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ulnerable group

Search Result 41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방문웃음요법이 취약계층 노인의 우울과 불면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isiting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Insomnia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 박은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05-21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iting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d insomnia in the vulnerable elderly. Methods: A quasi-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87 elderly who were registered in the Tailored Visiting Health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0.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visiting laughter therapy froma visiting nurse who had taken laughter training provided by laughter therapy exper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0~15 min of laughter therapy once a week for 8 weeks. The instruments included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Insomnia Severity Index to measure depression and sleep problems before and after the laughter therap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visiting laughter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depression and insomnia among the vulnerable elderly.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aughter therapy may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depression and insomnia Further studies would be need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effects according to time, interval, or period of visiting laughter therapy and to evaluate the lasting effect of visiting laughter therapy.

정신건강 취약 청소년을 위한 대인적 돌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for Vulnerable Adolescents in Mental Health Clinics)

  • 최은정;이영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84-194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Muldan Dongsan" for vulnerable adolescents in mental health clinic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Methods: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was composed of group interpersonal caring (one time per week for two weeks, for a total of 8 hr) and individual interpersonal caring (1-2 times per day for 2 weeks). For this research, a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model including nonequivalent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as used.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de up of 17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of 22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1 to July 25, 2009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7.0 program. Results: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Muldan Dongsan' was effective for mental health, including self-esteem, hope, and quality of life for vulnerable adolescents. Conclusion: The positive finding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personal caring program "Muldan Dongsan" and the participants' high satisfaction with this program indicate that it can be utilized actively as a specific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at school and in the community.

안전약자의 재난안전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s Social Activity in the Safety Fields)

  • 유병태;김현정;김상용;오금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5-140
    • /
    • 2015
  • Individuals who are vulnerable during disaster - including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children, pregnant women and etc - have a strong desire to protect themselves when disaster strikes since they are less capable to deal with the impact of disaster. Their experience and effort to keep them safe can be used as a resource to reduce the impacts of disaster not only for them but also for the community as a whole. Therefore, voluntary disaster management program will contribute to our society as a tool to respond effectively to disaster not only to meet the vulnerable's special needs but also to enhance community safety and public interest. This paper suggests a model that able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to take a leadership role in identifying risk and vulnerability factors, recommending disaster management strategy, and through that, contributing to enhance society's disaster pla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urveyed individuals including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in order to assess the vulnerable's participation in disaster related volunteer work and surveyed associated institutions(volunteer centers, community centers) in order to research currently existing relevant programmes and the participation of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in such programmes. Also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 to explore voluntary program which will possibly integrate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into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As a result, three types of voluntary disaster management programs - education, public-relations, and activity - were suggested.

일부 농촌지역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대상 취약계층 노인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 (EQ-5D) 수준 및 관련요인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 김종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9-109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evels of quality of health-related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vulnerable elders aged 65 or higher receiving visiting health care benefits by a public health center in a county. Results: Levels of health-related EQ-5D were high when the subjects were males, their ADL and IADL were high. The EQ-5D of the vulnerable elders and social suppor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ir IADL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Q-5D. We can see that the EQ-5D related factors are variables that have significance influence on gender, subjective health status, BMI, IADL, depression levels, and social support. Conclusion: To improve the EQ-5D of the vulnerable elderly, it needs maintenance of independent IADL levels, social supporting systems using small meeting of the elderly i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independent IADL levels, enhance social supporting systems including small group gatherings for elders living alone by means of places like community halls, and develop specific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pressive elders.

취약계층의 사고 후 장애 발생으로 인한 결과: 한국사회의 취약한 노동계층 중심으로 (Accidents resulting in disability in vulnerable populations and their consequences: A study of vulnerable worker groups in South Korea)

  • 박해용;박진욱;백도명;이은희;박윤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225-232
    • /
    • 2017
  • 이 연구는 근로자의 고용상태에 따라 사고 이후 사회경제적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되었다. 노동패널(2001-2006) 자료를 이용하여, 2001년 근로자들의 경제활동 상태, 고용상태가 연구기간 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았다. 추적관찰 동안, 경제활동 그룹에 비해 실직 그룹에서 사고로 인한 장애를 더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실직그룹에서 산업재해율도 가장 높았다. 고용 상태별로 보면, 일용직, 무임금 근로자들이 장애를 더 많이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사고를 겪은 후, 비활동경제상태 또는 실직자가 되었다. 다른 근로자그룹과 비교해서 비활동경제 그룹, 실직자, 일용직, 무임금 가족근로자가 사고율도 높았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이들의 사회경제적 상태를 더 악화시켰다.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정책효과성 추정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Active Labour Market Polices)

  • 전주용;전재식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1호
    • /
    • pp.99-132
    • /
    • 2017
  • 본 논문은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취업잠재력을 추정하였다. 또한, 일자리사업의 실행 환류 측면에서 참여 전, 참여 중, 참여 후 등으로 구분하여 일자리정책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실증분석은 한국노동 패널조사(KLIPS) 자료와 일모아-고용보험DB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취업잠재력은 평균 56.3로 추정되었고 직접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취업잠재력이 가장 낮았다.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참여자의 모집 선발 시 취약계층 저소득층의 참여 정도는 약 30.8%로 나타났고 직접일자리사업 내에서 이들의 참여 비율은 71.5%로 가장 높았다. 뿐만 아니라 직접일자리사업 내에서 취업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류(1~2분위)에서 취업취약계층의 비중이 더 높았다. 직접일자리사업이 취업취약계층 대상으로 한시적 일자리 제공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초 정책 의도, 또는 취지에 부합하도록 사업이 실제 추진되었음을 시사한다. 한편 직접일자리사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업 참여 이후 고용유지 기간은 취업잠재력이 높을수록 길어지고 사업 참여 이후 재취업 소요기간은 취업잠재력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취업잠재력에 따라 사업 참여 이후 고용효과에 차이가 분명한 만큼 직접일자리사업의 고용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참여자의 취업잠재력 제고 등 참여자 관리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PDF

한국인의 정신건강이해력 평가와 취약집단분석 (Mental Health Literacy and Vulnerable Group Analysis of Korea)

  • 서미경;이민규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313-334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정신건강이해력(MHL)을 평가하고 취약집단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연령별, 지역별 인구비례에 따라 표집 된 성인 1,197명을 대상으로 정신분열병, 우울증, 알코올중독 사례를 무작위로 배정하여 각 사례의 정신질환 인식률, 원인에 대한 이해, 치료법과 치료자원에 대한 이해, 정신과치료에 대한 낙인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MHL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인 인식률도 낮지만 특히 정신분열병에 대한 인식률이 매우 낮았다. 원인 또한 사회적, 생물학적 원인보다 개인적 원인을 선호하였고, 심리상담을 제외한 전문적 치료의 유용성을 자가 치료보다 낮게 인식하였다. 전문가 중에서는 정신과전문의의 유용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지만 이것 역시 가족보다 낮은 수준이다. MHL 취약집단을 분석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MHL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차이는 원인에 대한 이해와 치료방법과 자원에 대한 이해에서 나타났다. 낮은 집단의 특성은 남성이 많고, 60대 이상이며, 군 이하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정부 주도하의 대중매체를 활용한 MHL 향상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취약집단에 대한 우선적 개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 PDF

중장년 고용취약계층의 경력역량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reer Competencies among the Middle-aged Employment Vulnerable Groups)

  • 박지원;권기범;한지영;우혜정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85-297
    • /
    • 2023
  • 본 연구는 중장년 고용취약계층의 경력역량을 탐색하고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중장년 고용취약계층을 위한 체계적 경력개발 및 인적자원개발의 단초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중장년(만 40~64세) 고용취약계층 대상 인터뷰 및 전문가 검증을 통해 도출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 고용취약계층은 직업, 현재 상태 등 개인 특성에 따라 상이한 경력요구사항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 고용취약계층 경력역량은 크게 경력인지역량, 경력방법역량, 경력태도역량, 경력전환역량, 경력자원관리역량의 5개 구성요인과 21개의 하위 세부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Borich 및 Locus for Focus 분석방법을 활용한 중장년 고용취약계층 경력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 경력목표설정, 경력실행력, 취창업정보, 구직기술이 최우선순위 역량으로, 경력정체성, 디지털문해력, 고용시장지식, 인프라활용이 차우선순위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포괄적 중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허약노인의 기능 상태와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Functional Status and Bone Density of the Socially-Vulnerable and Frail Elderly)

  • 이인숙;이광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1-5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sease management, nutrition education, and group exercise program for three months to the moderately frail elderly whose physical functions have deteriorated,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in order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As a quasi-experi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non-equivalence studies designed as a similar experiment. The milk intake group and calcium intake group participated in the disease education, individual nutrition education, and group exercise program for three months, and the control group was visited once in the three months by a nurse who provided disease education, nutrition education, and oral instruction of exercise, and asked them to exercise on their own every day. For the data analysis, ${\chi}^2$-test, ANOVA and $Scheff{\acute{e}}$ test were used. Results: After three months of interven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ailty level (p=.029) and bone density (p=.001)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e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bone density and the frailty level of the socially-vulnerable and moderately frail elderly, suggesting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prevent functional deterioration and damage of the moderately frail elderly.

연산자 조작 공격과 피연산자 조작 공격에 대한 기존 CRT-RSA Scheme의 안전성 분석 (The Security Analysis of Previous CRT-RSA Scheme on Modified Opcode and Operand Attack)

  • 허순행;이형섭;이현승;최동현;원동호;김승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85-190
    • /
    • 2009
  • CRT-RSA의 사용이 대중화됨에 따라, CRT-RSA에 대한 보안 또한 중요 이슈가 되었다. 1996년, Bellcore 연구원들에 의해 CRT-RSA가 오류 주입 공격에 취약하다고 밝혀진 이래로, 많은 대응책들이 제안되었다. 첫 번째 대응책은 1999년 Shamir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Shamir의 대응책은 오류 검사 기법에 기반을 두고 있다. Shamir의 대응책이 소개된 이후, 오류 검사 기법을 사용하는 많은 대응책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Shamir의 대응책은 2001년 Joey 등에 의하여 피연산자 조작 공격에 취약함이 밝혀졌으며, 오류 검사 기법 또한 2003년 Yen 등에 의하여 연산자 조작 공격에 취약하다고 알려졌다. 이에 Yen 등은 오류 검사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오류 확산 기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대응책을 제안하였으나, Yen 등이 제안한 대응책 또한 2007년에 Yen과 Kim에 의하여 안전하지 않음이 밝혀졌다. 최근에는 Kim 등이 Yen 등의 대응책을 보완한 새로운 대응책을 제안하였으며, Ha 등 또한 오류 확산 기법을 사용한 대응책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Kim 등과 Ha 등이 제안한 대응책들을 포함한 기존 대응책들은 연산자 조작 공격에 대해서는 안전성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피연산자 조작 공격은 물론, 연산자 조작 공격도 고려하여 지금까지 제안된 대응책들의 안전성을 분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