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m water species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5초

붉가시나무의 목재성질 (Wood Properties of Quercus acuta Thunb.)

  • 정성호;박병수;정두진;이도식;조성택;전수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6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wood properties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warm temperate tree species of Quercus acuta Thunb. grown in Korea. Fundamental wood properties in the anatomical, physical, mechan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Quercus acuta Thunb. is a radial-porous, straight grained and fine textured wood. The heartwood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sapwood. In physical properties, it has a high oven-dry specific gravity of $0.85{\pm}0.02$, and high shrinkage from green to air-dried condition of $7.05{\pm}0.52%$ in radial and $11.13{\pm}0.48%$ in tangential direction. Mechanical properties determined are strong with the MOR of $1,065{\pm}90kgf/cm^2$, and tensile strength parallel to grain of $1,490{\pm}258kgf/cm^2$ and shear strength of $175{\pm}13kgf/cm^2$. Also, this wood has high extractive contents: 11.11% for cold and 13.51% for hot water.

  • PDF

Growth, Fecundity, Egg Size and Recruitment of Palaemon serrifer (Decapoda: Caridea: Palaemonidae)

  • Kim, S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1호
    • /
    • pp.9-15
    • /
    • 2008
  • Growth and reproduction of Palaemon serrifer were described and analyzed in a population inhabiting tide pools in warm temperate waters in Korea. The water temperature varied greatly in the tide pools, ranging from 8$^{\circ}C$ to 27.8$^{\circ}C$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were investigated using size frequency distribution data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3. Sex ratios fluctuated, but were almost equal during the breeding period. Growth was continuous and size increased gradually throughout the year. Adult females were larger and grew faster than males. von Bertalanffy growth parameters for a one-year sample of females and males were estimated as $L_{i\ddot{A}}$ = 11.32, K = 0.311, $t_0$ = -0.4115 and $L_{i\ddot{A}}$ = 8.36, K = 0.228, $t_0$ = -0.9693 respectively. Breeding was seasonal, starting in May, peaking in August, and finishing by the end of August. The species showed continuous production of successive broods. Laboratory observation showed that females with embryos near hatching had ovaries filled with vitellogenic oocytes ready for spawning. The reproductive output (effort) of each female (mean number of eggs: $552{\sim}1355$) was not high. The mean embryo volume, $0.078mm^3$, is relatively small, indicative of low energy allocation to each embryo. Recruitment of juveniles was closely linked to the breeding period, beginning in September.

광주지역 영산강 내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과 남조류 독소합성유전자의 계통발생학적 특성 (Seasonal Variation of Phytoplakton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Cyanotoxin synthetase genes within Youngsan River in Gwangju)

  • 김하람;조광운;손경록;장동;서광엽;김연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15-328
    • /
    • 2023
  • Cyanobacteria have been used as pollution indicator species in freshwater ecosystems, and identifying their fluctuations can be an important part about management of surface waters globally. Cyanotoxins produced by cyanobacteria are directly or indirectly a threat to human and environmental health. In order to confirm the potential risk of these cyanotoxins, the fluctuations of phytoplankton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cyanotoxin synthetase genes were conducted at each point in the Yeongsan River water system in Gwangju from November 2021 to October 2022. Diatoms which grow well in winter were dominant at 99.4 ~ 99.5%, and diatoms and green algae were dominant from the spring to autumn when the water temperature rises. Stephanodiscus spp. were dominant at 92.7 to 97.5 % at all sites in the winter, and Aulacoseira spp., which grow in warm water temperatures, were dominant in summer and autumn. Microcystis aeruginosa was dominant at 25.2% in summer only at site 5. mcyB and anaC have been detected as cyanotoxin synthetase genes. The phylogenetic tree of anaC could b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 Group 2). Group 1 contained Aphanizomenon sp. and Cuspidothrix issatschenkoi. It is combined with Aphanizomenon sp. and Cuspidothrix issatschenkoi, which are known to produce cyanotoxins.

도시지역 PM2.5의 HULIS 화학 특성 및 발생 과정 조사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athways of Humic Like Substances (HULIS) in PM2.5 in an Urban Area)

  • 손세창;배민석;박승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9-254
    • /
    • 2015
  • Little information on HUmic-Like Substances (HULIS) in ambient particulate matter has been reported yet in Korea. HULIS makes up a significant fraction of the water-soluble organic mass in the atmospheric aerosols and influence their water uptake properties. In this study 24-hr $PM_{2.5}$ samples were collected between December 2013 and October 2014 at an urban site in Gwangju and analyzed for organic carbon (OC), elemental carbon (EC), water-soluble OC (WSOC), HULIS, and ionic species, to investigate possible sources and formation processes of HULIS. HULIS was separated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method and quantified by total organic carbon analyzer. During the study period, HULIS concentration ranged from 0.19 to $5.65{\mu}gC/m^3$ with an average of $1.83{\pm}1.22{\mu}gC/m^3$, accounting for on average 45% of the WSOC (12~ 73%), with higher in cold season than in warm season. Strong correlation of WSOC with HULIS ($R^2=0.91$) indicates their similar chemical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HULIS and a variety of chemical species (EC, $K^+$, $NO_3{^-}$, $SO_4{^{2-}}$, and oxalate), it was postulated that HULIS observed during summer and winter were likely attributed to secondary formation and primary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BB) and traffics. Stronger correlation of HULIS with $K^+$, which is a BB tracer, in winter ($R^2=0.81$) than in summer ($R^2=0.66$), suggests more significant contribution of BB emissions in winter to the observed HULI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BB emissions may also have an influence on the HULIS in summer, but further study using levoglucosan that is a unique organic marker of BB emissions is required during summer. Higher correlation between HULIS and oxalate, which is mainly formed through cloud processing and/or photochemical oxidation processes, was found in the summer ($R^2=0.76$) than in the winter ($R^2=0.63$), reflecting a high fraction of secondary organic aerosol in the summer.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유생의 분포 (Distribution of Larvae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김중진;이화현;김수암;박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7-275
    • /
    • 2011
  •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s an ecologically and commerci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and Japan. However, the distribution pattern of its eggs and larvae in Korean waters has not yet been clarified. To determine the horizont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common squid larvae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samples collected using paired, 60 cm diameter Bongo nets from the three surveys conducted in August 2003, May 2004 and November 2005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vertical distribution was examined from the samples collected using a $1\;m^2$ MOCNESS in April 1999 (20 m interval down to 100 m). A total of 218 larvae ranging in mantle length (ML) from 1.2 to 17.0 mm were counted at 27 stations. Larval abundance was highest in May 2004. The larvae mainly occurred in the southeastern area of Jeju Island, where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t 50 m deep ranged from $15-23^{\circ}C$ and 34-34.6 psu, respectively. Most larvae were collected in the frontal zone, where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inshore waters meet. The results from the MOCNESS samples showed that the larvae occurred mostly in 20-80 m depth ranges (about 90%), although collections were only conducted above 100 m.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rval mantle lengths (ANOVA, P>0.05) were found among each depth interval. Given the occurrence sites of the larvae <2.0 mm ML, the spawning ground of this species appears to be with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mainly to the southeast and northeast of Jeju Island, in early spring.

남해 안골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in Angel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이태원;문형태;황학빈;허성회;김대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39-477
    • /
    • 2000
  • 남해안에 위치한 안골만 잘피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월별로 beam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기 간 동안 39종 2,065개 체, 8,930.0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소형 주거종과 회유종의 유어들이 주를 이루었다. 출현한 어류 중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와 볼락 (Sebastes inemis)이 전체 개체수의 $60{\%}$를 차지하였다. 출현 종수와 생체량은 수온이 낮은 12월에서 3월 사이에는 낮았으며, 잘피가 성장하는 4월과 5월에는 주거종과 볼락의 유어들이 대량 채집되어 생체량이 높았다. 6월과 7월에 산란을 마친 주거종이 양적으로 줄어 생체량이 줄었으나, 8월에는 봄에 부화된 경제성이 높은 어종의 유어들이 가입되어 생체량이 증가하였다. 그 이후 잘피의 현존량이 감소하면서 어류의 생체량도 줄었고, 겨울에는 소수 개체만이 채집되었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 분석한 결과 4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온수기에는 주거종인 베도라치, 실고기와 주둥치가 우점하였고, 냉수기에는 살망둑 (Chaenogobius heptacanthus)과 양태 (Plarcephalus indicus)가 출현하였다. 잘피가 성장하는 $3{\~}6$월에는 주거종인 쥐노래미의 유어, 잘피의 현존량이 높은 $4{\~}7$월 사이에는 가시망둑 (Pseudoblennius couoides), 돌팍망둑 (Pseudoblennius percoides)과 볼락의 유어, 그리고 잘피가 시들어가는 $8{\~}9$월에는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와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유어들이 출현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잘피밭 어류의 종조성은 수온과 잘피의 현존량에 따라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였다.

  • PDF

제주도 주변 해역의 치자어 군집에 관한 연구-가을철 (Studies on the Fish Larvae Community in the Sea Around Cheju Island in November, 1986)

  • 유재명;김성;이은경;김용억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2호
    • /
    • pp.71-79
    • /
    • 1998
  • 1986년 11월 제주도 주변해역의 총 44 개 정점에서 치자어 자료와 환경자료가 수집되었다. 치자어는 43 개 정점에서 출현하였으며 출현량 범위는 3~259 개체/$10^3\;m^3$(평균 50 개체/$10^3\;m^3$)였다. 우점종은 멸치 (Engraulis japonicus), Champsodon snyderi, 망둥어과(Gobiidae), 쏨뱅이(Sebastiscus marmoratus), Synagrops philippinensis이며 이 종들은 전체 출현량의 56.6%였다. 치자어 군집은 분류군별 출현량 자료를 사용한 집괴분석 결과 2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치자어 군집 I은 전형적인 대마난류수역에 위치하였으며 분류군의 수와 출현량 등 종 다양성이 군집 II(대마난류수역의 일부와 한국연안수역, 중국대륙연안수역)에 비해 매우 높다. 군집 I의 우점종은 멸치(E. japonicuse), 망둥어과(Gobiidae), S. philippinensis, Aulops japonicus, Bregmaceros spp., Benthosema pterotum, Lampanctus spp. 등 대부분 난류수역에 출현하는 종으로 이들의 출현은 대마난류수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된다. 치자어 종 조성자료와 출현량 자료를 이용한 집괴분석 결과는 환경변수(수온, 염분, 용존산소)를 이용한 정준판별분석결과와 11.6% 정도의 적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조사해역에서 치자어 군집구조를 이용하면 해양환경의 특성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생식주기에 미치는 광주기 및 수온의 영향 (Effects of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Spring-Spawning Bitterling, Rhodeus uyekii (Pisces : Cyprinidae))

  • 안철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3-55
    • /
    • 1995
  • 자연에서 3월 초순부터 6월 초순까지 산란기를 가지는 각시붕어, Rhodeus uyekii를 대상으로 이들의 생식주기 성립기구를 밝히고저 여러가지 광주기 및 수온 조건이 생식소의 활성과 퇴화 그리고 재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춘계 생식소 활성화를 유도하는 환경요인은 수온상승이고 광주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시기의 임계수온은 $8^{\circ}C$ 이상이었다. 생식소 퇴화요인으로는 하계 고수온이며, 광주기의 영향은 없었다. 그리고 임계수온은 $20^{\circ}C$에서 $24^{\circ}C$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기 수온과 동일한 수온 범위가 존재하는 추계에 생식소가 성숙에 이르지 못하는 요인은 이 시기의 단일 광조건 때문이며, 다른 시기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광주성의 발달을 볼 수 있었다. 추계 생식소 재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임계광주기는 12L과 13L 사이에 존재하며, 동계에서 춘계로 이행함에 따라 광주성은 사라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각시붕어의 성숙을 연중 제어할 수 있는 광과 수온범위는 수온은 $8^{\circ}C$에서 $20^{\circ}C$, 광조건은 13L 이상으로 생각된다.

  • PDF

주요 양식 어류의 혈액 성분에 관한 연구 (Study of Serum Constituents in Several Species of Cultured Fish)

  • 전중균;김병기;박용주;허형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0
    • /
    • 1995
  • 우리나라에서 많이 양식하고 있는 주요 어종의 혈액 성분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저수온기(수온 $127^{\circ}C$)에 월동중인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농어 (Lateolarax japonicus),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돌돔(Oplegnathus fasciatus)과 함께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Oncorhynchus kisutch)를 각 5-6마리씩 마취시키지 않은 상태로 꼬리 동맥에서 채혈하여 혈청 중의 총단백질(TP), 알부민(ALB),중성 지방(TG), 콜레스테롤(CHOL), 포도당(GLC), 리파제(LIPA), 나트륨(Na), 칼륨(K), 염소(Cl), 인(P), 아미노산전이효소(ALT, AST) 등을 혈액분석기로 분석하였다. TP 농도는 2.9-5.1g/dl의 수준이었으며, ALB 농도는 1.2-l.9g/dl의 수준이었다. A/G 비는 은연어가 1.1 정도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는 0.5-0.6 정도로 비슷하였다. 지질 성분인 TG와 CHOL 농도도 어종에 따라 달라, 넙치는 TG 농도가 큰 대신에 CHOL 농도가 낮았으며, 농어는 반대로 TG농도가 낮은 대신에 CHOL 농도가 높았다. 두 지질 성분의 합은 넙치가 가장 많아 600mg/dl나 되었고, 농어나 조피볼락(약 400mg/dl), 돌돔이나 은연어(약 300mg/d1)의 순이었다. 혈당(GLC) 농도는 냉수성 어종인 은연어가 넙치에 비해 약 4배 가량 많아 61-76mg/dl이나 되었다. 한편 리파제(LIPA) 활성은 TG 농도와 정반대의 경향을 보여 은연어에서 가장 높았고, 넙치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무기질 중에서 Na, Cl과 K 농도는 160-204mmo1/l, 137-183mmol/l과 0.5-3.1mmol/l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P농도는 은연어나 조피볼락처럼 비교적 활동성이 강한 어종일수록 많았다. ALT 활성은 넙치가 가장 높았고, AST 활성은 은연어가 높았으며, AST 활성은 모든 어종에서 ALT 활성보다 높았다.

  • PDF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분포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Coastal Area of Wando in Summer)

  • 문성용;정창수;서호영;오현주
    • 환경생물
    • /
    • 제24권4호
    • /
    • pp.329-336
    • /
    • 2006
  • 하계 완도 연안역에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의 군집양상을 연구하기 위하여 8월 30일에 6개의 정점에서 NORPAC net를 이용하여 수직 채집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37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출현 개체수는 $147{\sim}1696\;indiv.\;m^{-3}$의 범위를 나타냈다. 우점종은 E. tergesrina, A. pacifica, P. parvus s. 1, 십각류 유생, S. crassa로서 전체 출현 개체수에 90%이상을 차지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세 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어졌으며, 소안도 인근해역의 A군집, 소안도와 청산도의 중앙부해역인 B군집, 청산도 북부해역의 C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군집으로 구분되는 세 그룹간의 동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출현 개체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결과적으로 하계 완도 연안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는 대마난류와 황해저층냉수의 확장에 의해 지배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