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Lifestyle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사무직 근로자의 혈청 Vitamin D 수준과 생활습관위험인자와의 연관성

  • Received : 2015.06.30
  • Accepted : 2015.09.30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status and lifestyle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A total of 515 office workers(336 men and 179 women) aged 30 years or older were voluntarily recruited from S-city. Along with serum vitamin D levels, lifestyle risk factors including obesity index, physical fitness, metabolic risk factors, lipids profile and sedentary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standardized protocols. Subjects were classified as deficiency (<20ng/mL), insufficiency (20-29ng/mL), and sufficiency (≥30ng/mL) based on serum vitamin D levels. Linear contrast analysis using one-way ANOVA showed significant linear decreases in mean body fat (p=.030) and sedentary behavior (p<.001) and significant linear increases in skeletal muscle (p=.037), cardiorespiratory fitness (p<.001) and HDL-C (p=.013) across incremental serum vitamin D levels. Compared with the low cardiorespiratory fitness group, the high cardiorespiratory fitness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 (men OR=2.144, p=.042, women OR=1.971, p=.045) for having vitamin D insufficiency or deficiency even adjustment after age. Compared to the shortest sitting time group, the longest sitting tim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odds-ratio in a group of female office workers (OR=1.262, p=.043) for having vitamin D insufficiency or deficiency even adjustment after age.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poor physical fitness and sedentary behavior were the risk factors of low serum vitamin D levels, implying the urgent need for a healthy lifestyle modification along with vitamin D supplementation.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비타민 D 상태와 생활습관위험인자간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S시의 30세 이상 사무직 근로자 515명(남 336명, 여 179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준, 비만지표, 체력, 대사성위험인자 및 혈중 지질 그리고 좌식습관을 포함한 생활습관위험인자를 측정하였다. 혈청 비타민 D 수준을 기준으로 결핍(<20 ng/mL), 부족(20-29 ng/mL), 충분(≥30 ng/mL)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간 생활습관위험인자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비타민 D 수준이 높아질수록 체지방율(p=.030)과 좌식습관(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선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골격근량(p=.037), 심폐체력(p<.001) 그리고 HDL-C(p=.013)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선 경향성이 나타났다. 또한 심폐체력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비타민 D 부족 또는 결핍에 노출될 상대적 위험도가 남녀 각각 2.144배(95%CI .469-1.808, p=.042), 1.971배(95%CI .305-1.974, p=.045)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좌식시간이 가장 많은 집단이 가장 적은 집단보다 비타민 D 부족 또는 결핍에 노출될 상대적 위험도는 여성 사무직 근로자 집단에서만 1.262배(95%CI 0.074-1.527 p=.043)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사무직 근로자의 낮은 비타민 D 수준은 낮은 심폐체력 및 장시간의 좌식습관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충분한 비타민 D 공급을 위해 건강한 생활습관 변화와 근무 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