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cational education

검색결과 1,051건 처리시간 0.027초

여성 직업 교육프로그램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Women'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고은주;김혜연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4호
    • /
    • pp.279-298
    • /
    • 2010
  • Although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the utilization of educated women's labor is still low. Therefor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women are both important and necessary. This study examines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women offered by the three largest vocational training centers in Jeju: the Wo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the Jeju Women's Development Center, and the Seogwipo City Women's Cultural Center.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s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identifies the related variables that cause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The sample includes 397 respondents who were surveyed from June 23 to September 12, 2008. Moreover, the data are analyzed by conducting a one-way ANOVA,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DMR)test.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Jeju consist of lectures that cover various subjects. The programs mainly focus on work that offers relatively low wages and requires few skills,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s is short. Second, the original goal of the programs does not meet the needs of women who are seeking employment. The participants respond that they want more appropriate programs that are designed by considering their need for employment, support them in finding a job, and re-educate them. Third, most of the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their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ors is especially high. The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are caused by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ocation of the student's residence, home ownership, and the level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separate vocational/employment training from general education for women. Moreover,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women should be mor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each group.

  • PDF

윤리적 의사결정 영향요인이 소방공무원의 직업윤리의식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thical decision making factors on vocation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of firefighters)

  • 최보람;김진현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72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ethical decision making factors on vocation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of firefight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appropriate vocational ethic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firefighters in D metropolitan area from May 7 to 15, 2017. A total of 410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program. Results: Among influential factors of ethical decision making, "ethical environment of organization"(${\beta}=.266$), "coworkers' influence" (${\beta}=.216$), and "managers' ethical competence" (${\beta}=.148$), 'compensation and punishment'(${\beta}=.097$) had a positive effect on vocational ethics, while "coworkers' influence" (${\beta}=.281$), "ethical environment of organization" (${\beta}=.274$), and "managers' ethical competence" (${\beta}=.143$)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Vocational ethic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B=.657, t=8.802, p=.000).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vocational ethics for improvement of firefighters' job satisfaction, and appropriate ethic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t is important to actively manage the factors affecting ethical decision making.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 반영 실태 및 요구 분석 연구 (A study on invention.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tent reflection status and needs analysis in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 이병욱;이찬주;이상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존 발명 지식재산 관련 교과서를 대상으로 '발명 지식재산 핵심 학습 요소'의 반영 비율에 대한 편성 실태를 분석하고, 앞으로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요구되는 적정한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별 편성 비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현재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명 지식재산 교과서의 교육내용에 '어떤 종류의 발명 지식재산 핵심 학습 요소가, 얼마나 있는지와, 향후 어떤 학습 요소를 얼마나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의 반영 실태를 분석하고, 델파이 조사로 앞으로 요구되는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별 반영 비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존 발명특허 인정도서에 포함된 발명 지식재산 핵심 학습 요소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핵심 학습 요소가 교과서에 분포하고 있었으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D(문제 해결과 활동)영역이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발명특허 인정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의 영역별 반영 비율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가 창출영역에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부 교과서에서는 보호영역과 활용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활용영역에 대한 반영 비율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성취유형별로는 모든 교과서에서 지식영역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발명특허기초, 발명과 문제해결, 발명과 디자인 교과서에서만 기능영역을 일부 다루고 있었으며, 태도영역은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없거나 미흡하게 다루고 있었다. 셋째,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 요구 되는 발명 지식재산 교육 핵심 학습 요소 영역 중에서 D(문제 해결과 활동) 17.7%, E(발명 융합 지식) 2.9%, K(특허출원) 6.9%, L(특허정보 조사) 9.6%를 줄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 지식재산 교육내용 중에서 발명 소양영역 3.1%, 지식재산 창출영역 4.5%, 지식재산 보호영역 10.6%를 줄여야 하고, 지식재산 활용영역은 17.7%를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유형의 적정 반영 비율은 지식영역은 52%를 줄여야 하고, 기능영역 32.3%, 태도영역 19.6%를 늘려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연구 (A Study on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안재영;이찬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01-127
    • /
    • 2018
  •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데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명하고 이 역량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은 4개의 대영역, 11개의 중영역, 35개의 요소로 구명되었다. 요구 및 환경 분석(대영역 1)은 2개의 중영역인 요구 분석, 학습 환경 분석으로, 교육과정 편성(대영역 2)은 4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 유형 설정,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으로, 교육과정 운영(대영역 3)은 3개의 중영역인 교수 학습 준비, 교수 학습 실행, 교수 학습 평가로,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대영역 4)은 2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교수 학습 실행(19.6%), 교수 학습 평가(14.2%), 교육과정 평가(12.5%), 교육과정 피드백(11.2%), 교수 학습 준비(9.2%),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8.6%),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7.5%),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유형 설정(6.6%), 학습 환경 분석(5.4%), 요구 분석(3.9%),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1.5%) 순으로 나타났다.

남·북한 통일대비 사회통합을 위한 직업교육의 역할 탐구 -통일 독일의 사회적 통합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Role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Social Integration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Korea Peninsula)

  • 이성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382-397
    • /
    • 2016
  • 본 연구는 독일이 통일 후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여러 가지 방안 중에서 동독지역의 경제적 안정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노동력 재생산을 어떻게 만들었는지, 그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이 점진적으로 안정된 평화통일을 하든, 갑작스러운 북한의 붕괴로 인한 흡수든, 어떠한 통일 상황에서도 남 북 전체의 경제적 안정을 통한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민족의 화합과 동질성 회복, 정체성 확립을 위해 무엇보다도 새로운 교육체제통합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특별히 북한 주민과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북한지역 노동시장과 경제생활의 안정화를 위해 직업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통일 후 동 서독의 사회통합과정에서 나타난 경험, 즉 사회적 안정과 경제생활을 위한 직업교육 정책의 추진과정에 대한 선험적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동독과 서독지역의 직업교육의 차이와 통합 추진 체계 과정 분석은 물론, 통합을 위한 직업교육 정책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동 서독 각자 직업교육의 특별한 여러 차이점 속에서도 이원화제도라는 유사한 하나의 체제를 공통점으로 찾아 협력하면서 노동시장의 통합과 경제적 안정화를 위한 새로운 직업교육정책을 이끌었다. 그러나 경제사회적 통합을 위한 서독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동독지역이 이를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으로 나타나 정책실폐의 결과를 보기도 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남 북 통일을 대비한 차원에서 진정한 내적통합을 이루기 위해 북한 주민들의 자립, 자활을 촉진시키고, 노동시장의 안정화와 경제생활을 이끌어갈 수 있는 직업교육의 효과적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치위생학과 학생의 직업인성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Compet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영선;정영란;이정화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5-112
    • /
    • 2022
  • Background: A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the occupational personality competency status of students enrolled in the three-year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to understand the contents of vocational personality education to be prepared according to these results. Methods: For 240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Area, Daegu, the College Student Occupational Personality Scale (OPSU) was administered. Results: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F=10.589, p<0.000) and the higher the major performance (F=3.704, p<0.01), the higher the vocational personality competency. The average occupational personality competency for job adaptation was 3.96±0.47 points (out of 5 points). As for the average for each sub-area, consideration was the highest at 4.51±0.42, and confidence was the lowest at 3.54±0.84. Among professional personality competencies, the average of each sub-area showe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order of positivity (r=0.835, p<0.00), reliability (r=0.769, p<0.00), and community consciousness (r=0.767, p<0.00), and consideration (r=0.696, p<0.00)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Conclusions: Personalized career and employmen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 occupational personality level of dental hygiene stud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and medical fields, and individual counseling should be provided in areas that are insufficient or supplemented. In addition, dental hygiene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personality competencies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and universities should spare no support for completing vocational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by using comparative programs.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 만족도 조사와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Fraud Prevention Education about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정선정;이은혜;이문수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25-53
    • /
    • 2018
  • 이 연구는 직업훈련 부정 예방교육(이하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집합교육과 이러닝으로 실시하는 예방교육에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를 대상으로(5,939명)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4,263명). 최종적으로 회수된 유효 응답자료(4,237명)를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훈련기관 관계자가 인식한 교육서비스 품질(4.42)과 만족도(4.44), 이해도(4.44) 및 도움도(4.45)는 모두 매우 높고, 교육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도 4점 이상으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방법별 교육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이해도 및 도움도는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으로 참여한 훈련기관 관계자의 인식도가 모든 변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예방교육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모두는 집합교육과 이러닝에서 각각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교육서비스 품질 하위요인 중에서 만족도, 이해도,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집합교육에서는 교육내용이, 이러닝에서는 자료구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방교육에서 추가적으로 희망하는 교육내용은 부정훈련 사례(70.7%), 처분규정(47.9%), NCS과정 운영 유의사항(32.8%), 훈련운영 우수사례(32.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추가 요구사항에서도 심화과정 개설, 훈련생 대상 부정 예방교육 콘텐츠 제공, 이러닝에서 집중할 수 있는 화면전환 및 시스템 안정성 등이 추가적으로 제기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집합교육에 비해 이러닝의 만족도 등이 더 높게 나타난 것을 반영하여, 예방교육 이러닝을 보다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방교육 만족도와 이해도 및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주고, 희망사항 및 기타의견에서도 교육내용에 대한 보완이 제시되고 있어, 예방교육 내용을 다양화 하여 보다 풍부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집합교육에서 교육내용 다음으로 만족도 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달방법과 교육장소로 나타난 바, 전달력이 뛰어난 강사 배정과 편의성 등을 고려한 교육장소 마련이 필요가 있다. 넷째, 이러닝에서 자료구성 다음으로 이해도와 도움도에 공통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영자지원으로 나타난 바, 보다 활발한 운영자 지원활동이 요구된다. 다섯째, 직업훈련에 참여하는 훈련생을 대상으로 한 부정훈련 예방활동도 요구되며, 여섯째, 예방교육의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교육 요구도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s-CONVEX FUNCTIONS IN THE THIRD SENSE

  • Kemali, Serap;Sezer, Sevda;Tinaztepe, Gultekin;Adilov, Gabil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9권3호
    • /
    • pp.593-602
    • /
    • 2021
  •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s-convex function in the third sense is given. Then fundamental characterizations and some basic algebraic properties of s-convex function in the third sense are presented. Also, the relations between the third sense s-convex func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alues of s are examined.

카메룬의 직업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국립직업훈련교육원의 시범연수 성과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Review of the NIVTPD for Vocational Training Teachers Training System in Cameroon)

  • 조현찬;황석;최성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1-258
    • /
    • 2019
  • 카메룬 유일의 직업훈련교사 자격 훈련기관인 '카메룬 국립직업훈련교육원(NIVTPD)'의 설립을 위해 본 연구진은 NIVTPD의 마스터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과과정 개발법, 교재 개발 방법 및 개발, 강의전략 수립법 및 강의지도서 작성, 강의계획 및 계획서 작성, 강의안 작성법 등의 역량 강화 훈련을 하였다. 또한 시범연수를 통해 실 강의까지 해봄으로써 실제 NIVTPD의 운영에 대비하였다. 이 논문은 NIVTPD에서의 훈련을 통해 얻은 내용이 강의실 수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두 가지 다른 설문 조사(기초선 및 종료 선 조사)와 두 가지 다른 시험(진입 레벨 테스트(Pretest) 및 성취 수준 시험(Posttest))를 실시한 결과와 그에 따른 분석 결과를 포함한다. 설문 조사 결과는 직업훈련 인터페이스의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커리큘럼을 통합, 수정 및 개선하여 NIVTPD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시험 결과는 직업훈련교사의 교육학적 지식 수준을 파악하고 향후 자격을 수여하기 위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직업능력개발훈련과정의 시간당 수강료 영향 요인 분석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on Hourly Course Fee i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ourse)

  • 최영섭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39-249
    • /
    • 2019
  • 현재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 지원은 NCS 직종 분류에 따라 설정된 NCS 기준 단가에 따라 집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준단가 제도는 훈련분담금-지원금 제도가 운영되는 경우 그에 필요한 행정 부담을 경감시켜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NCS 기준단가가 훈련과정별 수강료를 기준으로 함에 따라 직업훈련 정책의 사회통합적 기능을 왜곡시킬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앞으로 합리적 개선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로서, 훈련기관에서 책정하는 훈련과정별 수강료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제로 훈련기관의 독점적 성격이나 훈련참여자의 높은 지불의사가 수강료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정부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재정지원에서 이러한 영향을 제거하고 실제 훈련공급비용에 가까운 지원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훈련정책이 사회적 통합성 제고에 기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근본적으로 모든 훈련과정의 정확한 훈련공급비용을 보전해 줄 수 없다면 정부의 정책적 판단을 중심으로 하는 지원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