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ulva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4초

재발한 Vulvar 종양의 근접치료 시 Modified Mupit Applicator의 적용 (Application of Modified Mupit for the Recurrent Vulva Cancer in Brachytherapy)

  • 김종식;정천영;오동균;송기원;박영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19
    • /
    • 2006
  • 목 적: 재발한 vulva 종양의 근접 치료 시 정상조직의 장애와 종양 체적 내의 선량 균등도를 개선하기 위해 modified MUPIT applicator를 자체 고안하였으며 이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Modified MUPIT applicator는 template, cylinder, interstitial needle로 구성 되었으며, 종양 체적을 정하기 위하여 치료 전 CT를 시행하였다. CT 영상을 이용하여 Interstitial needle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고, 수술실에서 template를 치료 부위에 고정을 시키고, cylinder를 vaginal cavity에 삽입한 후, interstitial needle을 종양 체적 내에 삽입하였다. 삽입된 interstitial needle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용 CT를 시행하였으며, simulation을 통하여 얻어진 orthogonal film을 이용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였다. 일일 종양 선량은 600 cGy, BID로 3,000 cGy를 조사하였으며, 치료 시 직장 선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TLD를 이용하여 anal verge를 기준으로 5개 지점에서의 직장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Modified MUPIT applicator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된 직장 선량은 34.1 cGy, 57.1 cGy, 103.8 cGy, 162.7 cGy, 165.7 cGy로 측정되었으며, 외부방사선치료(EBRT: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강내방사선치료(ICR: Intracavitary radiotherapy)와 중첩되는 지점은 34.1 cGy, 57.1 cGy로 매우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결 론: 자체 제작한 modified MUPIT applicator 사용하여 조직 내 근접치료(Interstitial brachytherapy)를 시행함으로써, 외부방사선치료로 접근하기 어려운 종양에 대하여 선량 균등도를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었고, 직장 선량을 최소화하여 직장의 부작용 발생 확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 PDF

현대회화에서 신체성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sing physical body in Contemporary Painting)

  • 박기웅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6권
    • /
    • pp.140-202
    • /
    • 2004
  • Body means 1)the whole structure and substance of a man, animal, or plant 2) the trunk or torso of a man or animal 3) part of garment that covers the trunk 4) the fresh or material substance, as opposed to the spirit. Human body could be distinguished as fresh and spirit. Body has the meaning of physicality. Physical means the bodily and constitution, but in the meaning of constitution there is the content of spirituality. Physicality means the appearing or arising of trace or image or nuance of body. The paintings which are using bodies are 1) directly draw bodies 2) twisting or transformation or nuance of the body and highly upgrade the physical emotion or fantastic bodily nuance 3) directly rubbing artist's body on the surface of painting with pigments to elect tactile specification. These physical art have appeared broadly by various artists, mainly with the social aspects of sex, drug, psycho sexual issues. In case of Joel peter Whitkin, the reason of strong physicality in the art is from the mind of the rejection and resistance of real world which is targeting top, perfect and beauty. Further explanation, being the world which is separated top and under, men and women, beauty and ugly; further in the situation, the hierarchy, terror and pressure began and many difficult problems has derived. The contents of attacking feminists's art works are very obscene to reveal female and male's phallus strongly. Sometime, it is strongly related in the political issues. The physical paintings have strong meanings in the action by hands and feet. It supports that it could reveal the humanity with smell, breath, and traces of bodies. In the bodies, the origin of life begins which gives human life by blood lines and water. Sometime, the physical paintings are made by the blood and urine to stick the physicality for special nuance. The physical paintings are made by the image of penis and clitoris which are related in the image of urinating, ejaculation and sometime is symbolized as pens and candles to drop liquid. The selected painters who are related in physical painting are Jackson Pollock, Andrea Serano, Eve Klein, Francis Bacon, Francesco Clemente, Lichard Long, Jakes & Dinos Chapman, Anselm Kiefer, Kiki Smith and Park, Ki Woong. Francis Bacon's style is destructive in representing human shapes which give us special message about the unbearable activity of men politician, high brain, wealthy and religious people. Francesco Clemente's method is to use throat, ear hole, mouse, clitoris, belly nostrils and every holes of body to transmute human physical body. Lichard Long uses directly his body in drawing the surface of painting by using liquid of mud Jakes & Dinos Chapman destroys or transforms the bodies of human. It sometime appears wrong location of the bodies that the penis and vulva is in between human faces or nose of women, Anselm Kiefer uses human hair for representing the human decaying martyrs, and indirectly using straw, he gives special ritual action to repent the Nazi's fault. From 2002 to 2003, Park KI Woong used women womb images to intermingle the smoke shape of <9.11 terror, 2001> in New York to reveal the painful situation of the time(*).

  • PDF

한국산 야생 오소리에서 분리한 오소리구충 (Tetragomphius procyonis)의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 소견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Tetragomphius procyonis (Ancylostomatoidea) from Wild Badger)

  • 손화영;오윤희;김현철;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9-385
    • /
    • 2009
  • 계룡산국립공원으로부터 기증된 야생오소리의 췌장에서 오소리구충 (Tetragomphius procyonis)을 분리하여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그 형태를 관찰하였다. 충체의 길이는 수컷 15.0-18.8 mm, 암컷 21.5-25.5 mm에 달하였다. 암수 모두 구강 복면 변연에 한 쌍의 절판과 배면에 하나의 절판이 존재하였다. 컵모양의 구강 기저부에 한쌍의 분기된 아복치 및 한쌍의 아배치가 존재하였다. 충체 전체에 가로 줄무늬가 존재하였고 경부유두 선상의 복측 중앙에 배설공이 개구하였다. 가늘고 긴 교접자 (8.7-9.3 mm)는 그 끝이 서로 융합되어 있었다. 교접낭은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잘 발달된 배늑은 평행으로 주행하였다. 음문은 충체 후방 4/5 부위에 개구하였고 꼬리에는 미돌기 및 미유두가 존재하지 않았다. 배구 및 부교접자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음문은 체후방 4/5에 개구하였다. 자궁내의 충란은 16 세포기였고 직장내의 충란은 32 세포기였으며 충란의 크기는 77.48-83.45 ${\times}$ 50.75-63.38 ${\mu}m$였다.

제주마에서 음문 형태와 번식률의 상관 관계 (Reproductive Performance in Relation to Vulvar Conformation in Cheju Mares)

  • 강민수;박준배;손원근;고문석;손우진;유재규;윤영민;이주명;강태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7-1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의 연령에 따라 Caslick's index와 번식률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제주마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Caslick's index 역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연령이 어린 암말($3{\sim}7$세)에서는 평균 Caslick index가 45.4, $8{\sim}14$세에서는 72.5, 15세 이상은 72.5로 나타났다. Caslick's index에 따른 암말의 평균 연령은 Caslick's index 50 이하에서는 10.9세이고, 50이상 150 이하에서는 13세, 150 이상에서는 15.1세로 나타났다. 제주마의 번식률과 Caslick's index와의 관계 에서도 Caslick's index가 증가함에 따라 번식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재배한 흰돌기망태버섯(Dictyophora echinovolvata)의 형태적 특징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ly Cultivated Dictyophora echinovolvata)

  • 정종천;석순자;장갑열;박정식;김양섭;정봉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3-77
    • /
    • 2002
  • 본 연구는 농업과학기술원 응용미생물과에 보존된 망태버섯속(Dictyophora sp.)에 대한 인공배양 자실체 및 균사체의 형태적 특징을 관찰하였다. 이 버섯의 알과 성숙한 자실체는 대, 치마, 갓, 대주머니로 이루어져 있다. 알은 타원형으로 내피막, 젤라틴층, 외피막으로 싸여 있으며, 표면에는 백색의 침상 균사돌기로 싸여 있다. 성숙한 자실체는 대주머니 안에 젤라틴층이 액화되어 남아 있으며, 포자는 갓 위에 짙은 녹색의 포자층을 형성하고 있다. 치마는 대주머니 위로 길게 내려오고, 그물망의 눈은 다각형이며, 밤꽃 냄새가 난다. 균사체에서 후막포자 모양의 팽대세포(swelling cell)가 확인되었으며, clamp connection도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시균주 KACC 50650은 Dictyophora echinovolvata로 동정되었으며, 한국명으로는 '흰돌기망태버섯'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농촌학동에 감염된 Rhabditis sp.에 대하여 (Rhabditis sp. infected cases in rural school children)

  • 안영겸;정평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1-6
    • /
    • 1985
  • Five cases infected with Rhabditis sp. were detected in a survey to examine the stool specimens from rural primary school children. A large number of the larvae of Rhabditis sp. detected by the direct cellophane thick smear were cultured by the alter paper method. The eBamination was carried out in April through June, 1980 in Tangjeong-Myon, Ahsan.Gun, and in September 1983 in Sandong-Eup, Yeongwol-Gu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evalence: Out of 925 children, 5(0.54%) children were found to be positive. The number of the detected larvae was 110/0.1gm of feces in case 1, 35 in case 2, 130 in case 3, 86 in case 4 and 62 in case 5. 2. Larvae: The larvae were prepared by means of the direct fecal smear and measured by a micrometer equipped in the microscope. Twelve (12) through 15-day old larvae in culture were $197.1{\mu}{\textrm{m}}$ long in average, and the maximum size of the matured stage larvae was $884.0{\times}25.9{\mu}{\textrm{m}}$. However, the length variation was ranged as 173.0 to $884.0{\mu}{\textrm{m}}$. 3. Adults: The size of clubbed adult female was $1, 357{\mu}{\textrm{m}}(1, 176~1, 419)$ in length and $80{\mu}{\textrm{m}}(79~82)$ in width. Length of buccal cavity was $33{\mu}{\textrm{m}}$. A long cylindrical esophagus($273{\mu}{\textrm{m}}$) of the worms with a valved posterior cardiac bulb and with median bulbar swelling was morphologically indicated. Ditance from mouth to vulva was occupied 58% of body length. Male worm was $1, 006{\mu}{\textrm{m}}(890~1, 148)$ in length and $49{\mu}{\textrm{m}}(48~49)$ wide. Caudal alee of bursa and spicules ($75{\mu}{\textrm{m}}$ in length) were well developed. 4. Eggs: The oval shaped eggs in the female uterus, when cultured, were $66{\times}56{\mu}{\textrm{m}}$ in sixte, and the eggs laid by the adult could not be detected. So, reproduction might be thought to be ovoviviparity. 5. The five cases were re-examined during the period from the 1st to the 3rd week after stool examinations, but Rhabditis sp. were detected again in 4 cases in 1st week. When they were examined in 3rd week, larvae could not be detected. So, it was thought that the infection of Rhabditis sp. to humans was facultative.

  • PDF

비글개에서 발정 휴지기중의 난포낭종 (Follicular Cysts of a Beagle Dog in Diestrous Stage)

  • 김홍석;강현구;김일화;이청산;이기창;이동엽;문진산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37
    • /
    • 2007
  • 2년령의 암컷 비글개에서 교배 후 7일째에 혈액장액성 질 분비물과 외음부 종창의 주증을 보여 이를 진단하기 위해서 질 도말 검사,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였다. 초음파 검사 소견상 양측 난소에 10mm 이상의 낭종성 구조물이 다수 관찰되어 양측성 다포성 난소낭종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질 도말 검사에서는 각화 상피세포가 90% 이상이었으며, 수컷의 허용 반응을 확인한 결과 수컷의 허용은 물론 정상적인 교배가 이루어졌다. 이상의 소견을 종합해 본 결과 본 증례는 양측성 다포성 난포낭종으로 진단하였으며 GnRH $50{\mu}g$으로 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후 2주째에 낭종의 크기는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난포낭종으로 진단되기 전 최후 교배일로부터 68일째에 1두의 거대 태아를 분만하였다. 한편, 난포낭종 발생 시기와 임신이 이루어진 시기가 어느 시기인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혈장 progesterone 농도 및 estrogen 농도를 측정한 결과, 난포낭종의 진단시 혈장 estrogen 농도는 78.0 pg/ml 이었고 난포낭종의 진단 전 최후 교배시 progesterone 농도는 6.87ng/ml, 난포낭종의 진단 시 progesterone 농도는 66.93n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본 증례의 비글견에서 난포낭종이 발생한 시기는 발정 휴지기였으며, 난포낭종의 진단 전 최후 교배 시 임신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Bartholin 씨선(氏腺)에서 발생한 선암(腺癌)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reatment for Primary Adenocarcinoma of Bartholin's Gland - A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 오원용;황인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71-76
    • /
    • 1989
  • 외음부의 Bartholin씨선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약 200예가 보고되고 있지만 아주 희귀한 종양이다. 일반적으로 처음 내원 당시에는 낭종이나 포는 염증성 농양으로 오진하기 쉬우며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이 이루어져서 근치적 치료가 시도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모되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는 이 악성종양에 대한 원인과 적절한 치료방침에 대하여 결정된 바 없이 논란이 많으나 다른 외음부악성종양과는 엄격히 다르게 구별지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악성종양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써 방사선치료는 랴듐삽입 또는 전자선을 이용한 치료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지만 그 효과는 기대에 훨씬 못 미치고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불량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과적으로 근치적 외음부절제술과 양측 서혜부 및 대퇴부 임파절절제술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며 치료성적과 생존율도 괄목할 만큼 향상되었으나 수술 후 잔존하는 병변으로 인하여 재발이 문제시되고 있다. 본 저자들은 본원에서 경험한 1예와 다른 저자들의 문헌고찰을 통하여 분석하여 본 결과 앞으로 이 악성종양에 대하여 보다 세심한 임상적 관찰과 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이 시급히 요청되며, 아울러 적절한 치료방침의 결정과 함께 예후인자에 대한분석을 통하여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망된다고 하겠다.

  • PDF

HPV Detection and Genotyping in Vulvar Squamous Cell Carcinoma in Northern Thailand

  • Siriaunkgul, Sumalee;Settakorn, Jongkolnee;Sukpan, Kornkanok;Srisomboon, Jatupol;Utaipat, Utaiwan;Lekawanvijit, Suree;Khunamornpong, Surap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773-3778
    • /
    • 2014
  • Background: The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genotype distribution of HPV infection in vulvar squamous cell carcinoma (SCC) in northern Thailand and the clinicopathological difference with regard to HPV infection status. Materials and Methods: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amples of vulvar SCC diagnosed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2 were collected. HPV infection was detected by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primers MY09/11 and GP5+/6+. HPV genotyping was performed using the Linear Array Genotyping Test, followed by type-specific PCR targeting the E6/E7 region of HPV16/18/52 if the Linear Array test was negative. The histologic slides of vulvar lesions and the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sults: There were 47 cases of vulvar SCC included in the study (mean patient age $57.9{\pm}13.2$ years). HPV infection was detected in 29 cases (62%), all of which had single HPV infections. HPV16 accounted for 23 (49%). The patients with HPV-positive SCC had a significantly younger mean age than those with HPV-negative tumors (52.7 years vs 66.2 years,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mor stage distribution with regard to the status of HPV infection. The presence of vulvar intraepithelial neoplasia (VIN) of usual type (basaloid or warty)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HPV-positive cases compared with HPV-negative cases (62% vs 6%, p<0.001), whereas differentiated-type VIN was more common in HPV-negative cases (24% vs 0%, p=0.019). Conclusions: HPV infection was detected in 62% of vulvar SCC in northern Thailand. HPV16 was the predominant genotype similar to the data reported from other regions. HPV-positive SCC occurred in younger patients compared with HPV-negative SCC, and was associated with usual-type VIN. Vaccination against HPV16/18 may potentially prevent almost one half of vulvar SCC in northern Thailand.

산부인과용 펄스형 $CO_2$레이저의 펄스모듈 특성과 동작파형 변화에 따른 안정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embodiment of stable system by change of action waveform by pulsemodule special quality of pulse style$CO_2$ laser for obstetrics and gynecology)

  • 김휘영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97-102
    • /
    • 2007
  • [ $CO_2$ ] 레이저는 최소한 조직손상으로 이러한 효과를 얻는데 최적이라고 보며 0.1mm의 최소한의 세포조직 깊이에서 일어나는 효과의 근본적인 장점은 생체조직이나 내장기관에 안정적이다. 열에 의한 조직손상은 조직의 종류나 에너지밀도, 증발시간의 장단에 관계될 수가 있다 증발시간을 짧게 하면 주위세포의 열적손상은 $200\sim400um$이내에 일어나므로 레이저 빔은 비초점 영역에서 주위세포조직을 손상함이 없이 증발에 의한 제거나, 아주 얇은 층의 포를 깨끗하게 증발시킬 수 가 있다. $CO_2$레이저는 산부인과 응용에 표준이 되는 레이저시스템으로 외음부 상피내종양, 자궁암, 상피 종양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슈퍼펄스 출력은 거의 동일하나 펄스지속시간이 짧으면 레이저의 열적인 효과가 감소가 되므로 무엇보다도 산부인과용 펄스형 $CO_2$ 레이저의 펄스모듈 특성은 모드안정화가 매우 중요함으로, 본 연구에서는 짧은 펄스지속시간과 고출력밀도 되도록, DC-DC Converter에서 고주파로 스위칭 할수록 출력 DC의 ripple은 고주파화 되는데, 고주파화된 전류 리플은 출력 필터용 콘덴서의 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출력의 ripple을 근사적으로 Zero까지 실현이 가능한 인덕터를 적용하여 특성실험을 통하여 실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