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ather station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9초

대기압이 가스유량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Atmospheric Pressure in the Gas Flow Measurement)

  • 정종태;하영철;이철구;허재영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2년도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 /
    • pp.363-369
    • /
    • 2002
  • Orifice meter is the most widely used flowmeter in custody transfer between KOGAS and city gas companies. Absolute pressure value is needed to calculate the gas flow of orifice metering system, but the gauge pressure transmitters are mainly used in the field. In case that the gauge pressure transmitters are used, the fixed value as standard atmospheric pressure(101.325kPa) is applied for the absolute pressure value. The real, local atmospheric pressures of each metering station a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condition as the altitude and weather conditions. In this study the flow calculation error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rough examining the atmospheric pressures of 50 stations of KOGAS. The data for analysis are such like the time data of supplied gas amount, the altitude of each metering station, the time data of atmospheric pressures and altitudes of each weather observat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 atmospheric pressures were different from the standard value and the gas flow calculation errors were distributed between $-0.024\%{\~}0.025\%$ based on the supplied gas amount in the year 1999 and 2000.

  • PDF

Effects of Weather Conditions on Sunburn in Stalk Curing of Burley Tobacco

  • Bae, Seong Kook;Jo, Chun Joon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2
    • /
    • 2000
  • The effects of stalk cutting time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 temperature, leaf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leaf moisture content during harvesting and curing in burley tobacco(Nicotiana tabacum L.) on weight loss of fresh stalks and sunburning in leaves were investigated at Chonju Experiment Station, Korea Ginseng & Tobacco Research Institute in 1996 and 1997. Twelve to fifteen percent of the fresh weight was lost in 3 to 4 hours after stalk-cutting, and sunburned leaves could be observed in case of stalk cutting between 11:00 and 15:00 O'clock on a clear sunny day, when the air temperature was 34 to 35$^{\circ}C$, leaf temperature 52 to 54$^{\circ}C$, and solar radiation 700 to 940 w/$m^2$. The leaves exposed to this weather condition were sunburned within 1 hour after stalk cutting. But low temperature (below $25^{\circ}C$) with high solar radiation(above 700w/m2) or high temperature(above 3$0^{\circ}C$) with low solar radiation (below 600w$m^2$) did not induce the sunburn damage in leaves. As the leaf temperature and leaf moisture content were higher, the sunburned leaves increased. The leaves at the higher stalk position were more easily sunburned than those at the low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mmature leaves with higher chlorophyll content might be more susceptible to sunburning.

  • PDF

빅데이터분석을 통한 도시철도 역사부하 패턴 분석 (Analysis of Electrical Loads in the Urban Railway Station by Big Data Analysis)

  • 박종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7권3호
    • /
    • pp.460-466
    • /
    • 2018
  • For the efficient energy consumption in an urban railway station, it is necessary to know the patterns of electrical loads for each usage in detail. The electrical loads in an urban railway statio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other normal electrical load, such as the peak load timing during a day. The lighting, HVAC, communication, and commercial loads make up large amount of electrical load for equipment in an urban railway station, and each of them has the unique specificity. These loads for each usage were estimated without measuring device by the polynomial regression method with big data such as total amount of electrical load and weather data. In the simulation with real data, the optimal polynomial regression model was third order polynomial regression model with 9 or 10 independent variables.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심도-지속시간-생기빈도 곡선의 유도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Drought Frequency Analysis)

  • 이주헌;김창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1호
    • /
    • pp.889-9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곡선을 유도하기 위해서 가뭄지수를 이용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지점으로는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기상청 산하의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강수자료는 1974~2010년(37년)의 강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뭄빈도해석에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선정하였으며 확률분포형에 대한 적합도 검정에서는 일반극치분포(GEV, Generalized Extreme Value)가 최적의 확률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가뭄지수의 빈도해석 통하여 유도된 주요 관측소별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이용하여 과거의 주요 가뭄사상에 대한 재현기간을 제시하였으며 1994~1995년 가뭄의 경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극심한 가뭄으로서 광주관측소에서는 50~100년, 부산관측소에서는 100~200년의 높은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그밖에 1988~1989년 가뭄의 경우 서울관측소에서는 300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기상조건과 입지특성이 공공자전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Weather Condi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age of Public Bike Sharing System)

  • 이장호;정경옥;신희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4-408
    • /
    • 2016
  • 본 연구는 효율적인 공공자전거 도입과 운영을 위하여 기상조건과 스테이션 입지특성이 공공자전거 수요 및 이용패턴에 영향을 파악하고자 고양시 공공자전거 대여자료를 가지고 선형회귀분석방법을 통해 시간대별 대여량 모형을 구축하였다. 기상조건에 따른 영향은 평균 기온이 상승할수록 대여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수량이 10mm 이상 되거나, 평균기온이 29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풍속이 7m/s 이상 되는 경우에 대여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지특성에 따른 영향은 새벽시간대는 유흥가가 위치한 중심상업지역이, 낮 시간대에는 공원지역과 중심 및 일반상업 지역의 대여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교시간대는 학교인근 스테이션의 대여량이 증가하고, 퇴근시간대는 지하철역 인근의 대여량이 두드러지게 높아진다. 심야시간대에는 공원지역에서의 대여량이 두드러졌다.

원격탐사자료와 GIS를 활용한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Urban Surface Temperature using Remotely Sensed Data and GIS)

  • 조명희;이광재;김운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7-6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도시표면온도를 추출하기 위하여 다시기 Landsat TM band 6 영상을 이용하여 과학기술부의 4가지 모델 즉 two-point linear model, linear regression model, quadratic regression model, cubic regression model에 대하여 각각 공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AWS(automatic weather station) 관측자료와 상관 및 회귀분석 함과 동시에 GIS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 표면온도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규명하였다. Landsat TM band 6으로부터 추출된 표면온도를 기초로 하여 토지피복별 표면온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도시 및 나지 지역이 가장 높은 온도분포대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표면온도와 NDVI간의 상관분석결과 평균 -0.85 정도의 음의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기상환경 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수립에 있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형 자동기상관측장비(Mini-AWS) 기압자료 보정 기법 (A Method for Correcting Air-Pressure Data Collected by Mini-AWS)

  • 하지훈;김용혁;임효혁;최덕환;이용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82-189
    • /
    • 2016
  • 수치예보모델을 이용한 예보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관측 간격이 조밀하고 많은 양의 관측자료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자동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tation, AWS)를 설치하여 관측자료를수 집하고 있지만, 고가의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 등의 경제적인 한계가 있다. 소형 자동기상관측장비(Mini-AWS)는 기온, 습도, 기압을 측정하고 기록할 수 있는 초소형 기상관측장비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 설치를 위한 장소 선택의 제약이 크지 않아 필요한 지역에 설치하여 관측자료를 수집하기가 용이하다. 그러나 설치 장소에 따라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관측자료의 보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Mini-AWS 기압자료를 기상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보정기법을 제안한다. Mini-AWS를 통해 수집된 관측자료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주변에서 가장 가까운 AWS 기압 값을 참값으로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기압 보정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기상관측 규정에 따른 허용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었으며, 지지벡터 회귀를 적용한 보정기법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Installation of Neutron Monitor at the Jang Bogo Station in Antarctica

  • Jung, Jongil;Oh, Suyeon;Yi, Yu;Evenson, Paul;Pyle, Roger;Jee, Geonhwa;Kim, Jeong-Han;Lee, Changsup;Sohn, Jongdae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345-348
    • /
    • 2016
  • In December 2015, we have installed neutron monitor at the Jang Bogo station in Antarctica. The Jang Bogo station is the second science station which is located at the coast ($74^{\circ}\;37.4^{\prime}S$, $164^{\circ}\;13.7^{\prime}E$) of Terra Nova Bay in Northern Victoria Land of Antarctica. A neutron monitor is an instrument to detect neutrons from secondary cosmic rays collided by the atmosphere. The installation of neutron monitor at Jang Bogo station is a part of transferred mission for neutron monitor at McMurdo station of USA. Among 18 tubes of 18-NM64 neutron monitor, we have completed relocation of 6 tubes and the rest will be transferred in December 2017. Currently, comparison of data from both neutron monitors is under way and there is a good agreement between the data. The neutron monitor at Jang Bogo station will be quite useful to study the space weather when the installation is completed.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ontrol Method for Minutely Rainfall Data)

  • 김민석;문영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319-326
    • /
    • 2015
  • 수자원 설계 및 홍수 예 경보 등을 위한 수문분석 시, 강우자료는 필수요소이다. 현재 수문분석 시 비교적 장기간의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기상청, 국토교통부 등의 지상기상관측지점(SSS, Surface Synoptic Stations)에 시 강우자료를 이용하고 있으나,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실정과 집중호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향후에는 더욱 조밀한 관측망을 구성하고 있는 방재기상관측지점(AWS, Automatic Weather Stations)의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는 자동으로 관측되고 있어, 자료품질에 대한 문제점이 매번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청 방재기상관측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관리방안은 크게 3단계로 결측치 품질관리, 이상치 품질관리 그리고 강우 보완 품질관리로 구분하여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서울지점의 분 단위 강우자료와 시 단위 강우자료의 비교분석을 통해 강우 품질관리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분 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수문분석 시, 강우자료 품질관리 방안으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