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s' attentio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4초

박물관 해설 시스템의 사용체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Experience of Museum Interpretation System)

  • 자오즈한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5권
    • /
    • pp.530-538
    • /
    • 2018
  • 최근 박물관은 나날이 관람객과 사회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 국내외에서 진행된 박물관 해설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박물관 해설 시스템의 계획 설계는 주로 전문가의 시각을 기반으로 진행된 것으로, 대부분 관람객의 욕구를 크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람객의 박물관 해설 시스템 사용체험에 주목하였다. 관람객이 느끼는 박물관의 해설 시스템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박물관의 해설 시스템이 관람객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지 살펴보고 시스템에 존재하는 문제와 부족한 점을 파악하였다. 그 후 문제점을 정리 귀납하여 최종적으로 박물관의 해설 시스템의 주요요소를 제시하여, 박물관 해설 시스템의 개선과 교육 기능의 발현을 위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박물관에 존재하는 4가지 주요 해설방식을 확정하였다. 그 후 4가지 유형의 해설방식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존하는 문제와 부족한 점을 수집 하였다. 이어 유형분석의 방법을 통해 수집한 결과를 14개 문제의 유형으로 묶고, 설문조사를 통해 14개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해설시스템에 사용자의 불편한 점 과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박물관 해설 시스템에 필요한 다섯 가지의 주요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가운데 흡입성은 박물관 해설 시스템에서 가장 취 약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향후 각각의 요소들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어질 것이다. 박물관 해설 시스템 최적화 및 해설 체험 개선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때 참고자료가 되길 바란다.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의 플로우(Flow) 경험이 관여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flow experience of online Taekwondo demonstration on participation and re-visibility : For adult women)

  • 서은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15-424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으로 인한 플로우(Flow) 경험이 관여도 및 재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의 활성화 및 관람객 증진, 성인 태권도 수련생 증진을 위한 실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국기원 태권도 시범단이 공연한 '하이킥'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을 관람한 관람객 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결과와 논의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관람객들의 태권도 경험 유무로 인한 플로우, 관여도, 재관람의도의 차이는 플로우 하위요인 중 즐거움 요인을 제외한 주변의식, 시간왜곡, 관여도. 재관람의도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의 플로우(Flow) 요인 중 주의집중, 즐거움, 시간왜곡 요인은 관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의 플로우(Flow) 요인은 재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의 관여도는 재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병원 로비공간에서 선호 색채가 시지각 주의집중에 미친 영향 (The effect of preference color of children's hospital lobby on the visual attention)

  • 조은길;손광호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3권
    • /
    • pp.347-358
    • /
    • 2016
  •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어린이병원은 색채에 대한 디자인 의존도가 높으며, 성인과 어린이가 함께 이용하는 공간으로써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색채계획이 요구된다. 이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호도 조사를 통한 연구가 실시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심미적 측면에서 이용자에게 만족감은 제공할 수 있지만, 선호된 색채로 구성된 공간이 이용자들의 인지적 측면에서 주목성을 높여준다는 근거 자료를 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공간에서의 색채 지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시선추적실험을 통해 어린이병원 로비공간에서 선호 색채가 시지각 주의집중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각각 선호하는 이미지 1장씩을 실험이미지로 선정하였다. 둘째, 피험자 그룹을 성인과 어린이로 구성하고 선정된 2가지 이미지에 대한 시선추적 실험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을 통해 얻은 주시데이터를 토대로 구역별 주시분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인과 어린이는 각 그룹별로 선호하는 색채로 구성된 공간이미지에 시지각 주의집중이 높았다. 둘째, 주의집중의 정도에 따라 중앙에서 상부로, 이어서 좌·우측과 하부로 변화하며 외곽부에는 주의집중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어린이는 성인에 비하여 공간을 탐색할 때 주의집중도가 빨리 하락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과 어린이의 색채 환경에 대한 지각 특성의 차이를 시선추적실험으로 분석하여, 색채디자인 분야와 인지과학 분야와의 융복합적 연구를 통해보다 과학과 예술의 다학제적 연구활동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는 색채에 대한 시지각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색채가 적용된 공간요소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온라인 사이트 상품 배치에 따른 시각정보처리가 소비자 주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of Online Product Display on Consumers' Attention)

  • 이주현;이동일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6권2호
    • /
    • pp.17-30
    • /
    • 2015
  • Companies display the product information to the consumers in their online presences. As importance of online marketing activities are growing, most of the franchisers also uses the product images on their online sites to provide the vivid visual information of their merchandises. But the previous researches do not provide the rigorous understanding on the nature of how the consumers process the visual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et up the research proposition on the orders and directions of the online visitors' attentions. The visit data from experimental online shop for 81 days was analysed with repeated measure ANOVA. We found that the nature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online environ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ordinary text process. At the end of this study,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경관의 치유적 특질이 관광지 방문 선호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주 유산경관에 대한 미국인의 평가를 중심으로 - (Inflnuence of the Restorative Quality of Landscape on the Visit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for Tourist Destination - An Evaluation of Heritage Landscape of Kyongju by Americans -)

  • 이영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13
    • /
    • 2006
  •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 developed by Kaplan and Kaplan proposes that effortful directed attention required in normal life can be fatigued. Restoration can occur in a setting that has restorative qualities. The restorative quality described by the ART involves four concepts: being away, fascination extent, and compat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restorative quality of landscape influenced th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to an heritage landscape. Four kinds of heritage landscapes of Kyongju were used as environmental surrogates and 150 americans participated in the study. Hartig et al.'s Revised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RPRS) was used as the psychological measure for the restorative quality, along with other measurement constructs such as cultural uniqueness and novelty. The results showed that RPRS was a reliable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the restorative quality of artificial landscapes. Factor analysis identified three valid factors: escape-fascination compatibility, anti-extent. Among the three factors, only two, escape-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were found to have important effects on visiting preference and satisfaction.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escape-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torative quality has a high possibility to be used as a frame of reference for assessing various types of landscapes, from natural to artificial. It was also proposed that restorative quality could better explain the experience of the landscape strongly related to specific purpose or motivation.

주사경로 추적을 통한 성별 주시정보 획득특성 - 카페 공간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Features to Acquire Observation Information by Sex through Scanning Path Tracing - With the Object of Space in Cafe -)

  • 최계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76-85
    • /
    • 2014
  • When conscious and unconscious exploring information of space-visitors which is contained in the information acquired in the process of seeing any space is analyzed, it can be found what those visitors pick up as factors in the space for its selection as visual information in order to put it into action. This study, with the object of the space reproduced in three dimensions from the cafe which was visited for conversation, has analyzed the process of acquiring space-information by sex to find out the features of scanning path, findings of which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rate of scanning type of males was "Combination (50.5%)- Circulation (31.0%) and that of females "Horizontal (32.5%) - Combination (32.1%)", which shows that there was a big difference by sex in the scanning path which took place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ny space. Second, when the features of continuous observation frequency by sex is looked into, the trends of increased "horizontal" scanning and decreased "Combination" scanning of both showed the same as the frequency of continuous observations increased, while in case of "Circulation" scanning, that of females was found to decrease but that of males showed the aspect of confusion. Third, the 'Combination' scanning of males was found strong at the short observation time with three times of continuous observation frequency defined as "Attention Concentration" while the distinct feature was seen that the scanning type was dispersed to "combination-circulation" as the frequency of continuous observation increased. Females start the information acquirement with "combination-circulation" but in the process of visual appreciation they showed a strong "Horizontal" These scanning features can be defined as those by sex for acquiring space information and therefore are very significant because they are fundamental studies which will enable any customized space-design by sex.

스파시설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Spa Facility)

  • 이승헌;임미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3-21
    • /
    • 2007
  • Wellbeing is a new trend to modern people and Spa facilities are an appropriate space to them seeking a wellbeing life. Spa facilities will be increased in demand as a value of a public welfare and wellbeing life and the study of them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was to analysed domestic and foreign spa programs and characteristic spaces. When synthesizing many spa program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hydrotherapy as a healing therapy using water, touch therapy as a type of massage using a manual and subsidiary equipment and mind therapy to heal spirit. Space of spa facil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supporting part, the relaxing and mediating parts and the room for therapy. The supporting parts included a front desk, a consulting room, lockers, bath room and acceptance rooms etc and they were arranged in entrance space generally. The rooms for therapy were composed with a room for hydrotherapy using water, rooms for touch therapy and rooms for mind therapy refreshing a spirit and they were established contiguously being used efficiently. The mediating parts provided spaces for relaxation and waiting place between therapies and they were established in independent space generally but they are paid attention at good spaces forming the community of visitors and giving a characteristic images for the spa. Spa has been divided into several types in accordance with age of visitors for example children, young people, middle aged people and aged people. It has equipped with complex functions from welfare to medical.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many studies of each facilities become accomplished to propose suitable interior design.

근로자 정기건강검진을 기초로 한 영양 및 건강관리 전산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ized Nutritional and Health Guide Program Based on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t Work Sites)

  • 조여원;노성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66-276
    • /
    • 2002
  • In this study, a computerized nutritional and health guide program for workers was developed. The dietitian at the work site could utilize periodically conducted medical examination data to develop an effective health care counseling model based on the developed Nutritional and Health Guide Program. A personal computer (Pentium II PC MMX-150, 32MB RAM, 2.95 GB HDD) with Microsoft Visual Basic 6.0 Enterprise Edition and Microsoft Access 97 installed, was used. The Nutritional and Health Guide Program consisted of seven main menus and 43 sub-menus. Included in the main menu were Basic Information, Periodic Health Check-ups, Visitors' Consultations, Nutritional/Health Tips, Nutritional Education according to Diseases, Help and Exit. In the Periodic Health Check-up menu, dieticians could input the health examination data of employees and touch for the recommended treatments for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high cholesterol, hypertension and hepatitis. The Visitors'Consultation menu has been designed to compile health information about the employees who sought consultations. The Nutritional/Health Tips menu was designed to provide 14 kinds of programmed nutritional educational media and information. In the Nutritional Education According to Diseases menu, the dietitian could judge the subject's willingness to obtain treatment based on the Stage of Change Model. According, the content of the administered respective nutritional education was classified by stages. The Help menu, provide a chart of the method and procedure used as nutritional guidelines, by which the results of the health examination were classified as people in good health and those requiring special medical attentio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is program showed highly positive rates for usefulness (4.09), convenience (4.04), lettering size (4.02), interest (3.93), design (3.49). It also showed that 97.5% of the subjects thought that this program would be helpful for implementation of their company's nutritional educational program. Therefore, this menu could help dietitians plan, conduct, and evaluate their nutritional guidelines for employees. It is expected that The Nutritional and Health Guid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play a role as a scientific and effective guide in conjunction with health examination results.

수장고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al Condition and Improvement Plans of a Fire Protection System Installed at Museum Storage)

  • 박종아;주승호;강은수;이대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60-66
    • /
    • 2018
  • 근래 박물관에 대한 변화 중 주목할 부분으로 학예사 및 관리자 등 전문가의 고유영역이었던 수장고가 점차 관람객에게 공개되는 형태로 바뀌고 있어 관람객의 부주의 등에 따른 화재 위험도는 증가할 것이며, 그에 따른 소방시설 또한 변화하는 수장고에 적응할 수 있는 알맞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국내 40개소 공립박물관의 답사를 통해 수장고에 적용된 소방시설의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수장고에 적응성이 떨어지는 소방시설 혹은 관리가 미흡하거나 우수한 소방시설의 사례들을 도출하여 그에 따른 소방시설의 설치방향을 제시하였고, 수장고에 개선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몰입경험구조 결정 요인연구: 한류 브랜드 몰입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Flow Experience Structures of Korean Wave Tourists: Focused on Effect Model of Flow)

  • 이태희;유재경
    • 국제지역연구
    • /
    • 제13권3호
    • /
    • pp.461-480
    • /
    • 2009
  • 본 연구는 한류로 인해 한국의 문화와 엔터테인먼트에 대해 고도의 관여도를 보이는 한류관광객을 대상으로 몰입(flow)의 결정요인과 몰입(flow)정도, 각 몰입(flow)요인간의 경로 등을 규명하여 한류의 성장과 지속의 전략과 이론적 근거를 도출해내고자 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첫째, 관광활동의 새로운 패턴으로 부각되는 방문 혹은 잠재적 한류관광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 후에 한류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류브랜드에 대한 몰입(flow)경험의 결정요인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몰입 결정요인들이 몰입(flow)을 경험하기 위한 단계별 과정에서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 밝혀내고 그 관계를 검증한다. 셋째, 한류를 통한 한국 방문동기나 관여정도가 한류에 의해 유발된 관광활동이나 몰입경험과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구조적으로 살펴본다. 넷째, 제시된 몰입경험구조 모형의 실증적 영향력 검증을 통하여 한류 브랜드의 몰입경험구조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모델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검토한다. 다섯째, 한류 시장의 몰입단계별 관광 마케팅 차원의 객관적 자료를 도출하여, 한류 브랜드의 성장에 필요한 한류에 대한 몰입효과 유지 및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