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 winter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4초

동계 한반도 동·서 연안역 기온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Air Temperature around Eastern and Western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Winter)

  • 홍철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92-96
    • /
    • 2019
  •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WT) on air temperature (AT) in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al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winter was investigated using historical data from the Korean Meteorological Agency (KM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 and WT.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during winter, the AT is generally higher by +1.9 to $+2.7^{\circ}C$ at Kangreung ($37.2^{\circ}N$) in the eastern region than at Inchon ($37.4^{\circ}N$) in the western region, i.e., the AT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ends to be higher overall than that in the western region when similar latitudes are compared. On the other hand, in the winters of 1977-2006, the WT at Sokcho was higher by $+0.8^{\circ}C$ (January) to $+2.3^{\circ}C$ (March) than that at Sochungdo, directly resulting in increased AT ($+1.22^{\circ}C$) at Sokcho. This study suggests that higher AT in the eastern region during winter is caused by the influence of water flow, such as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in the East/Japan Sea.

Atmospheric River 상륙이 한반도 강수와 기온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s of Atmospheric River Landfalls o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Korea)

  • 문혜진;김진원;;;최준태;구태영;김영미;변영화
    • 대기
    • /
    • 제29권4호
    • /
    • pp.343-353
    • /
    • 2019
  • The seasonal climatology of atmospheric rivers (ARs) and their effects on the seasonal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Korea are examined using the AR chronology obtained by a methodology based on the vertically integrated water vapor transport (IVT) in conjunction with a fine-scale gridded analysis of station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ARs are found to affect Korea most heavily in the warm season with minimal impacts in winter. This contrasts the AR effects in the western North America and the Western Europe that are affected most in winters. Significant portions of precipitation in Korea are associated with AR landfalls for all seasons; over 35% (25%) of the summer (winter) rainfall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ercentage of AR precipitation over Korea decreases rapidly towards the north. AR landfalls are also associated with heavier-than-normal precipitation events for all seasons. AR landfalls are associated with above-normal temperatures in Korea; the warm anomalies increase towards the north. The warm anomalies during AR landfalls are primarily related to the reduction in cold episodes as the AR landfalls in Korea are accompanied by anomalous southerlies/southwesterlies.

PNU CGCM 앙상블 예보 시스템의 겨울철 남한 기온 예측 성능 평가 (Evaluation of PNU CGCM Ensemble Forecast System for Boreal Winter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 안중배;이준리;조세라
    • 대기
    • /
    • 제28권4호
    • /
    • pp.509-520
    • /
    • 2018
  • The performance of the newly designed Pusan National University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PNU CGCM) Ensemble Forecast System which produce 40 ensemble members for 12-month lead prediction is evaluated and analyzed in terms of boreal winter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S. Korea). The influence of ensemble size on prediction skill is examined with 40 ensemble members and the result shows that spreads of predictability are larger when the size of ensemble member is smaller.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more than 20 ensemble members are required for better prediction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nnual variability of wintertime temperature over S. Korea. As for the ensemble average (ENS), it shows superior forecast skill compared to each ensemble member and has significant temporal correlation with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temperature at 99% confidence level. In addition to forecast skill for inter-annual variability of wintertime temperature over S. Korea, winter climatology around East Asia and synoptic characteristics of warm (above normal) and cold (below normal) winters are reasonably captured by PNU CGCM. For the categorical forecast with $3{\times}3$ contingency table, the deterministic forecast generally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probabilistic forecast except for warm winter (hit rate of probabilistic forecast: 71%). It is also found that, in case of concentrated distribution of 40 ensemble members to one category out of the three, the probabilistic forecast tends to have relatively high predictability. Meanwhile, in the case when the ensemble members distribute evenly throughout the categories, the predictability becomes lower in the probabilistic forecast.

최근의 기후변화를 고려한 가을보리 안전재배지대 구분 (Reclassification of Winter Barley Cultivation Zones in Korea Based on Recent Evidences in Climate Change)

  • 심교문;이정택;이양수;김건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18-234
    • /
    • 2004
  • 근래 지구온난화현상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가 지속됨에 따라 가을보리 안전재배지역의 북상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987년부터 2000년까지 14년과 평년 (1971∼2000년)의 평균기온과 최저기온을 바탕으로 새로운 가을보리의 안전재배지대 설정을 시도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년(1971∼2000년)의 1월 평균기온의 산술평균값에 의한 겉보리의 안전재배지대는 강화-이천-충주-춘양-고성 지역을, 쌀보리는 천안-금산-문경-안동-속초 지역을, 맥주보리는 광주-장흥-산청-포항-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다. 반면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4년(1987∼2000년)동안의 기상조건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가을보리 안전재배지대가 평년기준보다 북상하여, 겉보리는 포천-춘천-원주-양평-춘양 지역을, 쌀보리는 강화-이천-충주-의성-고성 지역을, 맥주보리는 군산-순천-진주-밀양-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 되었고, 내한성이 가장 강한 품종들(올보리 등)은 인제, 홍천, 태백, 제천지역 등 태백산맥의 인근지역까지도 안전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평년(1971∼2000년)의 재현기간 10년에 해당하는 1월 평균기온에 의한 겉보리의 안전재배지대는 보령-남원-거창-구미-고성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고, 쌀보리는 서천-정읍-합천-영덕-속초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으며, 맥주보리는 부산, 통영, 여수 등 남부해안지역에서만 안전하고, 그 밖의 지역들은 10년에 한번이상 저온이 출현할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를 보인 14년 (1987∼2000년) 동안의 기상조건에서는 겉보리는 강화-이천-영주-고성 지역을, 쌀보리는 서산-남원-문경-안동-속초 지역을, 맥주보리는 광주-장흥-사천-울산-울진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고, 내한성이 가장 강한 품종들(올보리 등)은 강화-원주-충주-춘양-고성 지역을 잇는 선으로 구분되었다.

Prolonged Turbidity of the Lower Nakdong River in 2003

  • Kim, Dong-Kyun;Kim, Hyun-Woo;Kim, Gu-Yeon;Kim, Young-Sang;Kim, Myoung-Chul;Jeong, Kwang-Seuk;Joo, Gea-Jae
    • 생태와환경
    • /
    • 제38권spc호
    • /
    • pp.44-53
    • /
    • 2005
  • The Nakdong River, which lies in a monsoon climate zone with warm rainy summers and cold dry winters, is a typical ecosystem showing the attributes of a regulated river. In 2003, the total annual rainfall (1,805 mm)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past nine years from 1994 to 2002 (1,250 mm). In September a powerful typhoon, Maemi, caused a big impact on the limnology of the river for over two months. Among the limnological variables, turbidity in 2003 (37.4 ${\pm}$ 94.1 NTU, n = 54) was higher than the annual average for ten years (18.5 ${\pm}$ 2.3 NTU, n = 486) in the lower part of the river (Mulgum: RK 28). Furthermore, physical disturbance (e.g. stream bank erosion within channel) in the upstream of the Imha Dam (RK ca. 350; river distance in kilometer from the estuary barrage) in the upper part of the river was a source of high turbidity, and impacted on the limnological dynamics along a 350 km section of the middle to lower part of the river. After the typhoon, high turbidity persisted more than two months in the late autumn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2003. Flow regulation and the extended duration of turbid water are superimposed on the template of existing main channel hydroecology, which may cause spatial changes i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lankton in the river.

주거건축에서 탄소를 줄이기 위한 에너지 절감 요소에 관한 연구 (To reduce carbon from residential architecture Research on energy-saving elements)

  • 박재희
    • KIEAE Journal
    • /
    • 제9권5호
    • /
    • pp.47-52
    • /
    • 2009
  • Currently, the environmental issue is of great urgency and sensitivity to the future of our planet. Global warming caused by increased CO2 concentration has an alarming impact on the earth's fragile environment. Droughts throughout the world are causing crop failures. Wildfires now burn with far greater rage. Melting ice caps and glaciers are causing floods. Sea levels are rising. Warm unseasonable winters are threatening our fragile eco-systems. Global warming is no longer a theory; it is an obvious fact we are confronted with every day, and the only way we can prevent it is to take action now. The need to reduce CO2 emissions and try to become carbon neutral is of national importance and leadership. We have become so reliant on fossil fuels that nearly everything we do generates CO2 emissions; from our modern farming practices to transport, to the electricity used to turn on a light, boil water in a kettle or cook our meals. A reduction of 50% of CO2 emissions can easily be achieved by decreasing the energy amount used. We tracked the carbon footprint throughout the electricity and heating energy use in homes and confirmed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its consumptions. In order to reduce the carbon generation from housing constructions, such as Passive House concept of buildings or low energy buildings, we must adjust its applications best fit to our conditions. And technical elements should be applied to improve our conditions, and the methodology should be actively sought. Most of all, each individual's recongnition who uses these elements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solutions.

지난 반세기 동안 남한에서 관측된 1월 최저기온의 연차변이 (The Observed Change in Interannual Variations of January Minimum Temperature between 1951-1980 and 1971-2000 in South Korea)

  • 정재은;정유란;윤진일;최동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5-241
    • /
    • 2004
  • 1월의 최저기온을 대상으로 1951년부터 2000년까지 14개 지점의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11개 지점에서 전반기(1951-1980)에 비해 후반기(1971-2000)의 연차 변이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로 표현할 경우 제주, 전주, 울릉도를 제외한 나머지 11개 지점에서 많게는 0.35(서울)에서 적게는 0.03(강릉)까지 고르게 연차변이가 감소하였다. 이는 최근의 난동화 경향과 함께 겨울철 최저기온의 연차변이가 더 심해지고 있다는 당초의 예상과 다른 결과이다 연차변이의 공간분포양상은 최저기온의 절대값과 정의 상관을, 관측점의 해발고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이 관계를 이용하여 남한전역의 1월 최저기온 30년 표준 편차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재현기간별로 기대되는 전국의 극최저기온 분포도를 제작하여 지역별 동해위험 평가에 이용토록 하였다.

최근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가을보리의 수량구성요소 및 생육단계 변화 (Impact of Recent Weather Variation on Yield Components and Growth Stages of Winter Barley in Korea)

  • 심교문;윤성호;정영상;이정택;황규홍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8-48
    • /
    • 2002
  • 근래 지구 온난화 현상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춥지 않은 겨울' 날씨가 지속되어 가을보리를 비롯한 겨울(월동)작물의 생육과 수량에 큰 변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최근의 기상환경 변화에 따른 가을보리의 생육시기, 생육기간, 수량, 수량구성요소의 변동양상을 분석하였으며, 각 생육단계별 기상요소가 보리의 수량과 관련되는 재배적 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원에서 14년(1987∼2000년)동안 올보리 품종의 평균수량은 지난 21년(1974∼2000년) 평균보다 헥타르(ha)당 0.42톤이 증수되었다. 증수의 요인은 단위면적당 수수 확보이고, 1수입수의 증가도 다소 기여하였으나, 천립중은 평균보다 오히려 0.6그램(g)정도 가벼워졌다. 2. 풍년에는 흉년보다 단위면적당 수수는 많았고, 1수입수는 비슷하였으나, 천립중은 가벼웠다. 그리고, 월동기간은 짧았고, 유묘기간과 분얼기간이 길어졌다. 출현기간에 기온이 높아 발아율이 높았으며, 단위면적당 수수가 증가되었다. 반면에 흉년에는 월동기간의 저온과 분얼 및 등숙기간의 많은 강수량으로 단위면적당 수수가 감소하였다. 3. 올보리 품종에서 수량은 단위면적당 수수와는 밀접한 정의 상관이었지만, 1수입수 및 천립중 하고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단위면적당 수수는 천립중 및 수장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4. '춥지 않은 겨울' 날씨로 지속된 14년(1987∼2000년) 동안에 생육재생기의 출현초일은 평균(1974∼2000년) 출현초일 보다 5일 일찍 나타났다. 또한 생육재생기는 출수기 및 성숙기의 출현초일과 높은 정의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이 기간의 등숙기간은 평균 등숙기간과 비슷하였으나 월동기간은 평균보다 9일 짧아졌다. 반면에, 유묘기간과 분얼기간은 평균보다 3일 길어졌다. 5. 올보리 품종의 수량에 영향을 주었던 생육단계별 기상요소는 월동기간의 기온(+상관)과 일조시간(-상관), 분얼기간의 강수량(-상관), 등숙기간의 증발산위(+상관) 였다. 천립중에 유의적 영향을 주는 생육단계별 기상요소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분얼기간의 고온과 건조한 대기는 줄기의 신장에 불리하였지만, 이삭의 신장에는 유리하였다. 즉, 올보리 품종의 수량에는 월동기간과 그 이후 생육단계에서 기상요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가을보리 재배기간중의 기상변화 (Analysis of Meteorological Variation during Winter Barley Cropping Season in Korea)

  • 심교문;이정택;윤성호;황규홍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5-102
    • /
    • 2000
  • 근래의 '춥지 않은 겨울'현상의 연속출현으로 가을 보리의 재배지역의 북상에 따른 재배면적 확대를 논의 할 만하다. 최근('74∼'98년)의 가을보리재배기간(10∼5월)의 기상변화를 살펴보고 '87년을 기준으로 '춥지 않은 겨울현상'을 보인 13년('87∼'99년) 그전 13년('74∼'86년)의 가을보리 재배기간의 기상을 평년('61∼'90년)기상과 비교ㆍ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근 25년 동안 가을보리재배기간의 평균기온은 1.02℃ 증가하였으며, 평균기온의 상승은 최저기온보다 최고기온의 상승이 더 크게 기여하였다. 2. 가을보리재배기간의 연도별 강수량은 최근 25년 동안 전국평균이 513.3 ㎜ 이었으며.'74년 이후 감소하다가 '92년 이후로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일조시간은 농촌지역만 조금 적어지는 경향이고 다른 지역들은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춥지 않은 겨울' 현상을 보인 최근 13년의 가을보리재배기간의 기온은 평년보다 높았으며 특히 1∼2월의 기온이 많이 상승하였다 반면에 '87년을 기준으로 그전 13년의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춥지 않은 겨울'현상을 보인 최근 13년의 가을 보리재배기간의 강수량은 평년과 전반적으로 비슷하였으나, 4월의 강수량이 전국적으로 평년보다 26㎜정도 적었다. 반면에 일조시간은 전반적으로 평년보다 적었다 그러나, '87년을 기준으로 그전 13년의 강수량과 일조시간은 대체로 평년과 비슷하였다. 5. 가을보리의 안전재배선의 기준이 되는 월동기(1∼2월)의 기온상승으로 가을보리안전재배의 북상이 전망된다.

  • PDF

익산지역에서 쌀보리의 생육 및 수량의 연차 간 변화 (Yearly Variation in Growth and Yield of Winter Hulless Barley at Iksan)

  • 최인배;김학신;황재복;구본일;배희수;박태선;박홍규;이건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71-183
    • /
    • 2016
  • 익산지역에서 기상요소의 변동에 따른 가을 쌀보리의 출수기 및 수량의 연차 간 변화를 알아보고자 작황 자료('85~'15) 중 기상요소와 쌀보리 생육 기간 및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 쌀보리 파종기인 10월 하순의 기온이 꾸준히 상승하여 출현이 빨라졌으며, 90년대 춥지 않았던 월동기는 2000년 이후, 12월에 추운 해가 많았고 1월의 변동폭도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기온이 낮은 해가 많았다. 그러나 월동 후 생육재생기는 지속적으로 빨라졌으며 이는 출수기와 성숙기 등에 영향을 미쳤다. 3월의 일조시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등숙기에 해당되는 5월~6월 상순에는 전 기간 최고기온과 평균기온의 상승이 뚜렷하고 강수량이 감소하여 고온 건조해 지는 경향이었다. 조사기간 동안 쌀보리 생육기의 평균일은 다음과 같아서 생육정지기는 12월 18일, 생육재생기는 2월 17일, 최고분얼기는 4월 1일, 출수기 4월 27일, 등숙기 6월 1일 이었으며 파종에서 등숙까지 224일이 소요되었다. 2. 익산지역에서 쌀보리의 출수기는 생육재생기, 절간신장기간과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여 생육재생기가 빠르고 절간신장기가 짧을수록 출수가 빨랐으며 생육재생기와 절간신장기간 간에도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생육재생기는 2월 평균기온과, 절간신장기는 3월 최고기온과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등숙 기간은 등숙기 평균온도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여 등숙기 기온이 낮을수록 등숙 기간이 길었다. 3. 새찰쌀보리('03~'15)의 수량과 상관관계가 높은 요인은 수수(R=0.726), 천립중(R=0.719), 등숙기간(R=0.527) 순이었으며 출수가 빠를수록 등숙 기간이 길고, 천립중이 높았다. 천립중은 등숙기 평균온도와 높은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쌀보리의 수량은 90년대 높게 유지되었으나 2000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였고 수량구성요소 중 수수의 감소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 출수기에 따른 수량 반응성도 시기별로 달라 늘쌀보리 재배시기('88~'03)에는 출수기와 수량이 정의 상관을 보였고 출수기가 늦어짐에 따라 천립중이 증가하였으나, 새찰쌀보리 재배기('03~'15)에는 출수기가 늦어질수록 천립중이 감소하여 수량과 약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출수가 늦은 해에는 등숙기의 기온상승으로 수량감소가 컷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