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able cells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4초

In Vitro Developmental Competence of Porcine SCNT Embryos is improved by m-Carboxycinnamic Acid Bishydroxamide,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 Park, Sang-Hoon;Lee, Mi-Ran;Kim, Tae-Suk;Baek, Sang-Ki;Jin, Sang-Jin;Kim, Jin-Wook;Jeon, Sang-Gon;Yoon, Ho-Baek;Lee, Joon-Hee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8권4호
    • /
    • pp.147-158
    • /
    • 2014
  • Differentiated nuclei can experimentally be returned to an undifferentiated embryonic status after nuclear transfer (NT) to unfertilized metaphase II (MII) oocytes. Nuclear reprogramming is triggered immediately after somatic cell nucleus transfer (SCNT) into recipient cytoplasm and this period is regarded as a key stage for optimizing reprogramming. In a recent study (Dai et al., 2010), use of m-carboxycinnamic acid bishydroxamide (CBHA) as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during the in vitro early culture of murine cloned embryos modifies the acetylation status of somatic nuclei and increases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of SCNT embryos. Thus, we examined the effects of CBHA treatment on the in vitro preimplantation development of porcine SCNT embryos and on the acetylated status of histone H3K9 on cloned embryos at the zygote stage. We performed the three groups SCNT: SCNT (NT), CBHA treatment at the porcine fetus fibroblast cells (PFFs) used as donor cells prior to SCNT (CBHA-C) and CBHA treatment at the porcine SCNT embryos during the in vitro early culture after oocyte activation (CBHA-Z). The PFFs were treated with a $15{\mu}M$ of CBHA (8 h) for the early culture and the porcine cloned embryos were treated with a $100{\mu}M$ concentration of CBHA during the in vitro early culture (10 h). Cleavage rates and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assess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e cleavage rate among the groups (82.6%, 76.4% and 82.2%, respectively). However, the development competence to the blastocyst sta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BHA-Z embryos (22.7%) as compared to SCNT and CBHA-C embryos (8.6% and 4.1%)(p<0.05). Total cell numbers and viable cell numbers at the blastocyst stage of porcine SCNT embryos were increased in CBHA-Z embryos as compared to those in CBHA-C embryos (p<0.05). Signal level of histone acetylation (H3K9ac) at the zygote stage of SCNT was increased in CBHA-Z embryos as compared to SCNT and CBHA-C embryo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treatment with CBHA during the in vitro early culture (10 h)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evelopmental competence and histone acetylation level at the zygote stage.

저온저장중 Allspice(Pimenta dioica L.)에 의한 Escherichia coli 0157:H7과 Staphylococcus aureus 196E의 생존억제 (Inhibition of Escherichia coli 0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196E by allspice (Pimenta dioica L.) during cold storage)

  • 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6-112
    • /
    • 1997
  • 향신료인 allspice(Pimenta dioica L.)를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2종류의 식중독세균(Escherichia coli 0157:H7과 Staphylococcus aureus 196E)의 증식과 저온저장중 생존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저농도(0~2%, w/v)의 allspice를 함유한 tryptic soy broth(TSB)에 E. coli와 S. aureus를 $10^{5}$~$10^{6}$ cells/$m\ell$가 되게 접종하여 35$^{\circ}C$에서의 증식과 냉장(5$^{\circ}C$)및 냉동(-2$0^{\circ}C$)저장중 생존억제효과를 생균수의 변화로서 조사하였다. 35$^{\circ}C$에서의 E. coli 증식은 1%이내의 향신료 농도에서는 증식이 저해되지 않았으나, 2%의 allspice 존재하에서는 긴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다. 35$^{\circ}C$에서의 S. aureus의 증식은 0.1%와 0.3%의 allspice 존재하에서는 긴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으나 0.5~2%에서는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어 사멸하였다. 5$^{\circ}C$에서 냉장한 경우에는 E. coli와 S aureus 모두 0.3%의 allspice에 의해 생존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0.5%이상의 농도에서는 저장말기에 사멸하였다. -2$0^{\circ}C$에 동결저장하였을 때 E. coli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첨가한 향신료의 농도가 높을수록 생존 억제효과가 증대되었다. 동결저장중 S. aureus의 생균수는 저장초기에 급격히 감소한 후 거의 일정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첨가한 향신료의 농도에 따른 생균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결저장에서 0.1%의 향신료를 첨가했을 때 E. coli와 S. aureus는 대조구의 생균수에 비해 1/100이하로 생균수가 감소하여 allspice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다.

  • PDF

Bacteriophage T7의 유전자 복제기작에 관한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성 연구 (Bi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Studies on the DNA Replication of Bacteriophage T7)

  • KIM Young Tae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9-21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복제기작을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bacteriphage T7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Bacteriophage T7의 유전자 복제, 재조합, 수선시 필수 단백질로 작용하는 gene 2.5 단백질의 생체내 기능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와 단백질을 분리 정제하여 복제 단백질들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gene 2.5 단백질은 DNA복제시 필수 구성단백질로 작용하며, 복제과정에서 유전자 복제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들인 DNA polymerase, helicase/primase와 직접 단백질-단백질 상호 협동 작용을 하는 r것을 증명하였다. 특히 gene 2.5 단백질의 C-terminal domain이 절편된 변이체의 경우 복제 단백질들과 상호작용이 결여되었다. 따라서 C-terminal domain이 gene 2.5 단백질의 기능에 필수적으로 관여함을 입증하였다.

  • PDF

Enterococcus faecium MJ5-14가 생산한 박테리오신의 항리스테리아 활성 (Antilisterial Activity of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MJ5-14)

  • 임성미;이종갑;박미연;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1-160
    • /
    • 2004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 식품인 메주로부터 항리스테리아 활성을 나타내는 유산균을 분리한 후 동정한 결과 E. faecium MJ5-14로 명명되었으며, 이들의 박테리오신은 MRS broth 중에 $37^{\circ}C$에서 12-18시간 배양하는 동안 최대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L. monocytogenes KCTC 3569와 KCTC 3710 및 L. ivanovii subsp. ivanovii에 대한 박테리오신의 활성은 640 BU/mL이었고, L. innocua ATCC 33090, L. ivanovii ATCC 19119, L. grayi KCTC 3581 및 L. seeliger KCTC 3591에 대한 활성은 1280 BU/mL으로 나타났다. L. monovytogenes KCTC 3569와 E. faecium MJ5-14을 혼합 배양한 경우 L. monocytogenes의 감소 효과는 $25^{\circ}C$이하 보다는 E. faecium MJ5-14의 박테리오신 생산 최적 온도인 $37^{\circ}C$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E. faecium MJ15-14의 박테리오신 항균 효과는 L. monocytogenes KCTC 3569의 초기 균수와 첨가한 박테리오신의 양에 따라 좌우하는 L. monocytogenes의 초기 균수가 적고, 박테리오신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항균효과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박테리오신 70 BU/mL 첨가에 의한 항균 효과는 균 증식이 활발한 대수증식기 중반 이후 보다는 유도기 내지는 대수증식기 초반부에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박테리오신 25 BU/mL을 첨가에 의해서 L. monocytogenes KCTC 3569 새포벽의 일부가 얇아지고, 50 BU/mL 이상의 농도에 의해선 세포막이 파괴되면서 세포 내용물의 유출 현상이 관찰되었다.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PCR for Dete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Starters During Wine Malolactic Fermentation

  • Cho, Gyu-Sung;KrauB, Sabrina;Huch, Melanie;Toit, Maret Du;Franz, Charles M.A.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2호
    • /
    • pp.1280-1286
    • /
    • 2011
  • A quantitative, real-time PCR method was developed to enumerate Lactobacillus plantarum IWBT B 188 during the malolactic fermentation (MLF) in Grauburgunder wine. The qRT-PCR was strain-specific, as it was based on primers targeting a plasmid DNA sequence, or it was L. plantarum-specific, as it targeted a chromosomally located plantaricin gene sequence. Two 50 l wine fermentations were prepared. One was inoculated with 15 g/hl Saccharomyces cerevisiae, followed by L. plantarum IWBT B 188 at $3.6{\times}10^6$ CFU/ml, whereas the other was not inoculated (control). Viable cell counts were performed for up to 25 days on MRS agar, and the same cells were enumerated by qRT-PCR with both the plasmid or chromosomally encoded gene primers. The L. plantarum strain survived under the harsh conditions in the wine fermentation at levels above $10^5$/ml for approx. 10 days, after which cell numbers decreased to levels of $10^3$ CFU/ml at day 25, and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after day 25. In the control, no lactic acid bacteria could be detected throughout the fermentation, with the exception of two sampling points where ca. $1{\times}10^2$ CFU/ml was detected. The minimum detection level for quantitative PCR in this study was $1{\times}10^2$ to $1{\times}10^3$ CFU/ml. The qRT-PCR results determined generally overestimated the plate count results by about 1 log unit, probably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f DNA from dead cells. Overall, qRT-PCR appeared to be well suited for specifically enumerating Lactobacillus plantarum starter cultures in the MLF in wine.

아미노산 혼합용액이 Lactobacillus casei YIT 9018의 동결건조 및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mino acid mixture on freeze-drying and preservation of Lactobacillns casei YIT 9018)

  • 윤성식;이해옥;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21-426
    • /
    • 1986
  • Lactobacillus casei YIT9018은 국내의 발효유제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효과적인 동결건조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glycine과 glutamic acid를 함유한 amino산 혼합액을 기본 현탁 배지로 사용하여 동결건조 및 rehydration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기존의 보호제들과 비교하였다. 아미노산 혼합액은 대조구에 비해서 현저한 동결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또 glycine과 DL-glutamic acid는 단독 사용시보다 혼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이었으며 이때의 최적농도는 0.1M이었다. L. casei YIT9018주는 MRS 배지상에서 접종후 18시간만에 정상기에 들어갔으며 24시간 후에는 최대생육을 나타냈다. 또 이 24시간 균체가 동결건조에 대하여 가장 저항성이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아미노산 혼합액에 sucrose, lactose등의 이당류 및 NF-MS를 첨가하면 8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으며, 최적농도는 당류의 경우 7.5-10%(w/v), NFMS의 경우는 10%정도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동결후의 생존율을 높이고 활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혼합액에 NFMS의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rehydration media에 따라서도 생존율이 변하였는데 아미노산 혼합액은 대조구에 비해 약 3배의 동결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 PDF

제주산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된 $\beta$-용혈성 연쇄구균 ($\beta$-Streptococcsus spp.)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eta$-Streptococcus spp. Isolated in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of Jeju Island)

  • 허문수;송춘복;이제희;여인규;전유진;이정재;정상철;이기완;노섬;최광식;이영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65-369
    • /
    • 2001
  • 2000년도 2회에 걸쳐 제주도 일원 넙치 양식장을 대상으로 감염어에서 분리된 연쇄구균에 대한 특성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감염어로부터 분리된 연쇄구균은 형태적으로 연쇄상의 gram 양성의 구균이었고, catalase와 oxidase에 음성이었으며, 용혈성 시험에서는 $\beta$-용혈성을 나타내었다. 감염어에서 각 장기별 생균수에서는 환부, 신장, 혈액 그리고 뇌순으로 연쇄구균이 검출되었다. 약제 감수성에서는 ampicillin, ciprofloxicin 둥에 감수성이 있었지만 erythromycin 등에는 감수성이 없었다. 복강에 주사하여 병원성 시험을 한 결과 10일 이내에 전량 폐사하는 강한 병원성을 보였다. 감염균의 용혈성에 대한 특성은 $50^{\circ}C$ 30분의 배양에서 용혈활성이 마르게 증가되어 최대값에 도달되었고 또한 $pH 5.5\~6.5$에서 높은 활성값을 보였다.

  • PDF

Reactivation of Silenced WT1 Transgene by Hypomethylating Agents - Implications for in vitro Modeling of Chemoimmunotherapy

  • Kwon, Yong-Rim;Son, Min-Jung;Kim, Hye-Jung;Kim, Yoo-Jin
    • IMMUNE NETWORK
    • /
    • 제12권2호
    • /
    • pp.58-65
    • /
    • 2012
  • Background: A cell line with transfected Wilms' tumor protein 1 (WT1) is has been used for the preclinical evaluation of novel treatment strategies of WT1 immunotherapy for leukemia due to the lack of appropriate murine leukemia cell line with endogenous WT1. However, silencing of the transgene occurs. Regarding the effects of hypomethylating agents (HMAs) on reactivation of silenced genes, HMAs are considered to be immune enhancers. Methods: We treated murine WT1- transfected C1498 (mWT1-C1498) with increasing doses of decitabine (DAC) and azacitidine (AZA) to analyze their effects on transgene reactivation. Results: DAC and AZA decreased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a dose- or time-dependent manner. Quantification of WT1 mRNA level was analyz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fter mWT1-C1498 treated with increasing dose of HMA. DAC treatment for 48 h induced 1.4-, 14.6-, and 15.5-fold increment of WT1 mRNA level, compared to untreated sample, at 0.1, 1, and $10{\mu}M$, respectively. Further increment of WT1 expression in the presence of 1 and $10{\mu}M$ DAC was evident at 72 h. AZA treatment also induced up-regulation of mRNA, but not to the same degree as with DAC treat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mental increases in WT1 mRNA by DAC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d concomitant down-regulation of WT1 promoter methylation was revealed. Conclusion: The in vitro data show that HMA can induce reactivation of WT1 transgene and that DAC is more effective, at least in mWT1-C1498 cells, which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of DAC and mWT1-C1498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experimental model of HMA-combined WT1 immunotherapy targeting leukemia.

홍국 풀을 이용한 김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Using Monascus purpureus Koji Paste)

  • 김현정;박정현;황보미향;이효주;이인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701-707
    • /
    • 2003
  • 홍국 김치는 절임 배추에 홍국 쌀풀(20%)을 각각 2.5, 5.0%씩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다음, 2$0^{\circ}C$에서 18일간 저장하며 홍국 김치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pH가 다소 높았고, 산도의 경우는 반대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산도가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그리고 L, b 값은 발효 기간 내내 대조구가 홍국 첨가군보다 큰 값을 보였으나, a 값은 0-3일 발효시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의 값이 조금 적었다가 6일 후부터는 더 증가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고, 특히 2.5%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숙성 3일째 5.0% 첨가군이 2.5% 첨가군 보다 환원당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그 이후부터 첨가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담금 초기 대조구에 비해 홍국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젖산균 및 효모수가 감소되었으나, 숙성이 진행되면서 각 군별 차이 없이 증가되었다. 총균수의 경우 숙성 3일째 대조구와 2.5% 첨가군에서 5.0% 첨가군보다 총균수가 증가되었다가, 숙성 6일째는 5.0% 첨가군이 대조구와 2.5% 첨가군 보다 더 크게 증가하였고 12일 후부터 각 군별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였다. 홍국 첨가 김치는 대조구에 비해 단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 등에서 더 우수하였고, 특히 홍국 김치의 제조시 색을 포함한 다른 항목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값의 2.5% 홍국 쌀풀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관능특성 및 송화추출물의 항산화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s With Pine polle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ine pollen Extracts)

  • 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17-724
    • /
    • 2005
  • 본 연구는 품질 특성과 기능성을 가진 우리밀 국수를 개발하기 위하여 송화 분말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기능성을 검토하고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품질특성을 검토하였다. 1.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1,000 ppm에서 물 추출물은 67%, 에탄올 추출물은 74%로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물 추출물 보다 높았다. 2.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물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에서 pH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pH 1.2에서 가장 높았고 동일 pH에서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3.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 생면을 $20^{\circ}C$에서 일주일간 저장하였을 때 3% 송화첨가국수가 총균수 및 진균수는 대조구의 최대균수를 나타낸 저장일의 균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H 및 산도는 대조구 및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국수의 명도(L)와 적색도(a)는 송화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p<0.05) 삶은면의 명도는 대조구와 추출물 첨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황색도(b)는 실험구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5. 송화를 첨가한 우리밀 생면, 건면, 삶은면의 관능검사 결과 종합 기호도에서 3% 첨가구가 가장 높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