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alignment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31초

광모드변환기가 집적된 $1.3\mum$ SC-FP-LD 제작 및 특성 해석 (Fabrication and analysis of $1.3\mum$ spot-size-converter integrated laser diodes)

  • 심종인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71-278
    • /
    • 2000
  • 광가입자용 광원으로서 유망한 모드변환기가 집적된 1.3$\mu\textrm{m}$ SSC-FP-LD를 저압 MOVPE결정성장법을 사용해 제작하고 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SSC-LD의 활성영역과 SSC영역은 BJB방법으로 접합하였으며 taper형 도파로 구조를 선택성장법으로 성장하였다. 제작한 SSC-LD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SSC 단면으로 부터의 미분효율 0.23~0.32 mW/mA, FFP의 FWHM값은 9.5$^{\circ}$~12.3$^{\circ}$, 단일모드 광섬유와의 광결합 시 추가광결합손실 -1dB 범위내에서 수평방향으로 $\pm$2.5$\mu\textrm{m}$ 및 수직방향으로 $\pm$2.3$\mu\textrm{m}$의 정렬오차 허용도 등과 같은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SSC-LD의 문제점들을 이해하고 SSC-LD의 성능향상에 대한 지침을 얻고자 방사모드를 고려한 SSC-LD특성 해석을 행하였다. 해석결과 SSC-LD에서의 비대칭 광출력특성, FFP과 SSC영역단면 근처의 도파로 구조와 비상관성, 온도특성열화 등은 BJB 및 SSC영역내의 불균일한 도파로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방사모드와 두 영역 사이의 좋지 못한 광결합 효율에 의해 발생되는 SHB현상에 기인함을 처음으로 지적하였다.

  • PDF

減數分裂, 最近의 進步(I) (Recent Advancement on the Knowledges of Meiotic Division (I))

  • 한창열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53-475
    • /
    • 1998
  • During the 100 years since the initial discovery of meiotic phenomenon many brilliant aspects have been elucidated, but further researches based on light microscopy alone as an experimental tool have been found to have some limits and shortcomings. By the use of electron microscopy and armed with the advanced knowledges on modern genetics and biochemistry it has been possible to applu molecular technology in gaining information on the detailed aspects of meiosis. As synapsis takes place, a three-layered proteinous structure called the synatonemal complex starts to form in the space between the homologous chromosomes. To be more precise, it begins to form along the paired chromosomes early in the prophase I of meiotic division. The mechanism that leads to precise point-by-point pairing between homologous chromocomes division. The mechamism that leads to precise point-by-point pairing between homologous chromosomes remains to be ascertained. Several items of information, however, suggest that chromsome alignment leading to synapsis may be mediated somehow by the nuclear membrane. Pachytene bivalents in eukaryotes are firmly attached to the inner niclear membrane at both termini. This attached begins with unpaired leptotene chromosomes that already have developed a lateral element. Once attached, the loptotene chromosomes begin to synapse. A number of different models have been proposed to account for genetic recombination via exchange between DNA strands following their breakage and subsequent reunion in new arrangement. One of the models accounting for molecular recombination leading to chromatid exchange and chiasma formation was first proposed in 1964 by Holliday, and 30 years later still a modified version of his model is favored. Nicks are made by endomuclease at corresponding sites on one strant of each DNA duplex in nonsister chromatid of a bivalent during prophase 1 of meiosis. The nicked strands loop-out and two strands reassociate into an exchanged arrangement, which is sealed by ligase. The remaining intact strand of each duplex is nicked at a site opposite the cross-over, and the exposed ends are digested by exonuclease action. Consider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recent years in the effort to define the molecular and organization features of the centromere region in the yeast chromosome. Centromere core region of the DNA duplex is flanked by 15 densely packed nucleosomes on ons side and by 3 packed nucleosomes on the other side, that is, 2000 bp on one side and 400 400 bp in the other side. All the telomeres of a given species share a common DNA sequence. Two ends of each chromosome are virtually identical. At the end of each chromosome there exist two kinds of DNA sequence" simple telpmeric sequences and telpmere-associated sequencies. Various studies of telomere replication, function, and behabior are now in progress, all greatly aided by molecular methods. During nuclear division in mitosis as well as in meiosis, the nucleili disappear by the time of metaphase and reappear during nuclear reorganizations in telophase. When telophase begins, small nucleoli form at the NOR of each nucleolar-organizing chromosome, enlarge, and fuse to form one or more large nucleoli. Nucleolus is a special structure attached top a specific nucleolar-organizing region located at a specific site of a particular chromosome. The nucleolus is a vertical factory for the synthesis of rRNAs and the assenbly of ribosome subunit precursors.sors.

  • PDF

판별분석을 활용한 노면요철포장의 교통사고감소 효과분석 (A Safety Evaluation of Shoulder Rumble Strips on Expressway using Discriminant Analysis)

  • 박제진;서임기;강동윤;이재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5-104
    • /
    • 2016
  • In general, the crash reduction effect of the rumble strip is reported to be about 30% in Korea, while it is about 40-60%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effect is erroneously overestimated because the simple comparison was only made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ill reassess the crash reduction effect of the rumble strip. The study will also examine the former's geometr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effect on the causes of the crash. This study analyzed the crash effect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nge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 including the width of pavement shoulders, using the crash data for two year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umble strip. The types of crash caused by the rumble strip were identified using the classification discriminant function. The crash effect on the rumble strip is estimated to be 28.3%, but the pure effect, with the exception of the effect by other elements, was analyzed to be 7.4%. For each expressway design element, the downhill section (2.0-3.0%), the section with less than 3,000 m and more than 10,000 m of the curve radius, and the section with less than 3.0 m of the pavement shoulder width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crash reduction. For each cause of crash, the rumble strip was analyzed to be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crash caused by "not keeping the safe distance", "sleeping", "negligence in keeping eyes forward", and "excessive handle operation". In particular, the rumble strip was analyzed and seen to be especially effective in preventing crash caused by "not keeping a safe distance," and "sleeping". The installation of the rumble strip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crash caused by "not keeping the safe distance" and "slee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thus be used in deciding the causes of crash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ailored rumble strip that would be suitable for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roads. This study will also be helpful in the establishment of future traffic safety measures.

'Elastic tie back'을 이용한 발치공간 폐쇄에 관한 임상적 고려 (CLINICAL CONSIDERATION ON USING THE ELASTIC 'TIE BACKS' DURING SPACE CLOSURE)

  • 조기수;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7-227
    • /
    • 1993
  • 치아이동시 생역학을 고려한 frictionless system이 공간폐쇄를 위해 이상적이지만, 이는 숙달된 wire bending이 필요하며 잘못 계산된 교정장치를 사용하였을때 부작용이 매우 클 수 있다. 최근 Straight Wire Appliance가 도입 됨에 따라 복잡한 wire bending없이 "Elastic tie back"을 이용한 공간폐쇄가 가능하지만 alignment와 leveling을 위한 치료기간이 길고 friction과 binding으로 인해 이상적인 교정력을 적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교정환자 수가 많아지고 짧은 치료 기간이 요구되어지는 요즈음에 선택적으로 "Elastic tie back"을 이용하는 공간폐쇄는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교정장치라고 사료된다.

  • PDF

결정성 이산화티탄 나노졸 블록킹층 도입을 통한 거친 표면을 가지는 FTO 투명전극기판 위 수직 배향된 산화아연 나노막대 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mation of Vertically Aligned ZnO Nanorods Arrays on a Rough FTO Transparent Electrode by the Introduction of TiO2 Crystalline Nano-sol Blocking Interlayer)

  • 허진혁;유명상;임상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774-779
    • /
    • 2013
  • 용액공정이 가능한 5 nm 정도의 입경을 가지는 이산화티탄 단분산 나노졸을 솔-젤법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결정성 이산화티탄 나노졸의 저온 스핀코팅 공정을 통하여, 거친 표면을 가지는 FTO 투명전극 기판에 블록킹층을 형성하였다. 이산화티탄 나노졸을 블록킹층에 코팅을 함으로써 거친 FTO 표면을 점진적으로 완만하게 할 수 있었다. 1, 2.5, 5, 및 10 중량%의 결정성 이산화티탄 나노 졸을 FTO 투명전극 기판에 스핀코팅하여 29, 38, 62 및 226 nm 두께의 이산화티탄 블록킹층을 형성할 수 있었다. 5 및 10 중량%의 결정성 이산화티탄 나노 졸의 경우 제곱평균 48.7 nm의 표면조도를 가지는 FTO의 투명전극 표면을 효과적으로 평탄화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1차원 형태의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효과적으로 기판에 수직으로 배향할 수 있었다.

주의에 의한 시각 공간 확장 (Attention-induced expansion in visual space)

  • 유명현;박정선;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10권3호
    • /
    • pp.51-66
    • /
    • 1999
  • 특정 위치에 주어진 선택적 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지각 변화를 수용장의 수평 이동 가설 및 시각 공간의 확장 가설을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사 자극의 주위에 일정 형태로 배열된 점들의 일부를 깜박이거나 그 점들에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도록 함으로써 외인 적으로 또는 내인 적으로 주의가 유도되었으며 지각 변화 정도는 동시에 제시되는 검사 선분의 버니어 정렬, 기울기 및 길이 판단을 통해 측정되었다. 주의 효과는 상-하향 단계 조정법(up-and-down staircase method)을 사용하여 버니어 정렬 및 기울기 실험에서는 수직으로 배열된 것처럼 지각되는 검사 선분의 위치나 기울기로, 길이 판단 실험에서는 검사-비교 자극간의 주관적 등가 점(PSE: point of subjective equality)으로 측정되었다. 내인 적, 외인 적 주의 조건 모두에서 수직선이 주의 착 점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밀쳐 지각된다는 것과 그 부위에 가까이 제시된 선분이 길게 지각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주의에 의한 이러한 지각 변화는 검사 자극이 주의 착 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주의 유도 후 검사 자극 제시까지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수직 선분 자극이 주의 착 점으로부터 밀쳐져 지각되고 수평 선분이 주의 영역 부위에서 길게 지각된 실험 결과는 주의에 의한 지각 변화를 설명하는데 있어 수용 장 이동 가설보다는 지각 공간 확장 가설이 더 적절함을 시사한다.

  • PDF

제주마를 이용한 승마 경속보시 숙련도에 따른 기승자세의 운동학적 비교분석 (Kinematic Analysis of Horse-Riding Posture According to Skill Levels during Rising Trot with JeJu-horse)

  • 오운용;류재청;김진현;현승현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7-479
    • /
    • 2009
  • 제주마를 이용한 경속보(rising trot)시 숙련정도에 따라 2보폭동안 기승자세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에 응용 할 수 있는 정량적 자료를 제시한다. 참여한 피험자는 총 10명(숙련군: 5명, 미숙련군: 5명)이었고, 실험 및 분석 방법은 3차원 영상분석(Kwon3D Motion Analysis System)을 하였고, 분석변인은 국면 및 이벤트별 시간, 선 및 각운동변인이었다. 숙련군이 미숙련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지기보다 공중국면의 소요시간 비율이 더 많았고, 국면경과에 따라 더 적은 상하운동범위 속에서, 전후 및 좌우속도에서 더 일관된 속도를 유지하였고, 상하방향에서 말의 보조와 동조를 이루면서 일관된 주기를 이루면서 반동운동이 이루어졌다. 숙련군이 미숙련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팔꿈치에서 더 많은 굴곡 및 국면경과에 따라 어깨의 더 많은 후방신전자세를 취하였다. 고관절과 무릎은 더 많은 전방굴곡자세를 취한 반면 발목의 경우 모두 저측굴곡의 자세를 유지하였다. 동체는 수직축에 대해 후방신전자세인 반면 미숙련군은 전방굴곡자세를 유지하였다. 즉 미숙련군의 경우 숙련군에 비해 다소 경속보에서 보조의 경과에 따라 불안한 자세를 취한 것으로 사료된다.

각막 이심률과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의 상관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Corneal Eccentricity and Stable Centration of RGP Lens on Cornea)

  • 박은혜;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3-380
    • /
    • 2012
  •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각막 이심률과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각막 이심률이 0.28~0.78인 각막 84안을 대상으로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를 피팅 상태를 달리하여 착용시키고 각막에서의 중심안정위치를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구면과 비구면 RGP 렌즈의 수평방향 중심안정위치는 이심률이 작은 각막에서는 귀쪽으로의 치우쳐짐이 컸으나 이심률이 큰 경우는 각막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하였다.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모두 피팅 상태가 플랫할수록 이심률에 따른 중심안정위치의 차이가 커졌으며, 비구면 RGP 렌즈의 경우 각막 이심률이 작은 경우와 큰 경우 모두 중심안정위치의 차이가 구면 RGP 렌즈 보다 더 적었다. 구면 및 비구면 RGP 렌즈 착용 시 수직방향으로의 중심안정위치는 피팅 상태에 상관없이 모두 각막 중심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위치하였으며 각막 이심률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심률이 클수록 RGP 렌즈가 상안검에 맞닿는 경우가 많았다. 결론: 각막 이심률에 따라 구면 RGP 렌즈뿐만 아니라 비구면 RGP 렌즈의 중심안정위치가 달라졌으므로 RGP 렌즈의 피팅 및 제조 시에 이러한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전도성 향상을 위한 구리호일 위 CNT의 직접성장 및 전계방출 특성 평가 (Direct Growth of CNT on Cu Foils for Conductivity Enhancement and Their Field Emission Property Characterization)

  • 김진주;임선택;김곤호;정구환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3
    • /
    • 2011
  • 탄소나노튜브(CNT)와 합성기판 사이의 전도성 향상을 목적으로, 현재 리튬이온이차전지 등의 분야에서 전극으로 이용되고 있는 구리 호일을 합성기판으로 하여, 그 위에 수직배향 CNT 성장의 합성 최적화를 도모하였다. 합성은 수평식 CVD 합성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최적의 합성조건은 구리호일 위에 10 nm의 Al2O3 버퍼층과 1 nm 두께의 Fe 촉매층을 증착한 후, 아세틸렌 가스를 이용하여 $800^{\circ}C$에서 20분간 합성한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CNT는 base-growth의 성장형태를 따랐고, Fe 1 nm 두께인 경우, $7.2{\pm}1.5nm$의 촉매나노입자가 형성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800^{\circ}C$에서 20분 성장결과, 직경 8.2 nm, 길이 $325{\mu}m$의 수직배향 CNT를 얻을 수 있었다. 합성시간이 길어져도 CNT의 결정성, 직경 및 겹(wall) 수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끝으로, 구리호일 위에 수직 성장시킨 CNT의 전계방출 특성을 측정한 결과, 실리콘 산화막 위에 성장시킨 CNT와 비교하여, 월등히 낮은 전계방출 문턱전압과 10배 정도 높은 전계향상계수를 보였다. 이는 CNT와 금속기판 사이의 계면에서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결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Inter-Rater Reliability of Abdominal Muscles Thickness Using Ultrasonography for Different Probe Locations and Thickness Measurement Techniques

  • Lim, One-Bin;Hong, Ji-A;Yi, Chung-Hwi;Cynn, Heon-Seock;Jung, Doh-Heon;Park, Il-Woo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0-67
    • /
    • 2011
  • Ultrasonography (US) is a recent technique that has proven to be useful for assessing muscle thickness and guiding the rehabilitation decision-making of clinicians and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US measurement of transversus abdominis (TrA), internal oblique (IO), and external oblique (EO) thicknesses for different probe locations and measurement techniques. Twenty healthy volunte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Muscle thicknesses of the transversus TrA, IO, and EO were measured three times in the hook-lying position. The three different probe locations were as follows: 1) Probe location 1 (PL1) was below the rib cage in direct vertical alignment with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 2) Probe location 2 (PL2) was halfway between the ASIS and the ribcage along the mid-axillary line. 3) Probe location 3 (PL3) was halfway between the iliac crest and the inferior angle of the rib cage, with adjustment to ensure the medial edge of the TrA. The two different techniques of thickness measurement from the captured images were as follows: 1)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in the middle of the muscle belly, which was centered within the captured image (technique A; TA). 2) Muscle thickness was measured along a horizontal reference line located 2 cm apart from the medial edge of the TrA in the captured image (technique B; TB).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3,k]) was used to calculat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thickness measurement of TrA, IO and EO using the values from both the first and second examiner. In all three muscles, moderate to excellent reliability was found for all conditions (probe locations and measurement techniques) (ICC=.70~.97). In the PL1-TA condition, inter-rater reliability in the three muscle thicknesses was good to excellent (ICC=.85~.96). The reliability of all measurement conditions was excellent in IO (ICC=.95~.97).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 can be applied to PL1 by clinicians and researchers in order to measure the thickness of abdominal mus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