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men's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여성 직업 교육프로그램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 Ko, Eun-Joo (Dept. of Home Management Graduate School, Jeju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Yeon (Dept. of Faculty of Human Ecology & Welfare, Jeju National University)
  • 고은주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김혜연 (제주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부)
  • Received : 2010.07.01
  • Accepted : 2010.11.24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Although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the utilization of educated women's labor is still low. Therefor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women are both important and necessary. This study examines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women offered by the three largest vocational training centers in Jeju: the Wo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 the Jeju Women's Development Center, and the Seogwipo City Women's Cultural Center.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s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and identifies the related variables that cause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The sample includes 397 respondents who were surveyed from June 23 to September 12, 2008. Moreover, the data are analyzed by conducting a one-way ANOVA,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DMR)test.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in Jeju consist of lectures that cover various subjects. The programs mainly focus on work that offers relatively low wages and requires few skills, and the duration of the programs is short. Second, the original goal of the programs does not meet the needs of women who are seeking employment. The participants respond that they want more appropriate programs that are designed by considering their need for employment, support them in finding a job, and re-educate them. Third, most of the participants are satisfied with their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ors is especially high. The differences in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are caused by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ocation of the student's residence, home ownership, and the level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separate vocational/employment training from general education for women. Moreover,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for women should be more specializ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each group.

Keywords

References

  1. 김선미(2001). 여성실업자의 직업교육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혜연(1995). 제주도 주부의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 15, 141-166.
  3. 김혜연. 김순미(1998). 성인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및 노동이동 의사의 상호관련성. 대한가정학회지 36(1), 65-79.
  4. 김혜영(2005). 양재 직업교육 성과에 관한 연구-인천광역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남영란(2001). 여성 사회교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성정 김남희, 이소연, 김미경(2005). 중장년층 여성인적자원개발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7. 백영의(2007). 직업교육에 참여한 준고령 여성들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영주(2007). 여성 직업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심인선(2007). 경상남도 여성 직업훈련 내실화 방안. 경남: 경남발전연구원.
  10. 어수봉 외(2000). 일하는 여성의 집 사업체계 및 운영개선방안 연구. 서울: 노동부.
  11. 유길상(2001). 21세기 여성직업훈련의 방향. YWCA 여성인력개발센터 개관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서울 : YWCA.
  12. 유혜경(2008).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나사렛대 재활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경원(2006). 여성인력개발센터의 취업 프로그램 현황과 발전방안.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민석(1992). 여성 직업기술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서영(2008).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교육의 개선방향.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이슈 6월호 1(1), 35-47.
  16. 정미희(2004). 기혼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채창균, 고혜원(2001). 여성회관 및 여성인력개발센터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여성부.
  18. 최봉희(2002). 여성 실업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서울시 여성의 집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홍정욱(2007). 지방자치단체 여성직업교육기관의 활성화 방안: 도봉구립 여성센터를 중심으로. 광운대 정보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황수경(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 지원 연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1. 통계청(2009). 경제활동인구조사보고서. 서울 : 통계청.
  22. 제주여성인력개발센터 http://www. jejuwoman.kr.
  23. UNESCO. ILO(2004).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Belg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