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park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물놀이.입욕시설의 조명설비 시설규정 연구 (A Study on the lighting Installation Regulations in Waterpark, Public Bath and Similar Places for the Prevention of Electrical Shock)

  • 김종민;김한상;김기현;황광수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9-344
    • /
    • 2005
  • A person's body resistance in the waterpark, public bath and similar places is lower than any other places due to effect of water. So low voltage may create a shock hazard for the human body in case of leakage or fault currents from lighting unit etc. We researched the related regulations these are internal standards, NEC, IEC and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for the prevention of electrical shock due to lighting units in the waterpark, public bath and similar places. So we could present actual facilities's problems and solutions

  • PDF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물놀이.입욕시설의 조명설비 시설기준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of Lighting Installation Technical Standard in Waterpark, Public Bath and Similar Places for the Prevention of Electric Shock)

  • 김종민;김한상;김기현;이건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8-85
    • /
    • 2006
  • 물놀이 입욕시설 내에서 입욕자는 물의 영향으로 인하여 인체의 피부저항이 다른 어느 장소보다도 현저히 낮은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조명기구 등에 누전이 발생할 경우 미약한 전압에서도 치명적인 감전재해의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물놀이 입욕시설 내에서의 조명기구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 외 관련규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또한, 국내 시설실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규정은 외국기준에 비해 적용범위가 불명확하고 환경조건의 구별이 불투명하고 사용전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의 규정도 조명시설의 설치높이를 상향조정하고 조명기기의 외함에는 방수등급의 표기, 선간전압으로의 사용전압을 제한하는 등의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터파크 품질평가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Waterpark Quality Evaluation Factors)

  • 김신중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37-249
    • /
    • 2011
  • 오늘날 소득수준의 향상, 여가시간의 증대와 다양한 사회 문화적 변화로 인하여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와 다양성에 대한 소비자 욕구는 높아지고 있다. 워터파크는 이러한 여가문화의 변화에 부응하는 주요 레져스포츠 시설로 평가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많은 공급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워터파크 시스템의 고객 만족 수준 향상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이용자들의 특성에 따른 요구와 이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 분석하여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경쟁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워터파크 선택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서비스 품질평가 요인을 분류하여 이들 요인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가요인의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를 파악하여 목표고객에 대한 적절한 경쟁전략 수립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1) 소비자들은 안전성 영역을 가장 중요시하였으며, 즐거움 영역의 중요도를 가장 낮게 평가하였다. 2) 일부 평가영역 및 세부 평가요인에 있어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 집단 간 중요도에 있어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평가영역 및 평가요인별 만족도에 있어서는 안전성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비용/가격 영역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물놀이.입욕시설에서의 수중 감전 위험성 연구 (Study of the Electric Shock Risk in Water at the Waterpark, Public Bath)

  • 김종민;김한상;김기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
    • /
    • pp.93-94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the evaluation electric shock risk in water so that we made and designed a bathtub which is the same size in real public bath. and then we did an experiment, provided of electric leakage in various conditions so, we measured how to form an electric gradient and knew the electric gradient is formed variously under exposed conductor in water. also we made certain that electric shock risk is down if we insert an insulated pipe in bathtub pipe which is prevent from being formed the electric field sharply.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워터파크 현황 및 인식 분석 (Analysis of Waterpark Status and Recognition Using Big Data Analysis)

  • 김재환;이재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525-535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워터파크와 관련된 키워드를 통해 소비자 인식, 워터파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네이버와 다음을 수집채널로 선정하였으며, 키워드는 '워터파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기간은 2015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총 2년간을 연구기간으로 한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빈도수를 살펴본 결과, 2015년 몰래카메라, 롯데워터파크, 검거, 용의자, 김해 2016년 롯데워터파크, 물놀이, 여름, 개장, 입장권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결과, 2015년 몰래카메라, 검거, 용의자, 여성, 샤워실 2016년 물놀이, 롯데워터파크, 여름, 원마운트, 입장권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N-GRAM 네트워크 그래프를 실시한 결과, 2015년 워터파크/몰래카메라, 몰래카메라/몰래카메라, 용의자/검거, 김해/롯데워터파크, 워터파크/용의자, 2016년 원마운트/워터파크, 김해/롯데워터파크, 워터파크/입장권, 워터파크/워터파크, 워터파크/개장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CONCOR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5년 3개의 그룹과 2016년 2개의 그룹이 형성되었다.

워터파크의 서비스품질 척도개발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Waterpark Service Quality)

  • 곽한병;김경식;이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426-435
    • /
    • 2010
  • 이 연구는 워터파크의 서비스품질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회의 및 패널조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분석, 평가자간 신뢰도, 그리고 내적 일관성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서비스품질 척도의 타당도는 매우 높다. 즉, 서비스품질 척도는 쾌적성 청결성, 안전성, 종사원, 가격, 프로그램, 주시설, 부대시설, 접근성, 판촉으로 탐색 확인되었으며, 쾌적성 청결성 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다. 둘째, 서비스품질 척도의 신뢰도는 매우 높다. 즉, 서비스품질 척도는 문항과 영역간 문항과 총점간 상관정도가 높으며,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판촉 요인을 제외하고 Cronbach's $\alpha$값이 .603이상이다. 판촉 요인의 신뢰도는 .60이하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서비스품질 척도는 경험적으로 매우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척도임을 알 수 있다. 워터파크의 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서비스품질 주요 요인을 파악하여 경영혁신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