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ation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7초

특징기반 영상 워핑을 활용한 다양한 디지털 잎 모델링 (Modeling of Various Digital Leaves Using Feature-based Image Warping)

  • 김진모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35-24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디지털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특징기반 워핑을 활용한 잎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다수의 다양한 잎의 형상을 쉽고 직관적으로 제어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상처리 응용 기술 중 하나인 워핑 방법을 활용한다. 먼저 잎몸 영상으로부터 잎몸의 형상을 판단할 수 있는 근사화된 컨투어 정보를 찾고, 이를 기반으로 특징기반 워핑에 사용되는 제어선을 자동으로 계산한다. 다음으로 제어선기반 워핑을 통해 잎몸 영상을 직관적으로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잎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된 잎몸 영상의 컨투어 정보들로부터 컨투어기반 잎맥 성장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잎맥 패턴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잎몸에 해당하는 샘플 이진영상 한 장을 사용하여 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잎을 효율적으로 생성 가능한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또한 워핑을 잎몸의 성장에 적용하여 잎의 자연스러운 성장을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컨투어기반 잎맥 패턴의 절차적 모델링 (Contour-based Procedural Modeling of Leaf Venation Patterns)

  • 김진모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7-106
    • /
    • 2014
  • 본 연구는 가상 조경을 구성하는 꽃, 나무 등의 디지털 식물 표현에 필요한 다수의 다양한 잎들을 쉽고 직관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절차적 방법은 잎을 크게 잎몸과 잎맥으로 구분하여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컨투어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잎맥을 절차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잎을 생성한다. 우선 복잡한 잎맥 구조를 주잎맥, 곁 잎맥 그리고 3차 잎맥으로 나누며 모든 잎맥은 시작 옥신(auxin)으로부터 목적 옥신으로 향하며 절차적으로 성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성장에 필요한 목적 옥신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해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근사화된 컨투어를 찾아 이를 기반으로 후보목적 옥신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다중 텍스쳐 맵 합성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디지털 잎을 생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다양한 잎의 생성이 가능하고, 효율적인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잎맥 특징을 이용한 모양기반의 식물 잎 이미지 검색 (Shape-based Leaf Image Retrieval using Venation Feature)

  • 남윤영;박진규;황인준;김동윤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D)
    • /
    • pp.346-348
    • /
    • 2006
  • 본 논문은 잎맥 특징을 이용한 식물의 잎 이미지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식물의 검색을 위해 모양 기반의 검색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잎의 외곽선 분만 아니라 내부의 잎맥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율을 향상시켰다. 외곽선은 MPP(Minimum Perimeter Polygons)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표현하고, 내부의 잎맥의 특징은 CSS(Curvature Scale Space)를 개선하여 주맥과 교차점, 끝점을 추출하여 표현하였다. 특징 점들간의 관계와 거리값을 통해 가중치가 있는 그래프로 표현하고 이 값을 통해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실험에서는 식물도감에서 1000여개의 식물 잎 이미지를 추출하여 기존의 알고리즘인 Fourier Descriptor, CSSD, CCD, Moment Invariants, MPP와 비교하였다.

  • PDF

A New Genus, Parkiana Cho, gen. nov. (Lepidoptera: Lecithoceridae) from Madagascar, with Descriptions of Two New Species

  • Cho, Soowon;Koo, Jun-Mo;Agassiz, David J.L.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2호
    • /
    • pp.107-112
    • /
    • 2020
  • A new genus Parkiana Cho, gen. nov., belonging to Torodorinae of Lecithoceridae, is described from Madagascar, with two new species: P. matutinalis Cho & Agassiz, sp. nov. and P. andasibensis Cho & Agassiz, sp. nov. Although superficially similar to Thubdora Park, 2018, some of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wing venation, are unique and the species of the genus are grouped apart from Thubdora in a preliminary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COI barcode sequences. In addition to the specific descriptions, adults and genitalia for the two new species are illustrated.

한국 고유식물의 종속지 VI. 말발도리속 식물의 분류와 종간 유연관계 (Monographic Study of the Endemic Plants in Korea VI. Taxonomy and Intespecif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Deutzia)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207-231
    • /
    • 1986
  • To clarify the species of genus Deutzia (Saxifragaceae, s. l.) in Korea, the taxonomic description was undertaken and interspecific relationships was discussed based on the external morphology with the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 and the distributional pattern with specimens deposited in the herbaria. The presence or absence, number of rays, position and frequency of the stellate trichome, inflorescence and the morphology and venation pattern of petal were approved as the good characters to classify the Korean Deutzias. Although 17 kinds of Deutzia were reported in Korea hitherto, 9 kinds were excluded owing to the taxonomic treatment based on the comparative external morphology and the distributional uncertainty. Thus genus Deutzia in Korea could be rearranged as 2 sections, 3 subsection, 7 species and 1 variety. Among them, 4 species were considered as the endemic species in Korea.

  • PDF

한국산 미기록 고치벌 Rhogadopsis obliqua (벌목: 고치벌과: 꽃파리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A New Record of Parasitic Wasp, Rhogadopsis obliqua (Hymenoptera: Braconidae: Opiinae), from South Korea)

  • 한윤종;김효중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1-4
    • /
    • 2023
  • Rhogadopsis속은 주로 굴파리에 기생하는 고치벌로 Opius속의 아속으로 여겨져왔다. 그러나 시맥의 형태와 단계통 분기군을 형성함에 따라 Rhogadopsis속은 속으로 격상되었다. 전라남도 여서도에서의 동물상 조사 결과, Rhogadopsis obliqua의 수컷 표본을 쓸어 잡기로 채집되었다. Rhogadopsis obliqua의 기술과 진단 형질 도판을 수록한다.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native Anacardiaceae)

  • 김삼식;정재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51-165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옻나무과(科) 6식종(植種)과 외래(外來) 2식종(植種)을 대상(對象)으로 잎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형질조사(形質調査), 엽맥상(葉脈相)의 특징(特徵) 조사(調査),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을 이용하여 기공(氣孔)과 잎의 epidermal 세포(細胞)의 구조특성(構造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연구결과(硏究結果)에 대한 분류군간(分類群間)의 각 형질(形質)을 비교(比較)하였으며,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잎의 형태적(形態的) 형질(形質)에 의(依)한 유집분석(類集分析) 결과(結果) 산검양옻나무, 미국털옻나무, 검양옻나무 유집군(類集群)과 개옻나무, 붉나무, 옻나무 유집군(類集群) 및 덩굴옻나무, 미국덩굴옻나무 유집군(類集群)으로 분류(分類)되었다. 엽형질(葉形質)에 대(對)한 주성분(主成分) 분석(分析)에서는 Eigenvalue 1.0이상(以上)인 제(第)3 주성분(主成分)까지의 누적기여율(累積寄與率)은 82.6%로서 설명력(說明力)이 높았다. 2. 엽맥(葉脈)의 형태(形態)와 2차맥(次脈)의 분지각(分枝角)에 따라 망상(網狀), 곡주맥(曲走脈)과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으로 구분(區分)되었으며, 2차맥(次脈)의 발달(發達) 정도(程度)에 따라 종(種)의 식별(識別)이 가능(可能)하였으며, 종검색표(種檢索表)를 작성(作成)하였다. 3. 기공(氣孔) 형태(形態)는 paracytic과 anomocytic형(形)으로 구별(區別)되었으며, 기공지수(氣孔指數)에 따라 종간(種間)의 분류(分類)가 가능(可能)하였다. 또한 잎 표면세포(表面細胞)의 구조(構造)와 형태(形態)도 synclinal과 anticlinal cell wall pattern으로 구분(區分)되어 종간(種間)의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한 한국산(韓國産) 단풍나무속(屬)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al Studies of the Genus Acer in Korea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ipules)

  • 박광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1-9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단풍나무속(屬) 12종류(種類)(8종(種), 3변종(變種), 1품종(品種))의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한 분류(分類)를 시도(試圖)한 것이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단풍나무속(屬)의 탁엽(托葉)은 4~10개(個)로 대생(對生)하며 단엽(單葉), 장상복엽(掌狀複葉)과 단신복엽(單身複葉)으로 되어있고, 엽맥(葉脈)은 곡주맥(曲走), 기저망상맥(基底網狀脈), 장상망맥(掌狀網脈) 평행망(平行脈)을 가지며 털은 단연모(短軟毛), 혼선유모(混腺柔毛), 밀선모(密線毛), 선모(腺毛), 연모(緣毛), 견모(絹毛)와 장연모(長軟毛)가 있어서, 탁엽(托葉)의 형태(形態)는 종(種)을 식별(識別)하는데 중요(重要)한 허점(據點)이 되었다, 2) 단풍나무속(屬) 탁엽(托葉)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의해서 6가지 형태(形態) 즉, (1)ginnala형(型)(신나무), (2)koreanum형(型)(노인단풍, 참단풍, 좁은단풍), (3)mono형(型)(고로쇠나무, 홍단풍, 홍세열단풍, 청세열단풍), (4)negundo형(型)(네군도단풍), (5)palmatum형(型)(단풍나무), (6)platanoides형(型)(놀웨이단풍, 만주고로쇠)로 분류(分類)할 수 있었다. 3) platanoides형(型)과 negundo형(型)의 탁엽(托葉)은 단풍나무속내(屬內) 수종(樹種)들 중에서 진화(進化)가 가잘 덜된 형태(形態)를 가지고 있었다. 4) 단풍나무속(屬)의 탁엽(托葉)은 엽병(葉柄)이 진화(進化)되어 보호기능면(保護機能面)으로 변태(變態)된 내맥아린(內脈芽鱗)이 성장(成長)되어 형성(形成)된 것이었다.

  • PDF

조경용 수목의 형태적 식별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Identifying for Landscape Architecture)

  • 김민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51-262
    • /
    • 1998
  • A number of illustrated floras are generally used when we want to idenufy a name of a certain tree. This method, however, has not been efficient because it has taken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for persons who do not have much knowledge on the group of the plant. In contrast to this method, the use of taxonomical keys is very efficient for finding out the group of a certain plant. But this method Is very dirtficult for non-specialists to understand the taxonomical ternunology and thus has not been of general use. In thin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efficient way of the group of a certain tree through the computer database by using the brief forms of plant organs. The database consists of effect fields such as form of trunk and evergreen or deciduous, types of leaf and leaf arrangement, existence of price and hair on twig, form of leaf margin, leaf form and venation, existence of hair on leaf surface and petiole, length of leaf and petiole. The 222 species of tree used for landscape architecture were sorted by items of the eight fields. As a result, the 222 species were divided into 185 groups and the one group contains 7species, 2 groups contain 3 species, 27 groups contain 2 species and 155 groups contain only one spec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computer database and illustrated floras is very easy and efficient in identifying a tree.

  • PDF

신분류군 탐라사철란(난과) (A New Taxon of Goodyera (Orchidaceae): G. × tamnaensis)

  • 이창숙;여성희;이경서;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1-254
    • /
    • 2010
  • 제주도에서 발견된 사철란(난과)속의 신분류군을 정기준표본에 근거한 분류군 기재, 해부도 및 서식지에서의 식물사진을 제시하여 탐라사철란(Goodyera ${\times}$ tamnaensis N.S. Lee, K.S. Lee, S.H. Yeau & C.S. Lee, sp. nov.)으로 신종 처리하였다. 탐라사철란은 잎맥, 잎 표면무늬와 잎의 표피세포 형태, 잎, 꽃과 포의 색, 곁 꽃받침의 모양, 털의 길이 등 형태적 특징에 의해 사철란과 흰줄사철란(털사철란)의 교배종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