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tamin D$_2$

Search Result 7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ffect of Dietary Fat-soluble Vitamins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 Lohakare, J.D.;Lee, S.H.;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563-567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 of various vitamins on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in growing pigs. In experiment 1, a total of 54 pigs ($L{\times}Y{\times}D$, $42.73{\pm}2.40kg$) were assigned to three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6 pigs/pen) for 40 days. The three dietary treatments were: 100% fat-soluble vitamins (FSV) and water-soluble vitamins (WSV); 150% FSV and 100% WSV of NRC (1998); and 100% FSV and 150% WSV of NRC (1998). In experiment 2, a total of 180 pigs ($L{\times}Y{\times}D$, $28.20{\pm}3.05 kg$) were assigned to four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for four weeks (15 pigs/pen). The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150% vitamin A and 100% other vitamins, 150% vitamin D and 100% other vitamins, 150% vitamin E and 100% other vitamins, and 150% vitamin K and 100% other vitamins. In experiment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among the treatments. The ADG, ADFI and FCR of pigs fed 150% FSV diet were better (p<0.05)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ADG, ADFI and FCR between pigs fed the control and 150% WSV diets.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gross energy and calcium were improved in 150% FSV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p<0.05). However, the improvement was similar when compared with 150% WSV except for Ca. In experiment 2,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ADG, ADFI and FCR and nutrient digestibility between the fat-soluble vitamin treatments when fed at the 150% level. In conclusion, growing pigs were more responsive to additional fat-soluble vitamin supplements over the requirements suggested by NRC (1998) than to water-soluble vitamin supplements as measured by growth performance and digestibility of nutrients.

한국형 총식이조사 및 UV/태양광 조사 버섯에서의 비타민 D 분석 (Vitamin D analysis in the Korean total diet study and UV/sun light irradiated mushrooms)

  • 서민정;노인화;이지연;권성옥;김초일;이계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9-121
    • /
    • 2023
  • 본 연구에서 식품 중 비타민 D 주요 급원으로 선정한 버섯류(3종), 어패류(10종), 알류(1종), 육류(7종), 두류(1종), 유류(4종), 가공식품(3종), 유지류(1종)로, 총 30종에 대표 조리법을 포함한 148건에 대해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우리 국민 평균 총식이섭취량의 90% 이상을 포괄하는 대상 식품을 선별 후 식생활에서 활용되는 조리법 선정을 통해 조제된 실제 섭취 상황에 가까운 한국형 총식이조사를 기반한 '대표 식품×대표 조리법'으로서 새송이버섯(굽기), 가다랭이(그대로) 등 53종으로 6개의 지역별 시료를 불검출의 경우 1건만 분석하였고, 검출된 경우 6건 전부 분석하여 총 148건에 대해 비타민 D 함량 및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분석은 유효성검증 및 국제 분석 관리프로그램인 FAPAS를 참여하여 숙련도 테스트 결과, Z-score 2 이하의 만족하는 결과를 얻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대표 식품×대표 조리법'의 비타민 D 결과는 어류에서는 멸치(볶기)에서 124.0 ㎍/kg의 농도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고, 두 번째로 고등어(굽기)에서 120.2 ㎍/kg의 농도로 검출이 되었다. 달걀의 경우 달걀(끓이기)은 검출되지 않았고, 달걀(부치기)에서 최고 33.1 ㎍/kg의 농도로 검출이 되었다. 육류에서는 닭고기와 쇠고기는 전부 검출되지 않았고, 돼지고기의 경우 굽기에서 12.2 ㎍/kg으로 검출되었다. 유제품의 경우 요구르트(액상)에서 136.9 ㎍/kg, 가공식품 중 시리얼의 경우, 155.1 ㎍/kg의 농도로 비타민 D가 검출이 되었는데, 이는 비타민 D 강화 제품으로 보인다. 생표고버섯을 햇빛에 12시간 노출 시에 비타민 D 함량이 303.4 ㎍/kg으로 높았으며, 건조형태에 따라 갓이 위로 향할 때보다, 주름부분을 위로 향하였을 때 비타민 D2의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D 함량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섭취량을 추정한 결과, 우리 국민의 1인 1일 평균 비타민 D 섭취량은 0.99 ㎍/day이었으며, 비타민 D 섭취량에 기여한 중요 3가지 식품은 요구르트, 액상(31.3%), 달걀(28.1%), 시리얼(11.4%) 순이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영양학회에서 제공하는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2020년) 중 비타민 D의 1일 충분 섭취량(영양소의 필요량을 추정하기 위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할 경우, 대상 인구집단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충분한 양을 설정한 수치)은 영유아 5 ㎍/day, 남녀 6세부터 75세 이상 5-15 ㎍/day로 본 연구에서 추정한 1인 1일 평균섭취량과 비교하였을 때, 우리 국민의 비타민 D 섭취가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타민 D 부족을 개선하기 위해 생활양식이나 식습관을 통해 비타민 D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식품을 섭취하고, 부족한 부분은 보충제를 통한 비타민 D 섭취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버섯의 경우 햇빛 또는 자외선에 노출시키면 비타민 D 섭취량을 높일 수 있다. 식습관을 통해 비타민 D 부족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비타민 D와 우울증 (Vitamin D and Depression)

  • 조수경;구슬;박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467-14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와 정신질환, 특히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 추이를 보이고 있는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비타민 D의 종류, 급원 식품, 비타민 D 영양상태 현황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타민 D와 우울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요약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타민 D는 자연계에 주로 비타민 $D_2$(ergocalciferol)와 $D_3$(cholecalciferol)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주로 대구간유, 고등어, 정어리와 같은 지방이 많은 생선, 난황, 표고버섯 등이 주요 급원 식품이다. 둘째, 국내 외 다양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을 고찰한 결과 비타민 D 결핍은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혈청 25(OH)D 20 ng/mL 미만인 남녀는 각각 89%, 99%로 매우 낮은 비타민 D 수준을 보였다. 셋째, 체내 비타민 D의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는 인종, 거주 지역, 위도, 의복차림, 계절적 차이, 직업, 자외선 노출 정도, 보충제 복용 여부 등이 보고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연령의 증가(한국인 및 일본인의 경우 반대 방향),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 어두운 피부색, 흡수 불량 및 비만은 비타민 D의 합성, 흡수 및 이용률에 영향을 주어 비타민 D 부족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넷째, 최근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국외 역학연구들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횡단 연구와 코호트 연구 결과는 불일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비타민 D 보충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임상시험연구도 일부 진행되었으나 이 또한 불일치한 결과를 보였지만 보충제로 얻는 비타민 D는 식이로부터 얻는 비타민 D와 다르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횡단 연구 및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한 연구 결과 우울증에 대한 비타민 D의 이로운 효과에 대하여 비교적 일치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국외에서 진행된 연구이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분석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 성인에서 흡연 및 음주와 비타민 D 수준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 이윤경;박종;류소연;최성우;신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31-2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흡연, 음주와 비타민 D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만 19세 이상 성인 대상 15,568명 중 만 19세 미만인 자, 비타민 D 측정누락자, 비타민 D 급원식품 섭취빈도 누락자를 제외한 3,565명을 이용하였다. 대상자는 비흡연음주군(비흡연과 비음주), 흡연군, 음주군, 흡연음주군(흡연과 음주)의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혈중 비타민 D 평균 농도는 $16.5{\pm}0.20ng/mL$, 비타민 D 수준이 불충분이거나 결핍인 경우가 73.5%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흡연과 음주에 따른 비타민 D 불충분 위험요인으로는 비흡연음주군에 비해 오즈비가 흡연군 2.281(95% CI 1.080-4.817)배, 흡연음주군 1.356(95% CI 1.010-1.922)배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 흡연, 음주와 비타민 D 수준은 한국성인에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추적 조사를 통한 코호트 연구를 시행할 수 있다면 흡연 및 음주와 비타민 D 수준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정확한 결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oe vera가 콜레스테롤 및 비타민 $D_2$ 식이로 유발한 흰쥐의 동맥경화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oe vera on the Cholesterol and Vitamin $D_2$-induced Atherosclerosis in Rats)

  • 이용욱;노우섭;김종규;김판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3-259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duction of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rats and inhibitory effects of aloe vera on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in rats. Adose range finding study of cholesterol and vitamin D2 for the induction of atherosclerosis and studies on the subchronic effect of aloe vera and on the chronic effect of aloe vera were carried out. A total of 3-week old 125 male rats of Sprague-Dawley were divided into 25 groups and fed with the diet containing cholesterol (0.1, 0.2, 0.3, 0.5, 1.0 and 2.0%) and vitamin D2 (500, 5000, 50000 and 500, 000 IU/100 g) for 4 weeks. 35 male rats were divided into 7 groups and fed with the diet containing aloe vera with 1.0% of cholesterol and 50, 000 IU/100 g of vitamin D2 for 4 weeks. 200 male rats were divided into 5 groups and fed with cholesterol and vitamin D2 for 6 and 12 months. Growth, clinical and pathological changes of rats in the three experiments were obser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dose-range finding study, feed intake, feed efficiency ratio and weight to body weight were increased in all of the feed groups containing 500, 000 IU/100 g of vitamin D2. Serum biochemical values of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iprotein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calcium, inorganic phosphorous and chloride of male rats in treated groups. The aorta and coronary artery of rats in all of the diet group containing 500, 000 IU/100 g of vitamin D2 showed typical atherosclerotic lesions. 2. Male rats fed with the diet containing aloe vera with 1.0% cholesterol and 50, 000 IU/100 g of vitamin D2 for 6 and 12 month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f diet intake and weight gain, and relative organ weight.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recovered to the normal range by the aloe vera ingestation. 3. The aorta showed irregular appearence in the tunica intima with swelling, necrosis and calcification. The aorta of rat fed aloe vera diet showed no pathological lesions such as atherosclerosis of aorta. Aloe vera could have a helpful effect of vitamin D2 and cholesterol induced atherosclerosis in rats. Long-term supplementation of aloe vera may slow down the process of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rats ha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 PDF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Suspect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an Adolescent Population

  • Cho, Young Hoon;Kim, Ju Whi;Shim, Jung Ok;Yang, Hye Ran;Chang, Ju Young;Moon, Jin Soo;Ko, Jae S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3호
    • /
    • pp.233-241
    • /
    • 2019
  • Purpose: Vitamin D deficiency is a condition widespread throughout the world. Recent studies have suggested that vitamin D deficiency was associated with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deficiency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adolescents. Method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2014. A total of 3,878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Vitamin D deficiency was defined as a 25-hydroxyvitamin D concentration <20 ng/mL and suspected NAFLD was defined as an alanine transaminase concentration >30 U/L. Results: Vitamin D deficiency was noted in 78.9% of the studied population. Ag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glucos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dolescents with suspected NAFLD than in adolescents without suspected NAFLD, while the mean vitamin D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adolescents with suspected NAFLD. The multivariate-adjusted odds of suspected NAFLD were higher with increased age, male gender,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dividuals with vitamin D deficiency were at higher risk of suspected NAFLD (odds ratio, 1.77; 95% confidence interval, 1.07-2.95)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 Vitamin D deficiency was associated with suspected NAFLD, independent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adolescents.

비타민 D의 자가면역, 알레르기, 감염질환에서의 역할 (Vitamin D in autoimmune, allergic, and infectious diseases)

  • 심채현;최제민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5권3호
    • /
    • pp.276-283
    • /
    • 2022
  • 비타민D3는 칼슘 대사를 조절하며 뼈의 건강을 담당하는 중요한 호르몬이지만 다양한 면역세포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질환, 감염 등 여러 질병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비타민D3의 활성 형태인 1,25(OH)2D3는 면역세포에 의해 전환될 수 있으며 핵-호르몬 수용체인 VDR과 결합하여 세포 내 다양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세포의 형질과 기능을 바꿀 수 있다. 특히,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과도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Treg 세포의 분화를 증가시키고 그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전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감소시키며, 외부 병원균을 제거할 수 있는 AMP의 생산을 유도함으로써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감염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최근 COVID-19 에 의한 글로벌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중증 질환 및 사망에 이르는 환자들과 비타민D의 상관관계 연구, 다양한 나라들에서 시행된 비타민D 치료의 임상결과들을 통해, 비타민D 보충 기반의 면역조절의 전략이 유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세계 현대인들의 비타민D 결핍은 최근 50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자외선 노출로 합성할 수 있는 비타민D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을 식품 또는 보충제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여러 자가면역질환과 알레르기, 감염성 질병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사무직 근로자의 혈청 Vitamin D 수준과 생활습관위험인자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Lifestyle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 진영윤;강현식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5호
    • /
    • pp.727-737
    • /
    • 2015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비타민 D 상태와 생활습관위험인자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S시의 30세 이상 사무직 근로자 515명(남 336명, 여 179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준, 비만지표, 체력, 대사성위험인자 및 혈중 지질 그리고 좌식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위험인자를 측정하였다. 혈청 비타민 D 수준을 기준으로 결핍(<20 ng/mL), 부족(20-29 ng/mL), 충분(≥30 ng/mL)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간 생활습관위험인자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비타민 D 수준이 높아질수록 체지방율(p=.030)과 좌식습관(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선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골격근량(p=.037), 심폐체력(p<.001) 그리고 HDL-C(p=.013)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선 경향성이 나타났다. 또한 심폐체력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비타민 D 부족 또는 결핍에 노출될 상대적 위험도가 남녀 각각 2.144배(95%CI .469-1.808, p=.042), 1.971배(95%CI .305-1.974, p=.045)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좌식시간이 가장 많은 집단이 가장 적은 집단보다 비타민 D 부족 또는 결핍에 노출될 상대적 위험도는 여성 사무직 근로자 집단에서만 1.262배(95%CI 0.074-1.527 p=.043)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사무직 근로자의 낮은 비타민 D 수준은 낮은 심폐체력 및 장시간의 좌식습관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충분한 비타민 D 공급을 위해 건강한 생활습관 변화와 근무 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정상 성인의 혈청 Vitamin D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tamin D Status and Factors Affecting It in Young Adults)

  • 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7호
    • /
    • pp.747-757
    • /
    • 1996
  • In this study, the serum level of 25-hydroxyvitamin D(25-(OH)D) was measured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HPLC), and factors affecting it were investigated in 72 young adults age ranging from 21 years to 39 years with normal bone density. The mean level of serum 25-(OH)D was 20.0$\pm$6.8ng/ml in males and 26.1$\pm$12.3ng/ml in female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s (p<0.01). The serum level of parathyroid hormone(PTH)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25-(OH)D(p<0.05). Time spent outdoors in a day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serum level of 25-(OH)D(p<0.01). During the day, a specific time between 12:00 a.m. and 2:00 p.m. showed the mos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25-(OH)D(p<0.005). Among the nutrients studied, fat and vitamin D intak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rum 25-(OH)D level.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rum level of 25-(OH)D could be fit by vitamin D intake(34.7% explained), serum PTH level (27.3% explained) and the time spent outdoors during the specific time(28.4% explained).1996)

  • PDF

The Effect of Vit-D Supplementation on the Side Effect of BioNTech, Pfizer Vaccination and Immunoglobulin G Response Against SARS-CoV-2 in the Individuals Tested Positive for COVID-19: A Randomized Control Trial

  • Hawal Lateef Fateh;Goran Kareem;Shahab Rezaeian;Jalal Moludi;Negin Kamari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269-282
    • /
    • 2023
  • Vitamin D participates in the biological function of the innate and adaptive immune system and inflammation. We aim to specify the effectiveness of the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the side effects BioNTech, Pfizer vaccination, and immunoglobulin G response against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in subjects tested positive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 this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498 people tested positive for COVID-19 were divided into 2 groups, receiving vitamin D capsules or a placebo (1 capsule daily, each containing 600 IU of vitamin D) over 14-16 weeks. Anthropometric indices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second dose of vaccination. Fourteen to 16 weeks after supplementation, the intervention group had an immunoglobulin G (IgG) increase of 10.89 ± 1.2 g/L, while the control group had 8.89 ± 1.3 g/L,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between both groups (p = 0.001). After the second dose of vaccination, the supplement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25-hydroxy vitamin D from initially 28.73 ± 15.6 ng/mL and increased to 46.48 ± 27.2 ng/mL,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significant. Those with a higher body mass index (BMI) had the most of symptoms, and the difference of side effects according to BMI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8 weeks after supplementation obese participants had the lowest IgG levels than overweight or normal subjects. The proportion of all types of side effects on the second dose was significantly diminished compared with the first dose in the intervention group. Supplementation of 600 IU of vitamin D3 can reduce post-vaccination side effects and increase IgG levels in participants who received BioNTech, Pfizer vac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