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ice search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4초

검색 포털들의 모바일 검색 기능 분석 (Analysis of Mobile Search Functions of Korean Search Portals)

  • 박소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5-1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구글 코리아, 네이버, 네이트, 다음, 야후 코리아의 모바일 검색 기능을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유선 검색과 차별화되는 모바일 검색 기능인 음성 검색, 음악 검색, 코드 검색, 비주얼 검색(사물 검색) 등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검색 기법의 특징을 포털별로 조사하고, 검색 성능을 인식의 정확도와 인식 속도에 근거하여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조사 결과, 네이버와 다음이 가장 다양한 모바일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구글은 음성 검색만을 제공하고 있었고, 네이트와 야후는 어떠한 특화된 기능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포털의 효과적인 모바일 검색 기능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의 음성 검색에서 퍼지 쿼리 처리를 위한 프로토타입 모델 (A Prototype Model for Handling Fuzzy Query in Voice Search on Smartphones)

  • 최대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8D권4호
    • /
    • pp.309-312
    • /
    • 2011
  • 스마트폰의 음성 검색에서 퍼지 쿼리를 처리하는 것은 가장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이다. 이는 자연어에 내재된 자유도와 복잡성에 주로 기인한다. 스마트폰의 음성 검색에서 퍼지 쿼리의 자유도와 복잡성을 줄이기 위해 속성값에 기반을 둔 방법이 제안된다. 또한, 퍼지 쿼리 처리를 위한 속성값에 기반을 둔 새로운 페이지 등급 알고리즘이 제안된다. 이는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기반을 둔 위치기반의 개인화된 페이지 등급을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위치기반의 개인화된 웹 검색의 진일보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음성 검색에서 퍼지 쿼리 처리를 위한 프로토타입 모델을 설계하고, 기존 스마트폰과 비교하여 제안된 방법의 성능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탐색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적응적인 탐색을 이용한 고속 움직임 예측 알고리즘 (A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Adaptive Search According to Importance of Search Ranges)

  • 김태환;김종남;정신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37-442
    • /
    • 2015
  • Voice activity detection is very important process that voice activity separated form noisy speech signal for speech enhance. Over the past few years, many studies have been made on voice activity detection, but it has poor performance in low signal to noise ratio environment or fickle noise such as car noise. In this paper, it proposed new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using ensemble variance based on wavelet band entropy and soft thresholding method. We conduct a survey in a lot of signal to noise ratio environment of car noise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confirm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VoiceXML 기반 음성인식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개발 (The Interactive Voice Services based on VoiceXML)

  • 김학균;김은향;김재인;구명완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43호
    • /
    • pp.113-125
    • /
    • 2002
  • As there are needs to search the Web information via wire or wireless telephones, VoiceXML forum was established to develop and promote the 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VoiceXML). VoiceXML simplifies the creation of personalized interactive voice response services on the Web, and allows voice and phone access to information on Web sites, call center databases. Also, it can utilize the Web-based technologies, such as CGI(Common Gateway Interface) script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the voice portal service platform based on VoiceXML called TeleGateway. It enables integration of voice services with data services using th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and Text-To-Speech (TTS) engines. Also, we have showed the various services on voice portal services.

  • PDF

검색엔진을 이용한 VoiceXML 검색 인터프리터 개발에 관한 설계 (Design of VoiceXML interpreter for search system)

  • 이동민;윤영선;은성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Ⅲ
    • /
    • pp.1439-144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휴대 통신 단말 기기나 기존의 전화망에서의 음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인터넷 웹 검색을 가능하게 하는 VoiceXML 인터프리터를 개발하기 위한 설계를 논의한다. 기존의 VoiceXML 인터프리터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시나리오로 구성된 정적 페이지만을 대상으로 하나 제안하는 방법은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음성 인터페이스만을 이용해 원하는 정보에 대한 검색결과를 HTML로 해석하여 VXML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 PDF

Objective and Subjective Voice Examination in Korean Medicine

  • Yu, Junsang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7-61
    • /
    • 2014
  • Objectives: When a person speaks, voice problems usually include pain or discomfort and/or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pitch, the loudness and the quality of the voice. When patients with voice problems induced by stroke, Parkinson's disease, and systemic diseases involving the voice are examined, generally, of the Four Diagnoses (四診), a Diagnosis of Hearing can be used in current Korean medicine. The effects of acupuncture and herb medicine on voice problems have been reported for over 20 years. However, when it comes to improvements, objec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methods need to be explained. Methods: Subjective methods for evaluating voice were studie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of old medicinal books containing Korean medicine diagnostics, and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using Praat software is presented. Results: Korean medicine doctors analyze the patient's voice in clinical settings unconsciously on a daily basis. However, most voice diagnoses depend on the doctor's subjective evaluation. Voice qualities can be evaluated by using the Eight Principles (八綱), including Yin-Yang; the Five Elements (Phases); the Grade, Roughness, Breathy, Asthenic, Strained (GRBAS) score,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s subjective methods, and an acoustic analysis using the Praat program can be used as an objective method. Conclusion: A more complete voice examination can be achieved by using subjective and objective methods at the same time. For an objective explana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voice problems or systemic disorders, an objective method should be used in Korean medicine, which already has many subjective diagnostic methods. Mo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and more clinical evidence needs to be collected in the future.

대화형 음성 지원을 통한 지능형 검색 시스템 (Intelligent Retrieval System with Interactive Voice Support)

  • 문규진;우요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9-3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인식을 통해 상품검색을 도와주는 지능형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음성인식과정에서 잘못 인식된 어휘를 자동으로 수정하기 위해 어휘간의 관계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하는 시스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스템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간단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인식이 잘못된 어휘를 바로잡아 상품검색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 활용에 따른 서비스 사용성 평가: 네이버 앱을 중심으로 (Usability Evalu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arch Services Using the Naver App)

  • 황신희;주다영
    • 감성과학
    • /
    • 제22권2호
    • /
    • pp.49-58
    • /
    • 2019
  •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인공지능은 IT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핵심 사업 전략이 되고 있다. 그리고 국내외 주요 포탈 기업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검색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다.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는 이미지 음성과 같은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하며 검색 패러다임을 확장시켰다. 하지만 기존의 텍스트 기반의 검색 서비스와 다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익숙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는 서비스의 사용성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로,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를 이용에 따른 사용성에 변화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네이버앱 8.9.3 베타버전을 사례로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를 실험한다. 실험은 네이버앱 사용 경험이 있는 20대와 30대 30명을 대상으로, 네이버앱의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인 스마트 렌즈, 스마트 보이스, 스마트 어라운드, AiRS 추천 콘텐츠의 사용성을 기존의 네이버앱 검색과 비교하여 평가한다. 실험분석 결과, 기존의 네이버앱 검색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사용성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렌즈, 스마트 보이스, 스마트 어라운드는 양(+)의 상관관계가, AiRS 추천 콘텐츠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검색 서비스를 적용에 따른 사용성 변화를 평가하고 분석한 것으로, 추후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비스의 사용성 평가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의학에서 음성 진단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A review of the voice diagnosis studies in Oriental medicine)

  • 조신웅;박영배;박영재
    • 대한한의진단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26
    • /
    • 2008
  • Purpose : To review studies about voice diagnosis in orieltal medicine Method : The papers reviewed in this study were searched through internet search engines. For chinese studies,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www.cnki.net) was the main source of the information and the key words for Voice diagnosis studies were "(語聲)", "(聲診)", and (TCM). Conclusions : In Oriental Medicine, There are two ways to research about voices. One way is to research through philological consideration with subjectical and experimental diagnosis & studies as human bowel related in traditional studies. The other way is to research through Computerized Speech Lab(CSL), differential diagnosis for Sasang constitution and disease.

  • PDF

우리나라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위험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Voic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Voice Disorder of Korea Teachers)

  • 차슬기;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49-154
    • /
    • 2018
  • 직업적 음성 사용자들의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음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사는 음성장애 위험이 높은 직업군에 포함되기 때문에 음성문제 발생과 음성장애 발병 요인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의 음성 특성과 음성장애 위험 요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 분석을 통해 교사의 음성장애 위험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직업', '교사', '직업적 음성 사용자', '음성', '음성장애', '위험' 키워드를 조합하여 414편의 연구가 검색되었으며 그 중 8편의 연구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적 평가는 Qualsyst: checklist for assessing the quantitative studies 항목을 수정하여 비뚤림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음성 사용에 있어 음성의 오남용이 자주 발생하였으며 이는 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의 음성 오남용 환경 개선과 주기적인 음성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