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41초

알코올 내성 젖산균 Pediococcus acidilactici K3와 S1의 분리 및 생리적 특성 (Isolation of the Alcohol-Tolerant Lactic Acid Bacteria Pediococcus acidilactici K3 and S1 an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zation)

  • 장단비;박슬기;이현주;표상은;이한승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2-448
    • /
    • 2013
  • 김치, 막걸리 및 시판되는 누룩으로부터 젖산균을 분리한 후 다양한 농도의 알코올을 함유한 MRS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육 여부를 조사하였다. 알코올이 13%(v/v) 포함된 MRS 배지에서 $OD_{600}$ 값이 가장 높이 증가한 젖산균 2종을 최종 선별하였고 이 두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및 API kit를 이용한 생화학적 동정을 실시한 결과 두 종 모두 P. acidilactici에 가까운 종인 것을 확인하여 P. acidilactici K3와 P. acidilactici S1으로 명명하였다. 선별한 P. acidilactici K3와 S1의 bacteriocin 생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 식중독균인 S. aureus의 생육 저해를 일으키는 bacteriocin 생성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별한 두 균주와 표준 균주(P. acidilactici DSM 20284)의 알코올 내성을 비교한 결과 6% 이하의 저농도 알코올이 포함된 배지에서는 균주 생육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12% 이상의 알코올이 포함된 배지에서는 표준 균주보다 최대 3배 이상 알코올 내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알코올 내성 균주 P. acidilactici K3와 S1을 살균 막걸리에 첨가한 후 냉장 온도($4^{\circ}C$$10^{\circ}C$)에서 저장하며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사멸하지 않고 한 달 간 생균수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beta}-Galactosidase$ 생산 유산균 선별 및 특성 조사 (Characterization and Sel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roducing ${\beta}-Galactosidase$)

  • 이영기;최수산나;박용일;박찬선;윤병대;황윤식;김희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6-222
    • /
    • 2006
  • [ ${\beta}-Galactosidase$ ] (lactase)를 생산하는 유산균을 선별하고 그들이 생산하는 ${\beta}-galactosidase$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X-gal이 포함된 MRS배지에서 푸른색을 나타내는 약 100여개의 콜로니를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들 중 ET-1과 LA-12 두 균주를 최종 선별하였으며,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각 각 Lactobacillus fermentum과 L. acidophilus와 상동성이 높은 Lactobacillus 속으로 동정되었다. 선별된 두 균주는 높은 ${\beta}-galactosidase$ activeity와 우수한 생존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들이 생산하는 ${\beta}-galactosidase$의 최적 활성조건을 조사한 결과, 반응온도 $55^{\circ}C$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반응 pH의 경우 ET-1은 pH 5.5에서 최고 활성을 나타내었고, LA-12는 pH7.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선별 유산균 ET-1과 LA-12는 위액과 담즙산액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두 개의 선별 균주는 인공위액에 3시간 배양 후 초기 생균수와 비교하여 생균수 변화가 거의 없었고, 담즙산액으로 사용한 0.3% oxgall에서 24시간 반응 후에도 1 log cycle 정도 감소된 $10^8CFU/ml$의 생균수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산균 ET-1과 LA-12는 유제품 산업에 이용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김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 김효주;장해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6-203
    • /
    • 2006
  • 김치로부터 3종의 EPS 생성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주는 Leuconostoc kimchii,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으며, 각각 Leuconostoc kimchii GJ2, Leuconostoc citreum C3, Leuconostoc mesenteroides C11로 명명하였다. EPS생성 김치유산균의 장내 정착성 여부 확인 결과 pH 3.0의 0.05 M sodium phosphate buffer와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였으며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후에도 3균주 모두 초기균수($10^8\;CFU/ml$)를 유지하며 3종의 EPS생성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이 장내 정착하면서 probiotics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으로서 분리균주가 EPS를 생성하지 않았을 때의 경우에는 내산성, 인공위액, 인공담즙에서 처리 후 생균수가 $10^{1-2}\;CFU/ml$ 감소현상을 보여 균체의 EPS생성 여부가 probiotics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결정적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Leu. kimchii GJ2의 경우 E. coli, Pseudomonas, Listeria, Micrococ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Streptococcus속 등의 유해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생산 항균물질은 단백질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김치유산균 Leu. kimchii GJ2, Leu. citreum C3, Leu. mesenteroides C11로부터의 EPS 생성량은 sucrose(5%) 배지에서 각각 21.49 g/l, 16.46 g/l, 22.98 g/l 였으며, 정제 시에도 각각 14.61 g/l, 7.73 g/l, 4.77 g/l로 기존의 EPS 생성 유산균에서의 생산량에 비해 10배 이상의 높은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TLC 및 HPLC를 이용한 EPS 구성 당 확인 결과 3균주 모두 glucose로만 구성된 homopolysaccharides로 확인되었다. EPS 생성량이 가장 좋은 Leu. kimchii GJ2의 평균 분자량은 360,606 Da이었으며, 나머지 두 균주에 대해서는 생성 EPS 형태와 점도의 차이로 미루어 보아 생성 EPS의 분자구조와 분자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발효유제품에서 Lactobacillus rhamnosus GG의 생육 특성 (Acid Stress Response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in Commercial Yogurt)

  • 방미선;정안나;박동준;임광세;오세종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83-91
    • /
    • 2015
  • Yogurt is a product of the acidic fermentation of milk, which affects the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LAB).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survival and acid stress response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to low pH environment. The survival of LAB in commercial yogurt was measured during long-term storage. The enumeration of viable cells of LAB was determined at 15-day intervals over 52-weeks at $5^{\circ}C$. L. acidophilus, L. casei, and Bifidobacterium spp. showed low viability. However, L. rhamnosus GG exhibited excellent survival throughout the refrigerated storage period. At the end of 52-weeks, L. rhamnosus GG survived 7.0 log10 CFU/mL. $F_0F_1$ ATPase activity in L. rhamnosus GG at pH 4.5 was also evaluated. The ATPase activities of the membranes were higher when exposed at pH 4.5 for 24 h. The survival of L. rhamnosus GG was attributable to the induction in $F_0F_1$ ATPase activity. In addition,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cid stress-inducible genes at low pH were investigated by qRT-PCR. clpC and clpE genes were up-regulated after 1 h, and atpA and dnaK genes were up-regulated after 24 h of incubation at pH 4.5. These genes could enhance the survival of L. rhamnosus GG in the acidic condition. Thus, the modulation of the enzymes or genes to assist the viability of LAB in the low pH environment is thought to be important.

  • PDF

Effect of Encapsulated Bacteriocin on Acid Production and Growth of Starter Cultures in Yoghurt

  • Oh, Se-Jong;Heo, Ho-Jin;Park, Dong-June;Kim, Sae-Hun;Lee, Sung-Je;Imm, Jee-Y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902-907
    • /
    • 2006
  • Freeze dried crude bacteriocin was encapsulated within an acid-soluble coating material, Eudragit EPO, using a surface modification technique through a hybridization system.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control yoghurt were 3.92 and 1.56%, respectively, after 24 hr of fermentation at $42^{\circ}C$, whereas yoghurt containing 500 AU/mL encapsulated bacteriocin exhibited a higher pH (4.37) and lower titratable acidity (1.2%). Yoghurt containing encapsulated bacteriocin had significantly lower titratable acidity when the duration of fermentation (to pH 4.5) and subsequent refrigerated storage ($4^{\circ}C$) was longer than 20 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fter 15 hr of fermentation. This suggests that microencapsulated bacteriocin has the potential to control the excessive growth of yoghurt starters caused by temperature abuse or post-acidification.

발효두부 제조용 Starter의 선발과 이를 이용한 두부의 발효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arter Isolated from Kimchi and Fermentation of Tofu with Isolated Starter)

  • 강경명;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1626-1631
    • /
    • 2012
  • 김치 및 젓갈류에서 probiotics의 기능을 갖는 유산균을 분리하여 발효두부 제조용 starter로 선별하여 김치양념을 이용한 발효두부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리한 60균주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인공위액 및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균주 KL-6를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KL-6의 배양액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성장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동정한 결과 P. acidilactici KL-6(100%)로 확인되었다. 김치 양념과 혼합한 두부(Control)와 선발유산균을 starter로 접종(2%, v/v)하여 김치 양념과 혼합한 두부(TL) 그리고 starter를 접종하여 $37^{\circ}C$에서 24시간 동안 전 발효시킨 김치 양념과 혼합한 두부(TPL)의 발효 특성을 비교하였다. pH는 발효 1주 경과 후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발효 14주에 각 처리구별 pH는 3.96(control), 3.97(TL), 4.03(TPL)이었다. 유산발효두부의 총균수는 발효 2주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산균수의 경우 TL 및 TPL구는 발효 1주째, 대조구는 발효 2주째 $10^6$ CFU/g에 도달하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각 처리구 공히 감소하여 발효 14주째 $10^3$ CFU/g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수의 경우 대조구는 발효 1주일째까지 관찰되었으나, TL및 TPL구는 발효 1주째부터 관찰되지 않았다. 기호성은 TL구와 TPL구가 맛, 향, 조직감, 종합적 기호도에서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TPL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Effect of Protective Compounds on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of Freeze-Dried Weissella paramesenteroides LC11 During Storage

  • Yao, Amenan A.;Wathelet, Bernard;Thonart, Philipp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810-817
    • /
    • 2009
  •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maltodextrin+glycerol) and cryoprotectants+antioxidant [ascorbic acid and/or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mixtures on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of freeze-dried Weissella paramesenteroides LC11 during storag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cells without additives) over a 90-day storage period at 4 or $20^{\circ}C$ in glass tubes with water activity ($a_w$) of 0.23.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were evaluated through colony count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tent, respectively. The fatty acids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in both the total lipid extract and the polar lipid fraction,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fter the 90-day storage period. As the storage proceeded, increases in leakage value and TBARS content, as well as a decrease in viability, were observed. After 90 days of storage, the major fatty acids found in both the total lipid extract and the polar lipid fraction were palmitic (16:0), palmitoleic (16:1), stearic (18:0), oleic (18:1), linoleic (18:2), and linolenic (18:3) acids. The survival, leakage value, TBARS content and 18:2/16:0 or 18:3/16:0 ratio were the greatest for the protected strain held at $4^{\circ}C$. Cells with the cryoprotectants+BHT mixtur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urvival and 18:2/16:0 or 18:3/16:0 ratio in both lipid extracts, as well as the lowest leakage value and TBARS content after the 90-day storage period. Drying cells with the cryoprotectants+BHT mixture considerably slowed down polar lipid degradation and loss of membrane integrity, resulting in improved viability during storage.

Survey of Yogurt Powder Storage in Ambient Export Countries A Safety Evaluation Standard Compliance and Comparative Analysis

  • Kim, Na-Kyeong;Park, Jung-Min;Lee, Jung-Hoon;Kim, Ha-Jung;Oh, Sejong;Imm, Jee-Young;Lim, Kwang-Sei;Kim, Jin-M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43-148
    • /
    • 2015
  • Yogurt powder is fermented milk processed in the form of dry yogurt, and has advantages such as stability, storability, convenience, and portability. China and Vietnam are important export target countries because of the increased demand for dairy products. Therefore, we surveyed dairy product standardiza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Lactic acid bacteria counts are unregulated in Korea and Vietnam. In China, lactic acid bacteria counts are regulated at $1{\times}10^6$ colonyforming units (CFU)/mL and detected at $6.24{\pm}0.33\;Log\;CFU/mL$. All three countries have regulated standards for total bacterial counts. In China, total bacterial counts of milk powder are regulated to n=5, c=2, m=50,000, M=200,000 and detected at $6.02{\pm}0.12\;Log\;CFU/mL$, exceeding the acceptable level. Lactic acid bacterial counts appeared to exceed total bacterial counts. Coliform group count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ecies were not detected. Acidity is not regulated in Korea and Vietnam. In China, acidity was regulated to over $70^{\circ}T$ and detected $352.38{\pm}10.24^{\circ}T$. pH is unregulated in all three countries. pH was compared to that of general fermented milk, which is 4.2, and that of the sample was $4.28{\pm}0.01$. Aflatoxin levels are not regulated in Korea and China. In Vietnam, aflatoxin level is regulated at 0.05 ppb. Therefore, all ingredients of the yogurt powder met the safety standards. This data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assessing the export quality of yogurt powder.

박테리오신 생성 Pediococcus acidilactici 를 적용한 요거트 특성 및 항균성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Yogurt Fermented by Bacteriocin-producing Pediococcus acidilactici)

  • 현인경;김민영;김서연;이지수;최아랑;강석성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154-1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박테리오신을 생성하는 P. acidilactici를 적용한 기능성 요거트를 제조하여 항균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Yogurt starter로는 시판되는 요거트에서 분리한 혼합 균주 3종(S. thermophilus, Lb. bulgaricus, Lb. rhamnosus GG)을 사용하였으며, 혼합 균주와 P. acidilactici HW01, P. acidilactici JM01, P. acidilactici K10을 각각 혼합 접종하여 각각의 요거트를 제조한 다음 유산균의 생균수, pH, brix를 측정한 결과, 유산균의 생균수는 모두 8.0 Log CFU/mL 이상의 생균수가 검출되어 유산균 발효유로서 기준에 적합하였다. 또한 pH와 brix를 측정한 결과, 발효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다. 우유나 유제품의 오염에 있어서 유의해야 할 병원성 균인 L. monocytogenes를 통해 병원성 저해능을 측정하였으며 L. monocytogenes가 발효 후 3일째부터 모두 저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박테리오신 생성 균주인 P. acidilactici HW01, P. acidilactici JM01, P. acidilactici K10이 발효유제품 제조에 있어서 요거트 제품의 변화 없이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지닌 균주로 기대되며, 식품안정성 및 새로운 프로바이오틱스 유제품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된다. 그리고 L. monocytogenes 외의 다른 병원성 균의 저해효과에 대한 연구 및 요거트의 저장온도에 따른 병원성 저해효과 차이에 대한 연구도 기대된다. 따라서 박테리오신 생성 균주를 활용한 기능성 식품을 실제 식품산업에 적용한다면 안전성 및 신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새우젓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 HLJ59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및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HLJ59 Isolated from Salted Shrimp)

  • 전춘표;김윤회;이중복;조민섭;신기선;최충식;권기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14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장류, 김치류 및 젓갈류로부터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젖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한 선택배지로서 bromocresol purple (BCP)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1차적으로 젖산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중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분리된 젖산균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으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 ATCC $14869^T$와 99.7%의 유사도를 나타냄에 따라 L. brevis HLJ59로 명명하였다. L. brevis HLJ59는 내산성의 경우 pH가 2.0, 3.0으로 보정된 DeMan Rogosa Sharpe 액체배지에서 접종 후 각각 90분, 30분이 경과하였을 때 배양초기와 비교 시 약 99%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담즙산(Bile extract)의 경우 1% 첨가 시에도 생육에 저해를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어 L. brevis HLJ59 균주는 담즙산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내성의 경우 20종의 항생제를 paper disc법으로 조사한 결과 본 균주는 cephalosporin계의 cefoxatin (30 ${\mu}g$), ceftnaxone (30 ${\mu}g$), penicillin계의 penicillin (10 units), quinolones계 cprofloxacin (5 ${\mu}g$), nalidixic acid (30 ${\mu}g$), lincosamid계의 lincomycin (2 ${\mu}g$) 및 기타 chloramphenicol (30 ${\mu}g$)에 대해서는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