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games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8초

일반 비디오 게임 플레이 인공지능을 위한 GreedyUCB1기반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 (GreedyUCB1 based Monte-Carlo Tree Search for General Video Game Playing Artificial Intelligence)

  • 박현수;김현태;김경중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72-577
    • /
    • 2015
  • 보통의 인공지능 시스템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설계되며, 해당 작업만을 수행하는 능력을 가진다. 그에 반해 인공 일반지능이란 설계 당시 목표로 한 작업만이 아니라 새로 접하는 다양한 문제에도 대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의미한다. 최근 게임 인공지능 분야의 일반지능 문제인 General Video Game Play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디오 게임으로 범위가 제한되었지만, 다양한 형태의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는 단일 인공지능을 설계하는 것은 상당히 도전적인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Monte-Carlo Tree Search를 이용하는 기존 비디오 게임을 위한 인공 일반지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여기서는 UCB1 알고리즘을 문제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GreedyUCB1과 게임 분석을 통해 얻은 지식을 활용한 Rollout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으로 개발된 인공지능은 국제 학술대회인 IEEE Computational Intelligence in Games의 2014년 인공지능 경진 대회에 출전하여 4위의 성적을 보였다.

전자오락경험과 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시각정보처리능력 (Video Game Experience and Children's Abilities of Self-Control an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 이순형;이소은
    • 아동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2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ren's abilities of self-control and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their experience with video games. Participants, divided by prior exposure to video games, were 44 seven-year-old and 48 eleven-year-old boys. The impulsive tendency of children was measured through the MFFT and The delayed satisfaction test.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was assessed through perceptual speed, mental rotation, and spatial visualization task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more-and less-video-game-experienced boys.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were found in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ies. More experienced boys performed better in mental rotation and spatial visualization tasks than less experienced boys.

  • PDF

게임에서의 자연풍경의 그래픽 스타일 차이에 따른 감성 반응 분석 (Analysis of Emotional Responses to Different Graphical Styles of Natural Scenery in Video Games)

  • 홍한선;김성수;강민지;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79-985
    • /
    • 2023
  •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demand for home-enjoyable video games has surged, driven by extended pandemic conditions and resulting in rapid graphic technology advancements. Consequently, games with diverse expression techniques have emerged, captivating players.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s predominantly feature natural landscapes, with advancing graphic technology enabling lifelike scenes. The rise in individuals seeking solace through natural elements in games has followed suit. As VR technology and metaverse interest grow, more people are exposed to digital imagery. However, evidence on the influence of graphic expression methods on emotional response to that is lacking. Our study examined user emotional responses, focusing on natural landscapes in digital graphics of games. Analyzing a group of 47 young adults as frequent digital media consumers, we studied reactions to different image styles (Realism, Semi-Realism, Stylized). In the analysis, Realism-style images were perceived the most positively, while emotional responses to natural landscapes with different graphical expression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sults suggest that recognizing digital natural landscapes may outweigh expression style impacting the evaluation of digital nature. This study's empirical analysis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nature's application to actual situations.

Designing Health Games for Anti-Smoking Advertising Targeting College Students: The Impact of Message Types and Voice-Over

  • Yoo, Seung-Chul;Eastin, Matthew S.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17-24
    • /
    • 2017
  • Video games are an alternative channel for public health authorities constantly striving to reach target audiences and make positive chang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ddress effectiveness of health games as a health promotion technology for anti-smoking communication. This study tested the impact of advertising message types and voice-over relative to anti-smoking persuasion. By using commercial-level custom-made first person shooter (FPS) games, two experimental studies demonstrated usefulness of applying health games to change a player's attitude towards smoking. In particular, an interactive in-game message with a persuasive voice over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hange targets' attitude towards smoking. Findings of our research offer meaningful insight on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provide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anti-smoking communication using health games.

Efficacy of kaleidoscope, virtual reality, and video games to alleviate dental anxiety during local anesthesia in childre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Karthik Anchala;Voppathotty Tirumala;Kanamarlapudi Venkata Saikiran;Niharika Reddy Elicherla;Shaik Rahul;Sivakumar Nuvvul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195-204
    • /
    • 2024
  • Background: Distraction is a technique used to divert a patient's attention from unpleasant procedur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kaleidoscopy, virtual reality, and video games in reducing anxiety and pain during invasive dental procedures in children. Methods: Sixty-six children aged 6 to 9 ye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during local anesthesia administration: Group 1 (kaleidoscope), Group 2 (virtual reality), and Group 3 (mobile video games). The anxiety of the children was evaluated using physiological measures (heart rate) at three different time points: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cedure. The Raghavendra, Madhuri, and Sujata pictorial scale was used as a subjective measure before and after the procedure. Subjective measures of pain were assessed using the Wong-Baker Faces Pain Scale.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Results: In the intergroup comparis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ological measures of anxiety scores between the three groups before, during, and after distraction. Raghavendra, Madhuri, and Sujata pictorial scale score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distraction,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the children in Group 2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ain scores. Conclusion: Compared with kaleidoscopes and video games, virtual reality is a promising distraction technique for reducing dental fear, anxiety, and pain during local anesthesia administration in children.

예술적 창의성, 과학적 창의성, 일반적 창의성이 지각된 즐거움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롤플레잉 게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The Impacts of Artistic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General Creativity on Perceived Enjoyment and Intention to Reuse : Focused on Role-Playing Game Players)

  • 변현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9-67
    • /
    • 2011
  •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디오 게임 사용자들의 즐거움과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게임의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과 지각된 즐거움이라는 요소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실증분석을 통해 수행되어 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예술적 창의성, 과학적 창의성, 일반적 창의성이 지각된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즐거움은 게임의 재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였다. 특별히 창의성의 종류 중에서 예술적 창의성이 지각된 즐거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점을 발견하였다.

The Metaverse and Video Games: Merging Media to Improve Soft Skills Training

  • Shin, Edward;Kim, Jang Hyun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69-76
    • /
    • 2022
  • Education systems have made efforts to prepare students by providing technical and nontechnical courses. With video games, however, there is the potential to develop dedicated metaverses that can help teach soft skills even during casual pastimes. The research conducted will propose a set of design practices for metaverse and game development to promote soft skills. While there are many soft skills people can acquire, this paper will focus on certain aspects based on specific games and studies. There will be som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information to support the design model and arguments. This paper will provide developers with a starting point for imaginative game creation and impart users with soft skills to assist in their professions and social life.

포스 피드백이 비디오 게이머들의 게임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ce Feedback on Video Gamers' Performance)

  • 정우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1-9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포스 피드백이 비디오 게이머들의 게임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두 가지 게임 콘트롤러에 따라 비교하는 한편, 게이머들의 포스 피드백에 관한 인식과 실제 그들의 게임결과가 일치하는지를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42명의 게이머들이 자동차 경주 비디오 게임에 참여하였고 그들의 게임결과를 변수들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포스 피드백이 비디오 게임에 미치는 영향은 콘트롤러의 종류에 따라 다르고, 2) 게이머들의 포스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실제 그들의 게임결과는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 3) 흥미 요소가 게이머들의 게임결과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ploring Factors Affecting Active Video Gaming and General Physical Activity

  • Choi, Ji Hye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99-108
    • /
    • 2022
  • 신체 활동 증진을 위한 디지털 게임의 높은 활용에도 불구하고, 활동형 게임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이해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건강 행위의 생태학적 모형을 기반으로, 신체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으로 세분화하고, 신체 활동을 활동형 게임 이용과 일상적 신체 활동으로 구분하여 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상적 신체 활동은 세 요인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과는 달리 활동형 게임 이용에는 사회적 요인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활동형 게임 이용 확대에 사회적 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역사소재 기반 디지털게임의 발전과정 및 기획요소 연구 - 동.서양 5개국의 역사소재 게임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Digital Games Based on Historical Material and its Design Components - With History Based Games of 5 Countries)

  • 문만기;김태용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60-479
    • /
    • 2007
  • 문화가 산업의 영역으로 들어온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자국의 문화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교육적 또는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해 왔으며, 다양한 문화 및 역사가 이 분야의 주요 배경 및 소재로 인식되면서 역사학 등을 전공하는 많은 학자들의 역할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에서도 특히 게임분야는 관객이 직접 참여하여 스토리텔링을 완성해 간다는 인터페이스 특성상 문화전파와 학습효과가 매우 높은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의 단순한 놀이로 인식되고 있는 디지털게임에서 현재 세계 각국이 제작하여 전 세계에 전파하는 역사게임의 소재 및 세계관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1980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에서 서비스된 약 70여 편의 역사소재게임 중 대표적 제작 및 보급 국가인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독일, 총 5개국의 역사소재 게임 68편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각국이 제작한 게임의 배경시대 및 기획의도 등을 분석하고 역사원형이 게임 시나리오 및 세계관, 배경으로 등장하는 사례를 비교하여 각국이 선호하는 시대와 장르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우리의 발전적인 역사소재게임의 기회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게임에 적용된 세계관 및 등장인물 분석에서는 각국의 역사게임에 적용된 실존인물, 실제역사 및 역사소설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총68편 중 실존인물을 게임에 적용한 사례는 총 8편으로 전체의 11.8%에 해당하였다. 또한, 과거의 실제 역사 및 배경을 게임의 소재로 적용한 사례는 37편으로 전체의 54.4%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국이 선호하는 역사게임의 주 소재는 인물보다는 실제의 배경이 주무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은 고대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삼국시대, 미국은 1,2차 세계대전, 독립전쟁, 일본은 중세 일본 전국시대, 독일은 고대 유럽역사 등 각 국이 선호하는 역사적 배경은 그 나라가 역사적으로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역사적 시점이 역사게임의 주 배경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게임의 주 배경이 되는 시대로서는 고대가 37편으로 54.4%를 차지하여 각국에서 제일 선호되는 시대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은 근 현대가 18편으로 26.47%, 중세 7편 10.3%, 선사시대 5편 7.35%, 상고시대가 1편으로 1.47%로 나타나 고대 중세, 근 현대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