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distance

검색결과 910건 처리시간 0.025초

확장된 slip-weakening 모델의 응력 강하량과 에너지 수지 특성 및 스케일링 관계 (Characteristics of Stress Drop and Energy Budget from Extended Slip-Weakening Model and Scaling Relationships)

  • 최항;윤병익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253-266
    • /
    • 2020
  • The extended slip-weakening model was investigated by using a compiled set of source-spectrum-related parameters, i.e. seismic moment Mo, S-wave velocity Vs, corner-frequency fc, and source-controlled high-cut frequency fmax, for 113 shallow crustal earthquakes (focal depth less than 25 km, MW 3.0~7.5) that occurred in Japan from 1987 to 2016. The investigation wa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 drop, radiation energy-to-seismic moment ratio, radiation efficiency, and fracture energy release rate, Gc. The scaling relationships of those source parameters were also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previous studies, which were based on generally used singular models with the dimensionless numbers corresponding to fc given by Brune and Madariag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ess drop from the singular model with Madariaga's dimensionless number was equivalent to the breakdown stress drop, as well as Brune's effective stress, rather than to static stress drop as has been usually assumed. The scale dependence of stress drop showed a different tendency in accordance with the size category of the earthquakes, which may be divided into small-moderate earthquakes and moderate-large earthquakes by comparing to Mo = 1017~1018 Nm. The scale dependence was quite similar to that shown by Kanamori and Rivera. The scale dependence was not because of a poor dynamic range of recorded signals or missing data as asserted by Ide and Beroza, but rather it was because of the scale dependent Vr-induced local similarity of spectrum as shown in a previous study by the authors. The energy release rate Gc with respect to breakdown distance Dc from the extended slip-weakening model coincided with that given by Ellsworth and Beroza in a study on the rupture nucleation phase; and the empirical relationship given by Abercrombie and Rice can represent the results from the extended slip-weakening model, the results from laboratory stick-slip experiments by Ohnaka, and the results given by Ellsworth and Beroza simultaneously. Also the energy flux into the breakdown zone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breakdown stress drop, ${\tilde{e}}$ and peak slip velocity of the fault faces. Consequently, the investigation results indic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tended slip-weakening model.

홍채 영상 초점 값에 기반한 홍채 영상 복원 연구 (A Study on Iris Image Restoration Based on Focus Value of Iris Image)

  • 강병준;박강령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2호
    • /
    • pp.30-39
    • /
    • 2006
  • 홍채 인식은 흥채 근육의 무의 패턴을 이용하여 동일인 여부를 판별하는 연구 분야이다. 이러한 홍채 인식에서 홍채 영상의 품질은 홍채 인식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는 흥채 영상이 흐려지면, 홍채 패턴이 변형되어지므로, FRR(False Rejection Error)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홍채 영상을 흐려지게 만드는 주된 요인 가운데 하나가 카메라 렌즈의 초점(focus)이다. 기존의 흥채 인식 카메라는 고정 초점(fixed focusing) 방식과 가변 초점(auto-focusing) 방식이 있다. 고정 초점 방식은 초점 렌즈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눈을 DOF(Depth of Field) 영역 안에 위치시켜야하고, DOF 영역이 매우 작은 한계가 있다. 가변 초점 방식은 사용자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초점이 잘 맞는 위치로 초점렌즈를 움직여서 선명한 영상을 취득한다. 하지만 부가적인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카메라의 부피가 늘어나고 비용도 증가되므로 개인 인증을 위해 홍채인식을 하는 핸드폰과 같은 모바일 장비에서 사용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의 홍채인식 카메라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부가적인 하드웨어 장비 없이 고정 초점 방식 카메라에서 취득한 홍채 영상을 복원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DOF영역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영상 복원 알고리즘은 반복적(iterative) 방법에 의해 최상의 복원 계수(parameter)를 검출하여 영상을 복원하였으나, 본 논문은 초점값을 이용하여 영상의 흐려짐의 정도를 판단하고, 흐려짐의 정도에 따라 미리 정의한 복원 계수를 선택함으로써 빠른 시간 안에 홍채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Panasonic에서 만든 BM-ET100 카메라의 작동범위(Operation Range)를 48-53cm에서 46-56cm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연결성 정보와 기하학 정보를 이용한 삼차원 메쉬 모델의 광학성 정보 압축 방법 (Photometry Data Compression for Three-dimensional Mesh Models Using Connectivity and Geometry Information)

  • 윤영석;호요성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160-174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삼차원 메쉬 모델의 광학성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색상 정보, 법선벡터 정보 및 텍스처 정보의 부호화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한 방법들은 기하학 정보와 연결성 정보를 이용하여 광학성 정보를 예측 부호화한다. 먼저 연결성 정보를 이용하여 광학성 정보의 부호화 순서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인접한 꼭지점들의 기하학 정보를 이용하여 광학성 정보를 예측 부호화한다. 색상 정보는 기하 예측기를 사용하여 부호화하고, 법선벡터 정보는 거리 균등화기와 최적화 평면 발생기를 적용하여 부호화하며, 텍스처 정보는 삼차원 메쉬 모델 분석기, 텍스처 좌표 분석기, 텍스처 영상 재배열기와 예측 부호화기를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색상 정보는 현재 꼭지점과 인접한 꼭지점 사이에 기하학 정보를 고려하여 인접한 꼭지점들의 색상 정보의 가중치 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법선벡터 정보는 현재 꼭지점의 법선벡터를 예측하기 위해서 이등변 삼각형의 특성을 이용한 거리 균등화 기법과 상호연관성이 높은 인접한 꼭지점의 특징을 이용한 최적화 평면을 개발했으며 효율적으로 삼차원 좌표를 압축하기 위해서 구면 좌표계와 6-4분할 양자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처 정보는 부호화 순서에 따라 텍스처 영상의 조각을 재배열하여 텍스처 좌표를 불연속성을 제거한다. 다양한 삼차원 메쉬 모델들에 대해 실험한 결과를 살펴보면 제안된 압축 방법이 이전의 방법보다 개선된 부호화 효율을 제공하였다.

Microsatellite loci 분석에 의한 한우와 타 품종간의 유전적 유연관계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Cattle and Other Cattle Breeds by Microsatellite loci)

  • 윤두학;박응우;이승환;이학교;오성종;정일정;홍기창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3호
    • /
    • pp.341-354
    • /
    • 2005
  • For the genetic assessment of the cattle breeds including Hanwoo, eleven microsatellite markers on ten bovine autosomes were genetically characterized for 618 individuals of nineteen cattle breeds; North Eastern Asian breeds (Korean cattle, Korean Black cattle, Japanese Black cattle, Japanese Brown cattle, Yanbian cattle), Chinese yellow cattle (Luxi cattle, Nanyang cattle), European Bas taurus (Angus, Hereford, Charolais, Holstein, Limousin), African Bas taurus (N'Dama, Baoule), African Bas indicus (Kavirondo Zebu, White Fulani), Asian Bas indicus (Sahiwal, Nelore) and one Bali cattle, Bas banteng as an outbreed-reference population. Allele frequencies derived from the genotyping data were used in estimating heterozygosities, gene diversities and genetic distances. The microsatellite loci were highly polymorphic, with a total of 162 different alleles observed across all loci. Variability in allele numbers and frequencies was observed among the breeds. The average expected heterozygosity of North Eastern Asian breeds was higher than those of European and African taurines, but lower than those of Asian and African indicines. Genetic distances were estimated using Nei's DA genetic distance and the resultant DA matrix wa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phylogenetic trees. The genetic distances between North Eastern Asian cattle breeds and Bas indicus were similar with those between European Bas taurus and Bas indicus, and African Bas taurus and Bas indicus, respectively. The clusters were clearly classified into North Eastern Asian, European and African taurines groups as well as different cluster with Chinese mainland breeds, firstly out-grouping with Bas indic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cattle, Hanwoo, had not been originated from a crossbred between Bas primigenius in Europe and Bas indicus in India and North Eastern Asian Bas taurus may be have separate domestication from European and African Bas taurus.

CATIA CAD 시스템 기반 핫폼금형의 냉각수로 설계 자동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utomation of Cooling Channels in Hot Form Press Die Based on CATIA CAD System)

  • 김강연;박시환;김상권;박두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47-154
    • /
    • 2018
  • 본 논문은 흔히 핫스탬핑 공법으로 알려진 냉각수로가 있는 핫폼 금형의 설계 데이터를 신속히 생성하는 지원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둔다. 현장에서의 핫폼 금형의 설계조건과 설계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설계지원 시스템의 핵심기능들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한 새로운 핫폼 금형의 설계 프로세스를 제안 한다. 개발한 설계 지원 시스템은 핫폼 금형의 3차원 형상 모델과 2차원 도면을 생성하는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된다. 핫폼 금형의 3D 모델링 자동화 모듈은 CATAI V5 Knowledgeware를 기반한 CATAI 템플릿 모델 형태로 구현하였다. 이 모듈은 성형 곡면형상, STEEL(금형 Product를 구성하는 파트) 개수와 냉각수로의 개수에 대응하여 냉각수로를 포함한 핫폼금형의 3D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또한 냉각수로의 위치와 자세를 편집하는 기능과 성형곡면과 냉각수로 사이의 거리에 대한 구속조건 만족여부를 판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두 번째 모듈인 2D 가공도면을 자동 생성하는 모듈은 CAA(CATIA SDK)와 Visual C++를 활용하여 CATIA CAD시스템에 이식 가능한 플러그인 형태로 개발 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자 정의 시나리오 기반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방법은 수작업 기반의 전통적인 방법에 비해 설계 오류 없이 약 29배 빠르게 핫폼 금형 3D모델과 홀테이블을 포함하는 가공도면을 생성하였다.

KMT-2018-BLG-0029LB: A VERY LOW MASS-RATIO Spitzer MICROLENS PLANET

  • Gould, Andrew;Ryu, Yoon-Hyun;Novati, Sebastiano Calchi;Zang, Weicheng;Albrow, Michael D.;Chung, Sun-Ju;Han, Cheongho;Hwang, Kyu-Ha;Jung, Youn Kil;Shin, In-Gu;Shvartzvald, Yossi;Yee, Jennifer C.;Cha, Sang-Mok;Kim, Dong-Jin;Kim, Hyoun-Woo;Kim, Seung-Lee;Lee, Chung-Uk;Lee, Dong-Joo;Lee, Yongseok;Park, Byeong-Gon;Pogge, Richard W.;Beichman, Charles;Bryden, Geoff;Carey, Sean;Gaudi, B. Scott;Henderson, Calen B.;Zhu, Wei;Fouque, Pascal;Penny, Matthew T.;Petric, Andreea;Burdullis, Todd;Mao, Shude
    • 천문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9-26
    • /
    • 2020
  • At q = 1.81 ± 0.20 × 10-5, KMT-2018-BLG-0029Lb has the lowest planet-host mass ratio q of any microlensing planet to date by more than a factor of two. Hence, it is the first planet that probes below the apparent "pile-up" at q = 5-10 ×10-5. The event was observed by Spitzer, yielding a microlens-parallax πE measurement. Combined with a measurement of the Einstein radius θE from finite-source effects during the caustic crossings, these measurements imply masses of the host Mhost = 1.14+0.10-0.12 M and planet Mplanet = 7.59+0.75-0.69 M, system distance DL = 3.38+0.22-0.26 kpc and projected separation a = 4.27+0.21-0.23 AU. The blended light, which is substantially brighter than the microlensed source, is plausibly due to the lens and could be observed at high resolution immediately.

LED 광질에 따른 고구마의 묘소질 및 괴근 수량성 (Growth and Tuber Yield of Sweet Potato Slips Grown under Different Light-Emitting Diodes)

  • 이나라;이승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6-363
    • /
    • 2014
  • 몇가지 LED 광질이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생장과 포장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신황미', '연황미', '맛나미' 등 3품종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20일간 담액수경 재배하여, 자연광하에서 10일간 순화시켜 30cm 크기의 삽수를 $75{\times}25cm$로 6월 10일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하였다. LED 광질은 형광등(40W)을 대조구로 하여 적색(660nm), 청색(460nm), 적+청 8:2 및 적+청 7:3 혼합광을 사용하였다. 묘소질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줄기신장, 줄기두께, 잎수 및 뿌리발달 등이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정식 30일후, 포장 생존율은 적:청(7:3) 혼합 LED에서 형광등과 적색 LE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등의 지상부 생육특성도 LED 광질 및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식 120일후 지상부 생육특성에서도 줄기길이, 줄기두께, 마디수, 곁가지수, 생체중 등에서 LED 광질에 따른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며, 줄기길이, 마디수, 줄기두께, 생체중 등에서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당평균중, 평균괴근중 및 수량 등은 LED 광질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품종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품종간 수량은 '맛나미'와 '연황미'에서 '신황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광보상점 이하의 보광이 절화장미 'Vit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of Sub-Compensation Intensities on Growth of Rosa hybrida L. 'Vital')

  • 최영하;권준국;최경이;강남준;전희;조명환;서태철;노미영;이성찬;이재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2-137
    • /
    • 2008
  • 동계 절화장미 'Vital'재배시 보광이 장미의 생육과 절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보광 광원은 250W의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및 혼합(메탈할라이드등+고압나트륨등)등을 베드 위 120cm 높이에 $310cm{\times}450cm$로 설치하였다. 보광등에서 1m 떨어진 지점의 광도는 $32{\sim}34{\mu}mol{\cdot}m^{-2}{\cdot}s^{-1}$였다. 보광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개화소요일수가 1번화는 $5{\sim}8$일, 2번화는 $3{\sim}5$일 단축되었다. 보광구 간에는 혼합등이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고, 고압나트륨등, 메탈할라이드등 순 이었으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생육도 보광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좋았다 특히 블라인드 발생이 $5{\sim}7%$ 감소되어 절화수량 증가의 주 요인이었다. 보광구간에는 혼합등이 가장 좋았고,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순 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보상점보다 낮은 광도의 보광도 개화소요일수 단축 및 블라인드 발생억제에 효과적이었다.

자궁경부암 강내 방사선 조사장치에 의한 직장 및 방광의 피폭선량 평가 (Dose Distribution of Rectum and Bladder in Intracavitary Irradiation)

  • 추성실;오원용;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2호
    • /
    • pp.261-270
    • /
    • 1984
  • The intrauterine irradiation is essential to achieve adequate tumor dose to central tumor mass of uterine malignancy in radiotherapy. The complications of pelvic organ are known to be directly related to radiation dose and physical parameters. The simulation radiation and medical records of 20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intrauterine irradiation from Feb. 1983 to Oct. 1983, were critically analized. The physical parameters to include distances between lateral walls of vaginal fornices, longitudinal and lateral angles of tandem applicator to the body axis, the distance from the external os of uterine cervix to the central axis of ovoids were measured for low dose rate irradiation system and high dose rate remote control afterloading system. The radiation doses and dose distributions within cervical area including interesting points and bladder, rectum, according to sources arrangement and location of applicator, were estimated with personal computer. Followings were summary of study results ; 1. In distances between lateral walls of vaginal fornices, the low dose rate system showed as $4\~7cm$ width and high dose rate system showed as $5\~6cm$. 2. In horizontal angulation of tandem to body axis, the low dose rate system revealed mid position$64.6\%$, left deviation $19.2\%$and right deviation $16.2\%$. 3. In longitudinal angulation of tandem to body axis, the mid position was $11.8\%$ and anterior angulation $88.2\%$ in low dose rate system but in high dose rate system, anterior angulation was $98.5\%$. 4. Down ward displacement of ovoids below external os was only $3\%$ in low dose rate system and $66.7\%$ in high dose rate system. 5. In radiation source arrangement, the most activities of tandem and ovoid were 35 by 30 in low dose rate system but 50 by 40 in high dose rate system. 6. In low and high dose rate system, the total doses an4 TDF were 50, 70 Gy and 141, 123, including 40 Gy external irradiation. 7. The doses and TDF in interesting points Co, B, were 93, 47 Gy and 230, 73 in high dose rate system but in low doss rate system, 123, 52 Gy and 262, 75 respectively. 8. Doses and TDF in bladder and rectum were 70, 68 Gy and 124, 120 in low dose rate system, but in high dose rate system, 58, 64 Gy 98, 110 respectively, and then grades of injuries in bladder and rectum were 25, $30\%$ and 18, $23\%$ respectively.

  • PDF

각형강관 기둥-보 핀접합부의 내력식 제안 (Suggestion on Strength Formula of Square Hollow Section Tubluar Column-to-BeamPinned Connections)

  • 최성모;이성희;이광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525-534
    • /
    • 2006
  • 기둥과 보를 핀접합부로 연결하는 경우 볼트열과 기둥플랜지면 사이의 편심거리에 의해 강관면에 국부적인 모멘트가 유발 되어 기둥의 내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형강관 기둥-보 핀접합부를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둥의 폭과 두께 변화, 내부보강 유무, 축력의 유무에 의한 변수로 모멘트에 의한 각형강관 기둥의 내력저하를 규명하기위해 해석을 수행 하였다. 유한요소해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형강관 기둥-보 핀접합부의 내력식을 제안하기 위해 항복선 이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각형강관 기둥-보 편접합부의 모멘트에 의한 기둥의 내력은 폭과 두께의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으며 기둥의 폭두께비가 동일하여도 기둥의 크기 증가로 내력이 향상되었다. 각형강관 기둥의 무보강형태에 대한 내력의 한계치를 제시 하였으며 한계치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기둥 내부의 보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각형강관 기둥의 내력 향상과 제작성을 고려하여 수평보강재 의 형태를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모멘트에 의한 내력저하를 고려한 각형강관 기둥-보 핀접합부의 내력식을 무보강형태와 수평보강형태로 각각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