경에 대한 사이버공격중의 하나인 악성 웹쉘에 대하여 수집, 분석, 탐지를 빠르게 하여,안전한 인터넷환경구축 및 운영시 필수적으로 적용이 필요한 웹정보보안 시스템 설계,구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