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study

검색결과 1,443건 처리시간 0.034초

서울시내 일부여고생들의 안경착용률 및 시력보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irls' High School Students for Knowledge and Practice of Eyesight Care)

  • 김윤희;곽정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7-97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practical information about eyesight care-preventing refractive error and actual conditions of wearing glasses(or contact lenses) to help school health education, For this study, 1,216 freshmen were sampled from lib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survey was successfully accomplished.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results of this study: 1. The percentage of the freshmen wearing glasses in girls high school were 57.5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41.7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2. The percentage of both the students and parents wearing glasses were 49.9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33.8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3. From the survey,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began to wear glasses during their middle school years. The percentages were 46.6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62.1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4.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got their glasses prescribed from an ophthalmic clinic were 60.6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31.5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rest got their glasses from the optician.. 5.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earing glasses who didn't have optometry check-up for 6 months were 57.2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38.4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not wearing glasses in the same situation were 61.9 percent in liberal high school and 41.5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6.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who believe that the health education in school is necessary for the prevention of amblyopia were 79.2 percent of strdents attending in liberal high school, 82.9 perc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81.5 percent of students wearing glasses and 80.8 percent of students not wearing glasses.

  • PDF

정신장애인 직업재활모델과 직업평가 - 직업기능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 (A Model based Vocational Evaluation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 이성규;김상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123-147
    • /
    • 2003
  • 정신장애의 핵심적 특성이 다름 아닌 직업적 장애라는 것은 널리 지적되어온 사실이다. 2000년 정신장애가 장애범주에 포함된 이래, 정신장애인의 직업적 장애에 대한 개입, 즉, 직업재활이 바야흐로 활성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직업재활로부터 가장 이득을 얻을 대상군을 선발하고(선별), 효과적인 직업적 개입을 계획할 수 있도록 직업적 문제점을 알려주며(진단 및 개입계획), 개입을 통해 얻어진 직업기능의 향상을 측정해 줄 수 있는(성과평가) 직업평가도구가 시급히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선진국에서조차 현재 정신장애인의 직업평가는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수렴하여 유용한 정신장애인 직업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 직업평가가 직업재활모델에서 출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직업평가가 직업재활모델과 밀접하고도 필연적인 관련성을 가진다는 데서 도출된다. 즉, 직업평가는 어떤 직업재활모델을 기반으로 하느냐에 따라 평가의 기능과 시점, 그리고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 정신장애인 직업평가의 출발점으로서의 직업재활모델은 가속모델 이어야 한다. 전통적으로 직업평가에 배경이 되어온 직업재활모델, 즉, '준비모델 혹은 점진모델'은 신체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정신장애인에게는 맞지 않다. 셋째, 가속모델이 요구하는 직업평가도구의 특성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특성들을 수렴하고 있는 척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가) 직업평가의 일반적 기능들을 살펴보고, 나) 직업재활모델이 이러한 직업평가의 기능과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 논의하였다. 그리고 다) 가속모델이 특히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적절한 이유들을 논의하였고, 라) 이 모델을 기반으로 직업평가도구 제작의 원칙들을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마) 이 원칙들에 의거하여 한 연구에서 사용된 직업기능척도를 비판적으로 사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재활모델 기반의 직업기능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PDF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특성화고등학교 교육성과 분석 (An Analysi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Educational outcome using Data Mining Technique)

  • 김진;용환승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1-33
    • /
    • 2014
  • 본 연구는 초 중등 교육정보 공시를 통하여 전국 특성화고등학교의 학교단위별 자료(2012년도)를 파악한 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해 교육성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육성과는 취업률, 진학률, 기능경기대회 입상성적으로 정하였다.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 첫 번째, 학교현황에 따라 각 교육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두 번째, 교육활동을 포함한 학교의 세부적 사항 중 각 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 PDF

추론적 읽기전략 프로그램이 전문계 고등학생의 텍스트 이해와 국어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on Text Comprehension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김선경;윤소정;김정섭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on text comprehension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 developed the program of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applied it to an educational spot, and examined the effects of it on text comprehension ability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learners. ANCOVA was used for data analysis with SPSS ver.12.0 statistic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text comprehension ability from controlled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ability from controlled group. The study shows that the inferential reading strategy program had effect on the text comprehension and Korean language academic achieve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performance goal priority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all and Medium Business(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 이병욱;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61-78
    • /
    • 2018
  •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계 고등학생을 위한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및 e-Learning 콘텐츠 개발 연구 -대인관계능력을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Job Basic Skill Program and e-Learning Content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변숙영;이수경;이용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2-61
    • /
    • 2009
  • 본 연구는 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교수 학습능력 신장에 기초가 되는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및 콘텐츠 개발에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관련문헌 분석, 전문가 협의회 등을 통해 직업기초능력 영역 중 e-Learning 콘텐츠로 개발하였을 때 효과적일 것으로 관련전문가들이 합의한 대인관계 능력을 개발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접촉하는 사람들과 원만하게 지낼수 있는 능력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개요, 협동능력, 리더십능력, 갈등관리,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사례를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동영상과 시뮬레이션, 게임 등의 멀티미디어적 전략을 활용하여 e-Learning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정신장애인 정신재활시설의 직업재활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직업재활실무자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 최희철;배은미;신숙경;박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79-490
    • /
    • 2020
  •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해 정신재활시설의 직업재활 실무자들은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신재활시설에서 제공하는 직업재활서비스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고, 직업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재활시설에서 직업재활서비스의 정체성을 찾도록 매뉴얼과 지침의 정비가 요구되었으며, 직업재활서비스에 참여하는 근로자에게 맞는 세부적인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 장애인과 동등하고,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직업재활서비스의 운영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서비스의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직업교육훈련 선도국의 Post COVID-19 대응방안 연구 (A Case Study of Developed Countries'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Practices against COVID-19)

  • 엄기용;김치풍;양기훈;표아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9-118
    • /
    • 2022
  • 본 연구는 대표 직업교육훈련 국가인 미국, 독일, 스위스, 호주, 영국, 싱가포르의 COVID-19 대응방안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직업교육훈련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직업교육훈련 선도국 조사로부터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에 대응하기 위해 대면 중심의 직업교육훈련을 온라인 교육으로 신속히 전환하였다. 둘째, 견습제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제도를 강화하였는데, 특히 영국과 호주 정부는 견습제도를 위한 특별 예산을 편성하였다. 셋째, COVID-19로 인해 블렌디드 러닝을 새로운 표준 교육모델로 자리 잡으면서 직업교육훈련의 디지털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직업교육훈련 선도국들은 온라인 교육 지원을 위한 에듀테크 산업의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한국 직업교육훈련의 변화 방향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고령자의 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직업훈련 참여 강화 방안 (Approaches to Enhance Older Adults' Employability through Vocational Training)

  • 문한나;홍성표;강선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3-214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고령자의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고령자의 고용가능성 제고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의 학력과 경제활동 상태가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며, 경제활동과 직업훈련은 고령자의 역량 개발과 고용가능성 증진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 중 상당 수가 근로를 계속 희망하며 이들의 경우, 직업훈련에 더 많이 참여하는데, 이는 고령자의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고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정책적으로 중요함을 시사한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성별, 학력, 경제활동 여부, 근로 희망, 연금 수령액이 직업훈련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를 통해 정부 지원 정책이나 저학력 고령자를 위한 구체적 대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금 수령액이 낮을수록 직업훈련 참여를 촉진하는 접근이 요구된다는 점도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고등학교 가정계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관한 의식 조사 (Investigation on Consciousness of Career Choice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tudents at Senior High School)

  • 장명희;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7-77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effective career guidance and operational plan. We collected data from questionaries to 305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 and 135 students on vocational course for the recognition of and request for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X(sup)2, and SPSS/PC(sup)+ program a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1. The main considerations of students in their decision of course were the accessibility of getting a job, or a higher education aptitude, interest, and so on. They made their own decision in choosing their course, relatively we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s. As for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hey hoped to come by a job related to their major in order to have3 an opportunity for further education, and teachers stood up for the large extent to which their students are satisfied with vocational training by answering that there would be higher possibility of using their major. 2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into the desirable home economics vocational training in future showed that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desired for the scient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tudents on vocational curse requested that the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supported. And new curricula were those for gerontology. interior design, and cookery and bake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