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ed area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26초

일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 강경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an effor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20 elderly people aged over 60 from a stratified probability method from one rural area in South Jeolla province from Aug. 15 to Sep. 15, 2002. For data collection, pre-educated researchers visited the participants' homes and surveyed them face-to-fac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AS program along with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ost socially supportive people they answered were Spouses (57.28%), followed by children, friends/neighbors, in descending order. In terms of satisfaction about social support, the subjects felt the most satisfaction from spouses, followed by friends/neighbors, children, in descending order. 2. The participants'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26.0 and the highest score was 108.0 out of 125. Also, the average score and average grade point was 81.7 and 3.35,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he average grade points per items within sub-areas of social support revealed financial aid(3.56), informative support(3.34), emotional support (3.27), and evaluation support(3.22). 3.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how much they earned (F=18.56, p= .00001) and whether they had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F=2.68, p= .0512), quality of lif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how much they earned (F=35.34, p= 0.00001). 4. The quality of life they perceived was the lowest score 47.0, the highest score 196.0, average score 145.7, and average grade points 3.28. A comparison of the average grade points per items within sub-areas of quality of life revealed neighbor relationships(3.97), self-esteem(3.49), family relationships(3.35), economic conditions 3.12), physical health (2.98), and psychological health(2.74).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he subject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696, p< .001). The finding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for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was a greatly effective factor on their quality, of life. Also, it was shown that the larger the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the greater the quality of life for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ster geriatric nurse specialists and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connected with health care and social wellbeing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models for community and its applications, which will playa leading role for elderly people.

  • PDF

연변지역 임부의 건강행위 이행실태 및 영향요인 (Status and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behavior in pregnant women in Yanbian area)

  • 장해련;이춘옥;김현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63-786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를 대상으로 건강행위의 이행수준과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중국 연변지역에 소재한 모자보건병원 외래를 방문한 1011명의 임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연구대상자들의 산전우울,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및 대상자 특성을 수집하였으며 SPSS1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및 이분형 로지스틱회귀분석 등 통계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부의 건강행위 이행수준은 $28.93{\pm}6.59$(0~45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산전우울(OR=0.94[0.90-0.98]), 사회적 지지(OR=1.07[1.05-1.09]) 및 자기효능감(OR=1.36[1.04-1.79])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임부는 중간정도로 건강행위를 이행하고 있어 이상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임부의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고 산전우울,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중재방안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치과기공사의 체형에 적합한 작업대의 분석 (A analysis of Proper Workbench for Body Type of Dental Technician)

  • 한민수;최에스더;오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28-335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체형에 적합한 인간공학적인 작업 자세를 위한 작업대의 높이를 연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과 충청도에 소재한 대학의 치기공과 3학년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학생의 신장과 몸무게 및 신체치수를 측정하였고 임상실습 시 가장 힘들었던 작업 자세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실제작업환경과 비교 분석을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종합병원 치과기공실 2곳과 치과기공소 15곳을 직접 방문하여 의자를 포함한 책상 및 작업대 높이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통계학적으로 분석 하였다. 특히 가장 많은 불편을 초래하는 원인 인자에 대해 세부적인 분석을 하였으며 이러한 분석 자료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실습 시 가장 불편을 느끼는 작업대는 샌드작업대의 높이로 조사되었고 3학년 학생들의 성별과 불편한 작업대의 선택 항목간과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샌드작업대가 불편했던 원인은 권장수치보다 낮은 샌드작업대의 높이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3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샌드작업대의 최적의 높이는 권장치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샌드작업대의 최적의 높이는 치기공과 3학년 학생의 키에 따라 다소 편차가 있었으며 개수대의 높이는 권장안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권장안은 기본적으로 모든 작업자의 상이한 신장에 균일하게 적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페키니즈견의 아교모세포종 증례 (Glioblastoma in a Pekingese)

  • 조현기;유대영;강주연;이권영;황인구;최정훈;정진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44-547
    • /
    • 2015
  • 11살 수컷 페키니즈가 10일간의 발작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15일전 파행으로 지역병원에서 소염제를 처방 받았었고 10일 전 간헐적 전신발작을 시작으로 내원 2일 전에는 실조와 정신둔감이 함께 발생하였다. 혈액검사와 영상학적 검사상 특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신경계 검사상 위협반사와 동공 빛 반사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원 9시간 후 호흡곤란이 발생하였고 그 후 12시간 후 보호자의 요청으로 안락사를 실시하였다. 부검상 가로 단면에서 확장된 종양으로 인해 현저한 중심선 이동을 관찰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신경아교세포의 거짓 울타리화된 괴사와 미세혈관의 증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염색 결과 종양 부위에서 GFAP, PCNA, Iba-a 에 염색된 세포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아교모세포종으로 진단되었다. 원발성 두강내 종양은 수의학에서 흔하지 않다. 이번 증례는 페키니즈견에서 아교모세포종의 임상적, 조직학적 발견에 대한 보고이다.

구강내과 내원환자에 관한 역학조사 -충남지역에 대한- (Epidemiologic Study on the Patients Visited to Dept of Oral Medicine -In the Area of Choongnam-)

  • 이동주;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101-111
    • /
    • 2006
  • 측두하악관절장애에 관한 역학연구는 주로 1970년대 초 스칸디나비아국가에서 국민을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법에 의한 악관절 및 저작계기능에 관한 역학조사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70년대 이후 측두하악관절장애의 유병률에 대해 많은 역학연구가 보고되었다. 하지만 성, 병력, 주소, 진단에 따른 각각의 증상과 징후들을 평가한 연구는 외국에 비해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측두하악관절장애에 대한 증상과 진단에 관한 총괄적 연구조사는 오래전에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서 측두하악관절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성, 병력, 주소, 진단에 따른 증상들을 총괄적으로 조사하여 향후 점증하는 측두하악관절장애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우선 연령의 경우 전체 내원 환자 6500명의 평균나이는 34.06세로 남자는 33.15세, 여자는 34.62세였으며 진단그룹별로 연령차이가 있었다. 의뢰 환자는 대체로 치과의사가 의뢰한 환자가 많았으며(80.07%), 의뢰한 환자 진단군은 관절성장애, 근육성장애, 연조직질환 순이었다. 전체 내원 환자 중 63%가 안면통증으로 내원하였으며, 발생부위에 대한 비교에서 좌우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또한 통증 발생은 6개월 미만에서는 주로 남성이, 6개월 이상인 경우는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관절잡음의 경우 병력 환자는 3445명(53.15%)였으며, 발병시기에는 성차가 없었다. 관절잡음의 발생부위는 좌우 양측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주로 clicking sound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갈이는 주로 남자에서, 이악물기는 여자에서 나타났었다.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발생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 (Toxic Optic Neuropathy Caused by Chlorfenapyr Poisoning)

  • 박수진;정재욱;강용구;전보영;손병재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59권11호
    • /
    • pp.1097-1102
    • /
    • 2018
  • 목적: 클로르페나피르 음독 후 중추신경계 손상을 동반한 독성 시신경병증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4세 여자가 7일 전부터의 양안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내원 2주 전 자살 목적으로 클로르페나피르 한 모금을 음독했고, 직후 근처 병원에서 위세척을 시행하였다. 초기 최대교정시력은 우안 안전수지 30 cm, 좌안 안전수동이었다. 양안 동공은 5.0 mm로 커져 있었고, 빛에 대한 반응은 느렸으며 좌안에는 상대구심동공운동장애가 관찰되었다.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유두부종이 관찰되었고, 뇌자기공명영상에서 양안 시신경과 속섬유막, 뇌량, 중소뇌각, 뇌간 등 백질 신경로를 따라 양쪽에 대칭적인 고강도신호가 관찰되었다. 클로르페나피르 중독으로 인한 독성 시신경병증으로 진단 후, 고용량 스테로이드치료를 3일간 시행하였으나 양안 최대교정시력은 광각무로 악화되었다. 3개월 후, 안저검사에서 양안 시신경위축이 관찰되었고,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신경섬유층 및 신경절세포-내망상세포층 두께가 감소하였다. 결론: 매우 적은 양이라도 클로르페나피르에 노출되면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잠복기를 거쳐 심각한 시신경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겠다.

The Usefulness of a Wearable Device in Daily Physical Activity Monitoring for the Hospitalized Patients Undergoing Lumbar Surgery

  • Kim, Dong Hwan;Nam, Kyoung Hyup;Choi, Byung Kwan;Han, In Ho;Jeon, Tae Jin;Park, Se 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2권5호
    • /
    • pp.561-566
    • /
    • 2019
  • Objective : Functional outcomes have traditionally been evaluated and compared using subjective surveys, such as visual analog scores (VA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Short Form-36 (SF-36), to assess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However, these surveys are limited by their subjective natures and inherent bias caused by differences in patient perceptions of symptoms. The Fitbit $Charge^{(R)}$ (Fitbit Inc., San Francisco, CA, USA) provides accurate and objective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The use of this device in patients after laminectomy would provide objective physical measures that define ambulatory function, activity level, and degree of recover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number of steps taken by patients per day and VAS pain scores, prognoses,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Methods :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22 consecutive patients that underwent laminectomy for spinal stenosis or a herniated lumbar disc between June 2015 and April 2016 by the same surgeon. When patients were admitted for surgery and first visited after surgery,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scores were recorded using VAS scores, ODI scores, and SF-36. The VAS scores and physical activities were recorded daily from postoperative day (POD) 1 to POD 7.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VAS scores and daily phys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y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number of steps taken and ODI scores after surgery was subjected to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Wilcoxon's signed-rank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pre-to-postoperative differences in VAS, ODI, and SF-36 scores. Results : Pre-to-postoperative VAS (p<0.001), ODI (p<0.001), SF-36 mental composite scores (p=0.009), and SF-36 physical composite scores (p<0.001) sco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Numbers of steps taken from POD 1 to POD 7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aily VAS scores (r=-0.981, p<0.001). In addition, the mean number of steps from POD 3 to POD 7 and the decrease in ODI conducted one month after surge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29). Conclusion : Wearable devices are not only being used increasingly by consumers as lifestyle devices, but are also progressively being used in the medical area.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a wearable device for checking patient physical activity and predicting pain and prognosis after laminectomy. Based on our experience, the wearable device used to provide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has the potential to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on pain severity and prognosis.

자살시도자들에서 충동성과 자살시도의 의학적 치명도와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s among Suicide Attempters)

  • 박지원;서경훈;손경훈;한재현;전영주;정유진;이원준;성수정;한창환;조규종;황재연
    • 생물정신의학
    • /
    • 제25권4호
    • /
    • pp.118-124
    • /
    • 2018
  • Objectives Although impulsivity has long been thought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uicidal behaviors, it is unknown whether impulsivity increases the risk of dying from suicidal behaviors and what specific component among constructs of impulsivity contributes to the risk of dying among suicide attempters. Methods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medical lethality of suicide attempt among suicide attempters, we consecutively recruited 46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n emergency room of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Seoul, Republic of Korea, due to suicide attempts an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n we assessed medical lethality with the Beck Lethality Scale (LS) and impulsivity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Barratt Impulsiveness Scale-11-Revised (BIS). Demographic variables were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structured social work reports for suicide attempters. Results Although total scores of the BIS did not correlate with LS scores, only the scores of self-control, that is one of the Barrett's six theoretical constructs of impulsivity in which the higher score indicates less self-control and more impuls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cores of LS (p = 0.003). Th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variables known to affect suicide lethality such as job status, recent alcohol consumption, diagnosis of depressive disorders, and having a plan for suicide (${\beta}=0.429$, p = 0.009). Conclusions Not impulsivity in general, but poor self-control, in particular, predicts lethal suicidal behaviors among suicide attempters. The degree of self-control should be evaluated when assessing patients with elevated suicide risk, and proper measures should be installed to prevent possible future lethal suicide attempts.

  • PDF

몽골 남부지역의 야생조류 사고: 감전사를 중심으로 (Bird accidents in Southern Mongolia: a case study of bird electrocution)

  • ;빙기창;;;최원석;;백인환;;;백운기
    • 한국조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4-100
    • /
    • 2018
  • 몽골의 초원이나 사막과 같은 개방지역에 설치된 송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조류 감전사고는 매우 흔하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조류피해조사를 위해 2017년 몽골 남부지역의 준사막 지역에 설치된 15-kV의 송전선로에 4월, 7월, 9월 등 총 3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50개의 전신주 구간에서 총 12종 45개체의 감전사한 조류를 확인하였다(10㎞마다 1.12% 사망률). 주요 감전 피해 조류는 멸종위기종인 Falco cherrug (n=11)와 Milvus migrans (n=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지역과 같이 개방된 환경에서의 조류를 위한 잠자리 또는 휴식처의 부족은 보다 많은 조류의 감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몽골의 다른 개방지역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고현장에서 종동정이 어려운 개체의 경우, 시료의 유전자 증폭 등을 통해 DNA 분석을 실시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몽골의 개방지역에서 조류의 감전사고는 조류에게 발생하는 위험요소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맹금류에게 빈번하며, 간헐적으로 이동철새에게도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방된 지역일 경우 조류의 감전사고가 더 잘 발생할 수 있으며, 감전사고와 같은 조류의 위험요소를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은 멸종위기종과 같은 종보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요인분석 (Factors analysi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조은덕;김은솔;홍해경;한경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aged over 65 years, in terms of physical, mental and oral health status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i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From May 9 to June 23, 2017, we randomly visited aged-care community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recruited 222 elderly, aged 65 or older. First, each participant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4 general items: 1 systematic disease, and 3 subjective oral conditions. Afterwards,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participants to assess their mental status, using MMSE-DS and recorded the responses. Finally, an oral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The averag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factors and the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The mea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4.15. Participants with 20 or more remaining teeth demonstrated bett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an those with 19 or less teeth. Higher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as also found among elderly without gingival bleeding, self-reported halitosis and dry mouth. In addition,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gingival bleeding, self-reported halitosis and dry mouth, were noted. Finally,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maining teeth, gingival bleeding, self-reported halitosis and education were influent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necessity of better policy support, and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delivered, elderly-center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by professionals to prevent tooth loss and manage periodontal dise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