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solubility

검색결과 1,263건 처리시간 0.027초

보리와 귀리의 품종 및 입도 분획별 ${\beta}-glucan$ 함량 (${\beta}-Glucan$ Contents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and Varieties of Barley and Oats)

  • 정헌상;강태수;정익수;박희정;민용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10-616
    • /
    • 2003
  • 국내산 보리 17종과 귀리 5종을 정맥하고 분쇄한 후 $105{\sim}600\;{\mu}m$ 범위의 입도로 분획하여 총, 수용성 및 불용성(1-3),(1-4)-${\beta}$-D-glucan(${\beta}$-glucan)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정맥시 보리의 알곡비율은 65.1${\sim}$89.7% 범위였고, 귀리의 알곡비율은 53.4${\sim}$73.5% 범위로 보리가 높게 나타났다. 입도별 분획에 따른 보리와 귀리의 총 ${\beta}-glucan$ 함량은 보리와 귀리 모두 입자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수용성 ${\beta}-glucan$ 함량은 중간 입도 범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고, 불용성 ${\beta}-glucan$ 함량은 큰 입도 범위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총, 수용성 및 불용성 ${\beta}-glucan$ 함량은 원료분말 일 때 보다 보리는 1.5배, 1.7배 및 2.0배 증가하였고, 귀리는 각각 2.1배, 1.6배 및 2.0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beta}-glucan$을 기능성 식품제조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곡류의 품종과 목적하는 ${\beta}-glucan$의 용해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 농축 입도 영역을 결정하는 것이 비교적 경제적이고 용이하게 많은 양의 ${\beta}-glucan$을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고아밀로오스 쌀가루의 특성 (Properties of Rice Flours Prepared from Domestic High Amylose Rices)

  • 최신영;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6-20
    • /
    • 2009
  • 식이섬유 함량이 높은 기능성 고아밀로오스 쌀로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쌀가루를 제조하여 가공에 사용하기 위하여 국내산 고아밀로오스 쌀인 고아미와 고아미 2호, 수입쌀인 태국산 쌀을 처리하여 120 mesh를 통과한 쌀가루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 식이섬유 함량과 호화특성을 비교하였다. 쌀가루의 단백질 함량과 총 전분함량은 고아미 2호가 가장 낮았고 회분과 지질함량은 가장 높았으며 고아미와 태국산의 차이는 없었다.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과 물 결합능력, 총 식이섬유 함량은 고아미2호 쌀가루가 높았다. 태국산 쌀가루는 팽윤력이 높았고 호화특성 중피크점도, 냉각점도, total setback점도가 높았다. 반면 고아미 2호는 호화개시온도도 높을 뿐만 아니라 피크, 냉각 및 setback 점도를 포함한 모든 점도가 가장 낮아 호화와 겔 형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고아미와 태국산 쌀가루의 결정형은 전형적인 쌀의 결정형인 A형 이었지만 고아미2호는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과 같은 B형을 나타냈다. 고아미 2호 쌀가루의 색은 어둡고 누런색을 띠었으며 명도는 낮고 황색도는 높았다.

부유 기술을 이용한 위체류 이중정의 개발 (Development of Gastric Retentive Bi-layered Tablet using Floating Drug Delivery System)

  • 박준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49-7554
    • /
    • 2015
  • 본 이 연구의 목적은 부유 기술을 이용하여 제형이 위에 더 오래도록 머무르면서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이중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실험방법으로는 메트포르민을 주 약물로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메트포르민은 주로 소장 상부에서만 흡수되는 좁은 흡수 영역 대를 가지고 있는 점, 용해도가 매우 높아 약물 방출을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은 점 등 때문이다. 정제의 부유를 위한 가스를 생성하는 부분과 약물의 방출을 조절하는 부분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중정 타정 기를 사용해 이중정으로 제조하였으며, 정제의 모양, 질량 및 경도를 측정하였고, 부유정의 중요한 요소인 부유 촉발시간과 부유유지 시간을 평가하였다. 또, 약물의 방출 조절을 평가하기 위해 용출시험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시판되고 있는 메트포르민 서방성 제제인 Glucopharge XR$^{(R)}$과 비교평가 하였다. 그 결과, 부유 촉발제인 $NaHCO_3$ 및 약물 방출 조절제인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PMC)의 사용량에 따라 13초의 부유 촉발시간, 10시간 이상의 부유 유지시간 및 시판 제제와 매우 유사한 약물 방출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f_2$: 89.6). 결론적으로 메트포르민을 함유한 위 체류 이중정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었으며, 그로 인해 메트포르민의 치료효과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품종 및 수확시기를 달리한 수수의 이화학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rghum among different varieties and at different harvest stages after heading)

  • 김성국;정건호;이재은;이병규;우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60-266
    • /
    • 2018
  • 고품질, 고기능성 수수 생산을 위한 수확시기를 산출하고자 수수 품종 및 수확시기별 이화학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수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질 및 탄수화물 함량은 품종 및 수확시기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명도는 2016년 수확된 수수가 높았고 출수 후 40일에 수확한 황금찰, 남풍찰 및 소담찰수수가 각각 25.23, 25.47 및 24.45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적색도와 황색도는 출수 후 40~50일 사이에 수확한 시료가 높았다. 용해도는 출수 후 50일에 수확한 시료가 높았으며, 팽윤력은 반대로 출수 후 50일에 수확한 시료가 낮았다. 황금찰, 남풍찰 및 소담찰수수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7.60-24.62, 17.88-24.67 및 17.37-22.37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43-13.50, 9.68-13.85 및 9.52-12.46 mg CE/g으로 출수 후 40-50일에 수확한 시료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9.94-16.21, 11.42-16.54 및 10.12-15.16 mg TE/g,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8.85-19.99, 10.51-20.24 및 9.71-17.93 mgTE/g으로 radical 소거활성은 출수 후 40-50일에 수확한 시료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 황금찰, 남풍찰 및 소담찰 등의 수수 품종은 출수 후 40일에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이며, 50일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조사 도토리로부터 분리한 전분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Properties of Starch Isolated from Gamma-Irradiated Acorn)

  • 권중호;김수진;이정은;이수정;김성곤;김정숙;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07-1012
    • /
    • 2002
  • 도토리의 해충방제를 위한 감마선 조사가 도토리에서 추출한 전분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전분의 기계적 색도(Hunter L, a, b)는 $0.25{\sim}10\;kGy$ 범위에서 변화되지 않았다. 살충선량인 1 kGy의 감마선 조사는 전분입자의 형태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나 10 kGy에서는 입자표면의 손상이 관찰되었다. X-선 회절분석에서 회절양상은 전분입자의 무정형 부분이나 결정성 영역에 있어서 처리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물결합력, 팽윤력, 용해도, 호화양상 등은 감마선 조사건량의 증가로 변화를 보였으며, $0.5{\sim}1\;kGy$ 범위에서는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거의 영향이 없었다. 한편 도토리전분 겔을 제조하여 처리선량별 텍스쳐를 측정해 본 결과, 전반적인 물성 인자들은 1 kGy 선량 이하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3 kGy 이상 조사구에서는 경도, 점착성,씹힘성 등에 있어서 변화가 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1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는 도토리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가공적성에 유의적인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도토리의 해충을 사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MC와 HPMC를 이용한 잘토프로펜 정제의 용출률 개선 (Improvement of Dissolution Rate for Zaltoprofen Tablets Using CMC and HPMC)

  • 박현진;홍희경;송이슬;홍민성;서한솔;홍동현;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4권4호
    • /
    • pp.300-305
    • /
    • 2010
  • 잘토프로펜(zaltotprofen)은 통증 치료와 염증 억제에 주로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약물로,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 및 해열 진통에 효능을 나타내는 약물이다. 잘토프로펜은 물에는 거의 녹지 않는 난용성 약물이다. 이러한 난용성 을 개선하여 흡수율을 증진시키고 생체이용률이 향상된 제제를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첨가제를 이용하여 타블렛으로 제 조하였다. 첨가제로는 락토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사용하였고 제조된 약물의 구조와 결정화도의 변화를 FTIR과 DS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판제제인 솔레톤정$^{(R)}$과 비교하여 생 체외 방출 거동 실험을 하였고 실험결과 전체적으로 초기 약물 방출을 줄일 수 있었고 점차 방출률이 늘어나 시판제 제보다 더 높은 약물 방출을 보였다. 저점도의 HPMC는 고점도의 HPMC를 첨가했을 때보다 더 높은 약물 방출을 보였고 CMC의 양이 많아질수록 또한 약물 방출이 높게 나타났다.

The Transport of a Hepatoprotective Agent, Isopropryl 2-(1-3-dithiethane-2-ylidene)-2[N-(4-methyl-thiautole-2-yl) carbamoyl] Acetate (YH439), across Caco-2 Cell Monolayers

  • Park, Hyeon-Woo;Chung, Suk-Jae;Lee, Myung-Gull;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6호
    • /
    • pp.584-589
    • /
    • 2001
  • Isopropryl 2-(1-3-dithiethane-2-ylidene)-2 [N-(4-methyl-thiazole-2-yl) carbamoyl] acetate (YH439) is currently under phase ll clinical trials by the Yuhan Research Center for use as a hepatoprotective agent. Unfortunately, the oral bioavailbility of YH439, which is sparingly soluble in water (i.e., $0.3{\;}\mu\textrm{g}/ml{\;}or{\;}0.91{$\mu}M$ at room temperature), reportedly, is negligibleregardless of the dose administered to rats in the 10-300 mg/kg range. The bioavailability of the compound increased up to 24%, when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micellar solution ($700{\;}\mu\textrm{g}/ml$or 2.1 mM for YH439) at a dose of 10 mg/kg, suggesting that its limited solubility is associated with its negligible bioavailability. In order to obtain additional informmation concerning the bioavailability of YH439, the mechanism(s) involved in gastrointestinal (Gl) absorp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For this purpose, the transport of YH430 across a Caco-2 cell monolayer was measured in a $Transwell^{\circledR}$. A permeability of $4.07{\times}10^{-5}{\;}cm/s$ was obtained for the absorptive (i.e., apical to basolateral direction) transport of $0.42{\mu}M$ YH439, implicating that the in vivo Cl absorption is nearly complete. The absorptive transport exhibited a slight concentration-dependency with an intrinsic clearance ($CL_{i}$) of $0.38{\mu}L/{\textrm{cm}^2}/sec$, which accounted for 28.1% of the total intrinsic clearance (i.e., $CL_i$ plus the intrinsic clearance for the linear component) of the transport. Thus, saturation of the absorption process appears to be a minor factor in limiting the bioavailability of the compound. The apparent permeability of YH439 from the basolateral to the apical direction (i.e., efflux, $6.67{\times}10^{-5}{\;}cm/s$) was comparable to that for absorptive transport, but, interestingly, a more distinct concentration-dependency was observed for this transport. However, the efflux does not appear to influence the bioavailability of the compound, as evidenced by the sufficiently high permeability in the absorption direction. Rather, a reportedly extensive first-pass hepatic metabolism appears to be a principal factor in limiting the bioavailability. In this respect, reducing the first-pass metabolism by some means would lead to a higher bioavailability of the compound. Thus, elevation of the absorption rate of YH439 becomes a necessity.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YH439 in the Cl fluid appears to be a feasible way to increase the absorption rate, because the compound is primarily absorbed via a linear mechanism. In summary, the solubilization of YH439, as previously demonstrated for a micellar solution of the compound, appears to be a practical way to increase the oral bioavailability of YH439.

  • PDF

압출성형공정을 이용한 삼 종자 후레이크 제조 (Manufacturing of Hemp Seed Flake by Using Extrusion Process)

  • 김철;구본재;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9-105
    • /
    • 2010
  • 경제적 잠재성이 큰 삼 종자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을 모색하고자 삼 종자의 일반성분을 측정하였고 삼 종자 첨가 압출성형펠릿의 호화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 색도, 압착강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조직감 유지 시간(bowl life)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압출성형 공정조건은 배럴온도 90, 100, 110$^{\circ}C$, 수분함량 35%이었다. 삼 종자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함량은 각각 5.67${\pm}$0.02, 25.93${\pm}$0.16, 28.21${\pm}$0.56, 7.70${\pm}$0.08%이었다. 압출성형 펠릿의 페이스트 점도 측정결과 삼 종자 펠릿의 제조에 적합한 압출성형 배럴온도는 100-110$^{\circ}C$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삼 종자 후레이크의 체적밀도는 0.24-0.43 g/mL 범위로 배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도와 압착강도는 삼 종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럴온도가 90$^{\circ}C$에서 11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수분흡착지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 유지시간은 5.8-15.5분 범위로 삼 종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삼 종자 첨가량 2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고구마가루 첨가가 백설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ed Sweet Potato Flou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Steamed Rice Cake, Backsulki)

  • 이지현;김병기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35-145
    • /
    • 2010
  • 백설기 원료인 쌀가루에 당 및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고구마가루를 5, 15, 25%(w/w, dry-weight basis) 비율로 첨가하여 원료 및 제품에서 나타나는 이화학적 품질과 제품의 관능특성, 및 저장성을 관찰하였다. 쌀가루에 대한 고구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제품의 수분결합력, 팽윤도가 증가하였으며 외관에 있어서 적색도 및 황색도가 증가한 반면 전체적인 외관은 다소 어두워졌다.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에 의한 열적특성의 분석결과 고구마가루의 H는 28.1 J/g으로서 19.1 J/g인 쌀가루에 비해 2배 정도로 높아 호화경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DSC thermogram에 나타난 전분의 노화도 경향은 고구마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고구마가루 첨가량에 비례한 제품의 노화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제품의 경도, 응집성, 탄력성, 씹힘성 등은 고구마가루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또한 경도증가율이 낮아져 고구마가루의 노화지연 효과가 확인되었다. 백설기 내의 고구마가루 첨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온도에서 제품의 경도증가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제품의 경도변화의 폭은 저장온도 보다 고구마가루 첨가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적 특성에 있어서 제품을 실온에서 3일간 저장 시 고구마가루 첨가량에 따라 총 미생물수가 미첨가구에 비해 최고 1/10정도까지 낮게 유지되었다. 제품의 외관과 색을 제외한 전반적 기호특성은 고구마가루 첨가에 따라 향상되었으며 특히 15% 첨가구가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다.

압출성형 공정변수에 따른 옥수수전분 팽화물의 당화특성 (Saccharification Characteristics of Extruded Corn Starch at Different Process Parameters)

  • 이규철;김연수;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2호
    • /
    • pp.155-161
    • /
    • 2011
  • 본 실험은 압출성형을 통한 저DE덱스트린 제조공정을 확립하기 위해서 수분함량 25, 35% 배럴온도 100, $12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150, 250 rpm에서 압출성형한 전분을 알 파아밀라아제로 당화시켰을 때 당화특성을 연구하였다. 수 분용해지수는 원료전분 수분함량이 25%로 감소할 경우 증 가되었으며, 수분흡착지수도 수분의 감소와 함께 전체적으 로 증가하였다. 환원당함량의 경우 수분함량이 낮고 배럴온 도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120 분간 당화 후 DE 63.8로 높 게 나타났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SME)의 증가와 함께 수분용해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수분함량의 감소 와 함께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과 수분용해도는 증가하였 다. 페이스트점도는 원료전분의 수분이 낮고, 스크루 회전 속도가 증가할수록 전분사슬의 절단에 따라 저온최고점도 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반응속도는 수분함량이 25%로 낮고 배럴온도 $120^{\circ}C$, 스크루 회전수 250 rpm에서 $2.26{\times}10^{-3}mmol/mL{\cdot}min$로 가장 높았다. 시중 호화전분 $1.83{\times}10^{-3}mmol/mL{\cdot}min$에 비해서도 높은 결과를 보였다. 당화속도상수는 히구치모델을 응용하였으며, 수분함량이 낮 고 배럴온도가 $120^{\circ}C$일 때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초기반응속도, 당화속도상수, 당화수율 등을 고려 할 때, 최적조건은 수분함량 25%, 배럴온도 $12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50 rp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