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program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41초

동영상 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Video Programs of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Education)

  • 변규리;박정은;홍해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9-27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video programs of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CPCR) education of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of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 nurses working in a university hospital. Nurse's CPCR performance have been measured four times (pre-test, post-test at immediately, 3 months and 6 months after 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August 2013.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between groups by measure time. And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i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between groups, within groups, except for the attitude. The video programs of CPCR interventions appear to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video programs of CPCR educatio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and retain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nd the video program of CPCR education have an advantage of self-learning effect for nurses with shift work. Therefore video programs of CPCR education will be utilized for continuing nurse's education.

입원 아동의 말초정맥주사 유지관리를 위한 보호자 대상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Effects of a Video Education Program for Caregivers on the Maintenance of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among Hospitalized Children)

  • 김민영;김태임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85-97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ideo education program (VEP) for the caregiv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on the maintenance of a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PIVC) among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VEP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educational need assessment of caregivers, and interviews with pediatric nurses, and validation of an expert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VEP was tested on 102 caregivers and their children in a children's hospital at D cit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which different types of intervention were given to caregivers in intervention group (n=51) and control group (n=51). All caregivers received brief verbal information about the PIVC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group was additionally provided with VEP using a smartphon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caregivers' knowledge score on PIVC maintenanc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s of flushing in case of blockage of PIVC and gauze dressing change of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EP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maintenance of PIVC among hospitalized children.

DTV 방송프로그램의 온라인 불법전송 차단을 위한 비디오 복사본 검출 알고리즘 (Video Copy Detection Algorithm Against Online Piracy of DTV Broadcast Program)

  • 김주섭;남제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662-676
    • /
    • 2008
  • 본 논문은 불법복제된 DTV 방송프로그램의 온라인 불법전송을 차단하기 위한 비디오 복사본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급격한 휘도 변화가 나타나는 방송영상의 비디오 프레임을 선별하여 키프레임(keyframe)을 구성한 후, 키프레임의 시 공간적 특징정보를 추출하여 사전에 등록된 방송영상 저작물들의 특징정보와 비교함으로써 해당 방송영상의 불법복제 여부를 판별하는 동영상 필터링(filtering)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모든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고 키프레임만을 추출함으로써 대용량 방송영상물의 저작권 침해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온라인 전송과정에서 빈번히 적용되는 영상비 변환, 로고 삽입, 자막 삽입, 화질 열화 및 해상도 감소 등의 다양한 동영상 편집효과에도 강인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알고리즘들과의 성능비교실험을 통하여 상대적 우수성을 평가하였다.

360˚ VR 실사 영상과 3D Computer Graphic 영상 합성 편집에 관한 연구 (Study on Compositing Editing of 360˚ VR Actual Video and 3D Computer Graphic Video)

  • 이랑구;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55-260
    • /
    • 2019
  • 연구는 $360^{\circ}$ 동영상과 3D 그래픽의 효율적인 합성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이안식 일체형 $360^{\circ}$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스티칭하고, 영상에서 카메라 및 사물의 위치값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위치값의 데이터를 3D 프로그램으로 불러와 3D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한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360^{\circ}$ 동영상과 3D 그래픽의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한 방법으로 렌더링 요소와 렌더링 기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렌더링 요소로는 3D 오브젝트의 위치와 재질, 조명과 그림자가 있었고, 둘째, 렌더링 기법으로는 실사 기반 렌더링 기법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과정 및 결과를 통해 $360^{\circ}$ 동영상과 3D 그래픽의 자연스러운 합성에 관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360^{\circ}$ 동영상 및 VR 영상 콘텐츠의 연구와 제작 분야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Repetitive Delivery Scheme for Left and Right Views in Service-Compatible 3D Video Service

  • Yun, Kugjin;Cheong, Won-Sik;Lee, Jinyoung;Kim, Kyuheon;Lee, Gwangsoon;Hur, Namho
    • ETRI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264-270
    • /
    • 2014
  •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repetitive delivery scheme for the left and right views in service-compatible (SC) 3D video that provides full backward compatibility to a legacy DTV system while retaining HD 3D visual quality without additional bandwidth or a codec over the legacy broadcasting channel. The proposed SC delivery scheme transmits individual view sequences of a 3D video in interlaced form, that is, a left-view sequence of a 3DTV program to be used repeatedly is transmitted first and stored locally, and the right-view sequence of the 3D program is then transmitted. This paper specifically describes the signaling, synchronization, and storage format methods used to validate the proposed SC delivery scheme.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 delivery scheme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an SC 3DTV service without degrading the DTV quality using only legacy DTV platforms.

프로그램 세그먼트 기란 개인형 방송 편성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ersonal TV Scheduler Using Program Segments)

  • 최재영;진성호;노용만;홍진우;이희경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64-67
    • /
    • 2007
  • 본 논문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및 TV-Anytime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TV 시청자에게 개인형 편성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사용자 맞춤형 방송 서비스는 TV 시청자가 시청하기 원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수준의 방송을 TV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선택하고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EPG메타데이터 및 세그먼트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TV시청자가 원하는 시간에 시청하기 원하는 프로그램 수준의 방송뿐만 아니라,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하기 원하는 일부 방송들을 편성하고, 편성된 세그먼트 방송을 TV시청자의 시간 스케줄에 따라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고 구현 하였다.

  • PDF

실내조경에 의한 스트레스 해소효과 (The effect of Recovery from Psychological Stress by Interior Landscape Spaces)

  • 이진희;이창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6-11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recovery from psychological stress when watching plants indoors. As an instrument of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stress, Galvanic Skin Resistance(GSR) has been used because it has been convenient to read a psychological sign without a medical sense and an instrument. In order to make the conditions of stress and recovery, video programs have been made, and especially, the video program of recovery has consisted of three types-- types 1 of watching plants in a botanical garden, type 2 of watching very bush street, and type 3 of closing eyes naturally. The two groups of normal and the mentally handicapped persons have been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to compare the effect of recovery. As the result of this test, the rate of stress relief has been maximumly effected by watching the video program of plant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covery of stress has had better effects on the mentally handicapped than the normal one. And also it shows that the circumstances of emotional refinement is led by having plants in indoor. The result of this test has been turned out to be highly useful. It is desirable that a indoor worker, staying for a long time, contact with plants visually to keep healthy mental condi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urrounding conditions or the settings of circumstances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emotional refinement of the groups of mentally han야capped persons as well as the normal person.

  • PDF

분노관리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동영상과 차모임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nger Management Program of the Psychotic Patient : Focus on Video and Tea Gathering)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53-364
    • /
    • 2019
  •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분노관리 동영상과 차 모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정신질환자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며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H정신병원 폐쇄병동에 입원한 환자32명이다. 측정변수는 공격성 척도로 프로그램의 효과는 동영상 프로그램이 끝난 후 1회와 8회의 분노관리 차모임 후 1회 총 2회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 편차, χ2 test, t-test, paired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노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공격성 정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F=14.38, p< .001). 공격성 하부항목인 적대감(F=8.53, p< .001), 분노감(F=6.10, p=.004), 언어적 공격성(F=7.58, p< .001), 신체적 공격성(F=13.92, p< .001) 모두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분노관리 프로그램은 입원한 정신질환자의 전체 공격성과 적대감, 분노감, 언어적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질환자나 다양한 그룹에서 분노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HTML5를 활용한 HTTP기반의 적응적 실시간 화상대화 시스템 (Real-Time Video Communication System Adaptive HTTP-Based Using HTML5)

  • 반태학;김용필;양승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0-622
    • /
    • 2013
  • 오늘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실시간 화상통신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화상통신 방식은 각각의 서비스 제공사의 특정 서버와 프로그램을 통해 화상통신을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화상통신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의 서버를 이용하거나, 사용자 집단에서 별도의 화상통신을 이용하는 서버를 별도로 구축하여 이용하거나,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자체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제한된 환경에서 화상통신을 이용하는 구조였다. 또한, 엑티브엑스(Active-X)나, 플러그인(Plug-in) 등을 별도로 설치해야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TTP를 활용한 웹상에서 HTML5와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별도의 엑티브엑스나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 웹 기반 실시간 화상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으로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서 화상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SVC를 이용한 하드웨어 설계 (Hardware Design Useing the SVC)

  • 이정식;길대남;정차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1029-1030
    • /
    • 2008
  • The Scalable Video Coding(SVC) extention of H.264/AVC standard. SVC based temporal, spatial, snd qualty scalability of video bit streams. In this paper, we will develop C-model program and hardware circuits for the chip design of the SVC decoder. In order to acquire the flexibility of the circuit design and reliability of the hardware system development. In these development, we utilize the results of the C-model program to achieve the independencies of each sub-blocks and check the efficiencies of the circuit design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