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d area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1초

접착형 2급 주조 금 인레이의 치은변연 접합도에 관한 연구 (A GINGIVAL MARGINAL FIT OF THE ADHESIVE CLASS II CAST GOLD INLAY)

  • 최희경;신동훈;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2호
    • /
    • pp.473-484
    • /
    • 199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n cement, which had been known to increase the adhesive capacity of the cast gold inlay, on the gingival marginal fit and whether the tin-planting of the beveled area affects the marginal fit, Class II cast gold inlays were made on the 25 sound molars. Control group(ZPC goup) was cemented with the ZPC by conventional method. Experimental groups were cemented with the resin cement(Super-hond & $Panavia_{EX}$) and subdivided further by the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the tin-plating of the beveled area(ST & PT groups: with plating, SNT & PNT groups: without plating). So, each group was consisted of 5 teeth and the gingival margin of each specimen was mesiodistally sectioned by 3 times and the marginal and internal gap were evaluated by the Stereo Microscope (${\times}180$)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ascope(${\times}5,000$) was used for examining the adhesive relationship of the resin cement to the cavity wall and to the cast gold surfa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arginal gap was less than internal gap in all groups. 2. ZPC and SNT(bevel without tin-plating) groups showed the least gap and gap in PNT(bevel without tin-plating) group, ST(bevel with tin-plating) group, PT(bevel with tin-plating) group showed the greater value in order in evaluation of the both internal gap and marginal gap. 3. With the excep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ZPC and SNT groups, ST and PNT groups, relationships between any other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internal gap(p<0.05). 4. In the marginal gap, all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show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except the relationships between ZPC and SNT groups, ST and PNT groups, ZPC and PNT groups. 5. ZPC group showed more soluble phenamena than the resin groups(ST, SNT, PT, PNT). 6. Resin cement showed the void spaces in spite of good penetration into the micro-irregularities on both the tooth surface and the cast surface. The void was shown more in PT and PNT groups than in the ST and SNT groups. 7. After the treatment of heat and desiccation for SEM specimen, resin cements were detached more easily from the tooth surface than from the cast surface.

  • PDF

임도성토사면(林道盛土斜面)의 토질역학적(土質力學的) 특성(特性)과 안정해석(安定解析) (Soil Mechanical Properties and Stability Analysis on Fill Slope of Forest Road)

  • 지병윤;오재헌;차두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75-284
    • /
    • 2000
  • 본 연구는 집중호우로 인하여 임도사면의 붕괴가 발생된 변성암지역 및 화성암지역의 임도를 대상으로 성토사면의 토질역학적 특성파악과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일분류법에 의한 임도성토사면의 토질의 분류는 화성암과 변성암지역 모두 토사사면은 SW, 풍화암사면은 SP, 연암사면은 GP로 나타났으나, 호박돌 섞인 토사사면에서는 화성암지역은 SP, 변성암지역은 GW로 나다났다. 2) 화성암지역의 성토사면 흙의 건조말도는 $1.34g/cm^2{\sim}1.59g/cm^2$, 비중은 2.57~2.61, 간극비는 0.66~0.93으로 나타났고, 변성암지역의 흙의 건조밀도는 $1.35g/cm^2{\sim}1.51g/cm^2$, 비중은 2.67~2.77, 간극비는 O.78~1.01로 나타났다. 3) 흙의 강도정수인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의 시험결과, 화성암지역에서의 내부마찰각은 $29.51^{\circ}{\sim}41.82^{\circ}$ 점착력은 $0.03kg/cm^2{\sim}0.38kg/cm^2$, 변성암지역에서의 내부마찰각은 $21.43^{\circ}{\sim}41.43^{\circ}$, 점착력은 $0.05kg/cm^2{\sim}0.44kg/cm^2$로 나타났다. 4)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한 결과 안전율은 전체적으로 화성암지역의 경우에는 풍화암사면, 변성암지역의 경우에는 토사사면과 풍화암사면이 1 이하로 붕괴발생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cision Tree model을 이용한 철도 주변 산사태 발생가능성 예측 (Prediction of Landslide Probability around Railway using Decision Tree Model)

  • 윤중만;송영석;박권준;유승경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29-13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Decision Tree model을 기반으로 개발된 산사태 예측프로그램 SHAPP ver 1.0을 이용하여 전라남도 무안군 ${\bigcirc}{\bigcirc}$지역의 호남선 철도 주변에 대한 산사태 발생예측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상지역의 총 8개소에서 토층시료를 채취하고, 이에 대한 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토질시험결과를 토대로 투수계수와 간극비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고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예측을 실시한 결과 총 15,552개의 해석셀 가운데 435개의 셀에서 산사태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때 해석셀의 크기는 $10m{\times}10m$이므로 산사태 발생예상 면적은 $43,500m^2$으로 나타났다.

다짐말뚝으로의 점토혼입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Clays Mixed into Compaction Piles)

  • 유승경;김주현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1-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순환골재 다공질 콘크리트말뚝(Recycled-Aggregate Porous Concrete Pile, RAPP)을 비롯한 각종 다짐말뚝공법(SCP와 GCP)에 대하여 원지반의 구속압에 기인한 다짐말뚝으로의 점토혼입현상이 개량된 지반의 압밀촉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모형지반의 압밀도를 50%, 100%의 상태로 원지반을 모사하였으며 다짐말뚝을 조성한 복합지반에 대해서는 심도 5m에 상응하는 구속압을 적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다짐말뚝으로의 점토 혼입량은 포화된 다짐말뚝으로부터의 배수량을 측정하여 추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를 통하여 다짐말뚝의 종류에 따라 원지반의 압밀 진행 상태에 따라서 연직배수기능을 담당하는 다짐말뚝의 통수 단면적이 변화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상대적으로 큰 간극비를 갖는 쇄석다짐말뚝에서 가장 많은 통수 단면적의 변화가 관측되었으나 원지반의 압밀이 진행된 상태일수록 그 변화량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산사태지역 자연사면의 지질별 토질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and it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in Natural Slopes of the Landslide Area)

  • 김경수
    • 지질공학
    • /
    • 제17권2호
    • /
    • pp.205-215
    • /
    • 2007
  • 이 연구는 산사태가 발생한 자연사면의 토층을 대상으로 여러 토질시험을 실시하여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토질특성을 고찰하고, 산사태와의 관련성 및 각 물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은 지질조건이 다른 3개지역으로서 같은 시기에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들이 집중적으로 발생된 경기 장흥 편마암류지역, 경북 상주 화강암류지역 및 경북 포항 제3기퇴적암류지역이다. 지질별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충은 미발생지역에 비해 세립자의 함유 비율이 더 높고 대체로 큰 간극율과 작은 밀도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동일한 지질조건인 경우 투수성이 양호한 토층이 산사태에 더 취약한데, 투수성은 입도분포, 간극크기, 흙입자의 거칠기 및 구조 등의 토질특성과 풍화나 퇴적환경 등 지질성인에 영향을 받는다. 모든 지질조건에서 전단저항각이 큰 토층은 작은 토층에 비해 산사태에 더 안정한 지반으로 분류된다. 투수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토질인자는 유효경, 균등계수, 곡률계수, 간극율 및 밀도 등이고 이들은 서로 상관관계에 있는 물성이다. 이러한 상관성은 3개지역 모두에서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한편, 간극비와 간극율이 크면 투수계수도 따라서 커지는 상호 비례적 관계를 갖는다.

통계기법에 의한 산사태발생지역 이암 풍화토층의 토질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udstone Weathered Soils in the landslide Area using Statistical Technique)

  • 황의순;정대석;김경수;이문세;송영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31-41
    • /
    • 2013
  • 이 연구는 집중호우로 인해 산사태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포항지역 이암 풍화토층을 대상으로 산사태와 관련한 토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사태발생지역과 미발생지역으로 구분한 토층시료에 대해 토질시험을 실시하고 제반 토질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기법으로 토질특성과 산사태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산사태와 상관성이 있는 토질인자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들 토질인자를 적용하여 산사태에 유의한 영향요소인 투수계수를 쉽게 산정할 수 있는 상관식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은 미발생지역에 비해서 간극률이 크고 밀도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입도가 불량하고 느슨한 토층지반은 특징적으로 큰 간극과 작은 밀도를 지님으로써 산사태에 더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사태발생지역의 토층이 미발생지역에 비해 다소 큰 투수성지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관성분석 결과 유효경, 간극비, 포화단위중량, 및 세립함유량이 투수계수에 유의한 영향인자인 것으로 평가됨으로써 이들 토질인자는 이암 풍화토층의 투수계수산정시 고려되어야 할 토질인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휴석동(休石洞) 땅밀림형(型) 산사태(山沙汰)의 발생특성(發生特性)에 관한 연구(硏究)(II) -지질(地質) 및 수문특성(水文特性)-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Hyuseok-dong(II) -Geological and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 우보명;박재현;최형태;전기성;김경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4호
    • /
    • pp.571-576
    • /
    • 1996
  • 충청북도(忠淸北道) 단양군(丹陽郡) 영춘면(永春面) 상리(上里) 휴석동(休石洞) 땅밀림형 산사태지(山沙汰地)의 지질특성(地質特性) 및 수문상황(水文狀況)을 조사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지의 토질(土質)은 고결도(固結度)가 낮고, 투수성이 높은 혈암(頁岩), 사암(砂岩), 석회암(石灰岩) 등이 혼재한 사력층(砂礫層)으로 구성되고 대규모 돌너덜지대가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지표토양은 하부로 갈수록 토양(土壤) 용적밀도(容積密度)가 증가하고, 공극비(孔隙比)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땅밀림형 산사태(山沙汰) 발생에 의한 지표토양(地表土壤)의 압축현상(壓軸現象)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지표(地表)에는 투수성이 높은 토양구조상(土壤構造上)의 특성(균열(龜裂) 및 함몰현상(陷沒現象) 발생 등)으로 인하여 강우수(降雨水)의 대부분이 지중(地中)으로 침투(浸透)하여 지표류거수량(地表流去水量)이 적고, 하단부 포락(浦落)벼랑에서 용출수(湧出水) 지점(地點)이 다수(多數) 확인되었다. 한편, 연구대상지에서는 산사태(山沙汰) 토괴(土塊)의 급속한 운동(運動)을 초래하는 70mm/day 이상의 강우강도를 가진 집중호우(集中豪雨)의 발생이 많음으로 인해, 이러한 집중호우가 산사태(山沙汰)를 발생시킨 주요 원인중 하나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휴석동 땅밀림형 산사태지(山沙汰地)는 지질(地質) 및 수문적(水文的) 상황(狀況)과 기상요인(氣象要因) 등의 여러 인자(因子)들이 상호 밀접하게 관련(關聯)되어 발생됨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向後) 이러한 관련인자(關聯因子)들에 대한 정밀한 조사(調査)와 연구(硏究)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산업부산물을 사용한 포러스 콘크리트의 수질정화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Water-Purification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Using Industrial By-Products)

  • 조영수;김정환;권혁준;박승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7-722
    • /
    • 2002
  •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on the water purification of the porous concrete and its influence on the compressive strength are reported in this paper. Two different sizes of coarse aggregate of 5-10, and 10-20mm, and three absolute volume ratios of paste to aggregate of 30, 40 and 50 percent for a given size of aggregate were used. For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concrete with the aggregate size of 5-10mm showed much higher strength than that with the aggregate size of 10-20mm. But, the compressive strength is higher when the ratio of paste to aggregate is smaller. In the water purification experiment, the amount of attached an organism on the porous concrete surface indirectly is examined by measuring the consumption of the Dissolved Oxygen (DO). The ability of the water purification is evaluated by the removal amount of the Total Phosphorus(T-P) and Total Nitrogen(T-N). The ability of the removal of the T-N and T-P in the test water is superior to a porous concrete with a smaller size of aggregate and a higher void content. These results are owing to a larg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specimen. As a result, porous concrete using by-products has sufficient performance of water purification.

  • PDF

Efficiency Evaluation of Adsorbents for the Removal of VOC and NO2 in an Underground Subway Station

  • Son, Youn-Suk;Kang, Young-Hoon;Chung, Sang-Gwi;Park, Hyun-Ju;Kim, Jo-Ch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5권2호
    • /
    • pp.113-120
    • /
    • 2011
  • Adsorbent combination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remove nitrogen dioxide ($NO_2$)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BTEX) out of a subway environment characterized by high flow and low concentration. Optimal conditions for the high removal efficiency of the concerned target compounds were obtained through testing a series of control factors such as adsorbent sorts, thicknesses, and superficial velocity. It was found that the efficiencies increased as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activated carbon and its thickness increased, and external void fraction decreased. Furthermore, mixed activated carbon with granular and constructed contents was extensively tested to reduce pressure drop through the carbon bed.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higher contents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was better than that of higher contents of the constructed carbon. When the mixed carbon was applied to the subway ventilation system in order to eliminate $NO_2$ and VOC simultaneously, the removal efficiencies were found to be 75% and 85%, respectively.

우리나라 전통 숯의 물리.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Physical and Adsorption of Korean Traditional Charcoal)

  • 김준태;김선화;김해진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4호
    • /
    • pp.77-86
    • /
    • 2006
  • The water purification was very important in Korea which has not sufficient water resource and while adsorption method among the various methods to eliminate the water pollutants has been widely used by activated carbon.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basic experiment for hall distribution, pH, conductivity, electronic microscope, cation exchange and inorganic materials the adsorption capacity of Korean traditional charcoal which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activated carbon of organic pollutants. As a result of observing Korean traditional charcoal with electronic microscope, it was found that it has porous structure, oak charcoal has circular structure, pine charcoal has square structure and bamboo charcoal has hexagonal structure, which has high void fraction per unit area because of its thin cell wall structure. As a result of experimenting hall distribution, hall distribution of bamboo high temperature charcoal is high as 0.269cc/g and has the greatest inorganic content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CEC) which are the important factor of chemical ad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