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from food

검색결과 5,648건 처리시간 0.04초

어패류의 비브리오패혈증 균 오염과 그 대책 (Contamination of Shellfish with Vibrio vulnificus the Present Situation and Countermeasures)

  • 김영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3-21
    • /
    • 1993
  • Vibrio septicemia,, resulting in high mortality, has been caused by Vibrio vulnificus. Ingestion of marine products or contact with sea water contaminated with Vibrio vulnificus can cause septicemia. Vibrio vulnificus has been detected world wide and west sea area of Korea, Kum river estuary in particular, showed high detection rate. Higher detection rate of Vibrio vulnificus were reported in the bottom deposit with low depth of water, low salinity, and high COD. Man with the liver disease can easily come down with Vibrio septicemia and the main source is the sliced raw fish dish. The preventive measure for this disease is to wash raw fish material thoroughly with tap water and handle in sanitary conditions. Washing with sea water is strictly prohibited . It may be necessary to forbid the small-scale businessmen from selling the sliced ray fish dish in the vicinity of seashore. Man with the liver disease of diabetes should not swim or consume the raw fish dish in the contaminated area during summer.

  • PDF

음식물 소멸기에서 발생하는 응축폐수의 Polyethylene 침지형 중공사막을 이용한 처리 특성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ensed Wastewater Resulting from Food Waste Disposal using a Submerged Polyethylene Hollow Fiber Membrane)

  • 유재상;전태봉;김진호;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27-134
    • /
    • 2010
  •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소멸기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유기물을 감량화하고, 음식물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냉각기에서 기체와 수분으로 분리하여 기체는 반응기로 다시 보내고 수분은 응축하여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이 장착된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바이오하이테크에서 제작한 음식물 소멸기와 수처리 장치에 침지식 MF 중공사 모듈을 설치하여 90일간 H연구소 직원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처리하였다. 음식물 소멸기 초기 Seeding를 위하여 수분조절제로 미강, 왕겨, 톱밥을 305 kg 투입하였고 음식물은 운전기간동안 1,648 kg투입하였고 응축폐수는 1,600 L 발생되었다. 음식물 소멸기 운전 종료 후 배출된 발효 부산물은 386 kg으로 감량율은 약 80%로 조사되었다.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응축폐수의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기물 처리한 결과 제거율은 각각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T-P 34.7%였으며, 총대장균은 100%가 제거되었다.

주박 추출물의 항균활성,항산화 및 SOD 유사활성 효과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 김태영;전태욱;여수환;김상범;김진숙;곽준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9-305
    • /
    • 2010
  • 주박 추출물을 열수와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균활성, 항산화, DPPH 라디컬 소거능 그리고 SOD 유사활성을 실험하였다. 주박의 추출물은 B. subtilis, Staph. aureus, P. aeruginosa 그리고 E. coli 균주에 대해서 모든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대두유 유화물을 이용한 주박의 항산화력은 control보다 추출물이 더 높았다. 그리고 주박 추출물의 농도가 200 ppm일때 효과가 있었다. 주박 추출물의 DPPH의 소거능은 80% 이상의 저해 효과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은 에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이 더 높게 나타났다. 주박의 지속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 가능성이 있고, 또한 주박을 다른 용매 추출법에 의해 식품의 기능성 원료로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염건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제조 중 ADH 및 ALDH의 활성변화 (Changes in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during the Processing of Salt-Dri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심길보;이현진;이소정;조현아;윤나영;임치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94-599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cessing conditions for salt drie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sun drying and cold-air drying, as measured by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activity. We processed salt dried rockfish samples. The salinity of rockfish samples was within 1% following salting with 25% salt brine for 3 h. The moisture content of salt dried rockfish was found to reduce linearly from 70.12 to 39.5 g/100 g over the same time interval. The water activities of salt dried rockfish by sun and cold-air drying were 0.94 and 0.87, respectively, after three days of drying. Acid values (AV) were 10.71 and 5.96 mg KOH/g, respectively, after the three day drying period. The ADH activity in a water extract from salt dried rockfish following sun and cold-air drying for 24 h was 228.5% and 226.1% at 13.3 mg/mL, respectively, and was higher than that when drying lasted for 48 and 72 h. The ALDH activity was not affected but both ADH and ALDH activity tended to decrease as the drying time increased from 24 to 72 h. The conditions of processing for the best quality of salt dried rockfish were determined to be drying with a cold-air system for 24 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ater extracts from salt dried rockfish have valuable biological attributes owing to the metabolizing of alcohol and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drying systems for salt dried rockfish.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로부터 추출된 phenolic 화합물의 hyaluronidase 억제 효과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from ultrafine grind Saururus chinensis)

  • 박기태;오상룡;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6
    • /
    • 2016
  • 본 연구에서 92종의 한약재로부터 물과 ethanol을 용매추출물에 대하여 HAase의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E. officinalis(86.8%), T. orientalis(80.8%), C. semen(66.5%), M. azedarach(74.7%), S. pubescen (61.3%), S. chinensis(49.15%) 등이 높게 나타났다. Ethanol 추출물에서는 A. altissima와 S. chinensis 추출물이 90% 이상의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항염증 활성이 높게 측정된 S. chinensis가 선발되었다. 선별된 삼백초의 유효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방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용매로 물과 ethanol을 선택하여 추출 최적조건을 살펴보았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50% ethanol을 사용하여 12시간 추출이 최적이었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해서는 ethanol이 물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최적조건에서 추출된 삼백초 추출물의 염증억제 활성은 $100{\sim}250{\mu}g/mL$ phenolic 농도로 첨가했을 때 70~80%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 시 오히려 염증 억제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삼백초를 초미세 분쇄 하였을 때 추출 수율과 염증억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미세 분쇄 기술은 한약재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추출수율의 증가를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카드뮴과 납의 다경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 (Estimation of Multi-Route Exposure and Aggregated Risk Assessment for Cadmium and Lead)

  • 유창우;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87-601
    • /
    • 2020
  • 국내외적으로 유해물질의 통합 노출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에 대한 통합 노출 연구가 필요하다. 카드뮴과 납은 각각 신장 독성과 인지 장애 등 다양한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발암 물질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카드뮴과 납의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2016, 2017년의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733명의 식품, 물, 흡연과 간접흡연, 호흡, 화장품, 여성용 위생용품을 통한 중금속 노출 추정량을 계산하였다. 결과적으로 카드뮴과 납 모두 식품을 통한 노출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도 흡연은 카드뮴의 주요한 노출원이었으며, 납은 화장품을 통해 높은 농도로 노출되었다. 통합 위해평가에서도 식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지역적 특성의 차이는 노출 추정량의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연령 별, 성별 간 노출 추정량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월경 중인 성인 여성의 경우 카드뮴, 월경 중이지 않은 여성은 납의 노출 추정량이 더 높으며 신체 대사를 고려하였을 때, 그 위험성이 더 클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노출량 추정 및 통합 위해평가 모두 식품이 주요 노출원이었다. 다만, 잠재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경로에 대한 노출량 추정 및 위해평가가 요구된다.

Relationship between water-holding capacity and intramuscular fat content in Japanese commercial pork loin

  • Watanabe, Genya;Motoyama, Michiyo;Nakajima, Ikuyo;Sasaki, Keisuk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6호
    • /
    • pp.914-918
    • /
    • 2018
  • Obj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holding capacity (WHC) and intermuscular fat (IMF) was studied in Japanese commercial pork. Methods: Longissimus muscles of pigs (n = 62), obtained from two meat packing plants, were analyzed for IMF content, moisture content, drip loss, cooking loss, and pH. Pairwise relationships among these traits were determined using correlation analyses. Results: IMF cont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oisture content (r = -0.88; p<0.01) and pH (r = 0.32; p<0.05), but not with drip loss (r = -0.23; p = 0.07) or cooking loss (r = -0.10; p = 0.42). In contrast, drip loss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pH (r = -0.57; p<0.01). Conclusion: IMF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HC in pork, and so ultimately, we consider pH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WHC in pork meat.

Stability of Antioxidant Properties and Essential Amino Acids in Squid Viscera Hydrolysate Produced using Subcritical Water

  • Kim, Ryoung-Hee;Asaduzzaman, A.K.M.;You, Chi-Hong;Chun, Byu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71-78
    • /
    • 2013
  •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was carried out in a batch reactor to produce valuable materials, such as low-molecular weight (MW) peptides and essential amino acid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from heat-dried squid viscera. Hydrolysis of squid viscera was performed at 160 to $280^{\circ}C$ for 3 min. The yield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while the protein content of squid viscera hydrolysat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Low-MW peptides were detected in all hydrolysates by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highest yields of free and structural amino acids in heat-dried squid viscera hydrolysate were at $160^{\circ}C$ and were $411.95{\pm}1.15$ and $346.62{\pm}1.25$ mg/100 g, respectively. All essential amino acids were detected in viscera hydrolysates; leucine was the most abundant. Antioxidant activities of hydrolysates were highest at $220^{\circ}C$. Greater than $98{\pm}0.26%$ of the ABTS antioxidant activity was retained in hydrolysates after long-term heat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