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egetation composition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3초

울산시 도심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에 따른 식생 변화 (Change of Vegetation Based on Nature-friendly River of Urban Streams in Ulsan)

  • 강호선;조홍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7호
    • /
    • pp.657-670
    • /
    • 2014
  • 수질개선과 하천개수를 통한 자연형하천 조성으로 주민들의 친수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울산시의 5개 도시하천에 대해 식생을 조사하였다. 하천의 기하학적 특성이나 수질 및 제내지 및 제외지 등 주변여건과 식생의 활성화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각 하천의 자연형하천 조성시기가 다르고 일천한 관계로 뚜렷한 정량적 상관관계를 얻을 수는 없었으나, 식생의 활성화 정도가 현하천의 수질과 제내지 및 제외지 등 주변 여건에 의한 차이점은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상태에 가까운 척과천은 식생종류가 다양하였고, 수질과 주변 여건이 좋은 무거천과 명정천은 인위적 유지용수 공급과 개수공사에 의한 인공물이 많지만 식생의 활성화 정도가 좋았다. 반면에 수질이 나쁘거나 하폭과 둔치가 좁은 데도 무리하게 산책로 등을 조성하였던 여천천과 약사천은 식생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였고 활성화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도의 식생: 그 보전을 위한 식물군락의 공간분포와 모니터링 (Vegetation of Mok-do Isl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nd Monitoring for Vegetation Conservation)

  • 김종원;제갈재철;이병열;이율경;문경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5호
    • /
    • pp.259-265
    • /
    • 2001
  • 울산광역시 목도 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전통적인 군락분류법에 의한 식생유형 분석과 축적 1:800의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의 공간적 분포양식을 규명하고, 식생자원진단카드를 개발하여 주요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평가하였다 목도의 식생은 50과 93속 111종 (귀화식물 11종 포함)으로 이루어진 13개 식물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도식생은 섬 면적의 37.4%를 차지하는 상록활엽수림의 후박나무군락으로 대표되며, 극히 단순한 종조성과 층구조, 그리고 주요 수목 가운데 95.7%가 절대감시 및 주요감시 대상인 개체를 포함하고 있는 매우 취약한 식생구조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해양에 대응한 공간적 분포의 경향성이 뚜렷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목도식생의 보전을 위한 장기생태연구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 PDF

환경영향평가중 삼림생태계 평가기법개발(II) : 녹지의 자연성평가 (Development of Forest Ecosystem Assessment Technique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II) : Nature Evaluation of Vegetation)

  • 최송현;이경재
    • 환경영향평가
    • /
    • 제5권2호
    • /
    • pp.33-47
    • /
    • 1996
  • To select the criteria, literature review was made in the quantitative case of conservation biology, foreign country's EIA and domestic ecology. Among them, a few factors was extracted. To applicate the criteria to domestic forest ecosystem, expert opinion survey was executed to the ecologis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lassification of sites was made of land use system which is related to forest ecosystem or forest conservation. Sites are divided into 3 categories which are nature preservation area, seminature preservation area and urbanized area. Evaluation criteria is consisted of rarity and naturalness. 2. Each area had different criteria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site characteristics. Criteria of nature preservation area is rarity in the broad sense (distribution pattern of vegetation), vegetation size, successional stage and depth of organic matters. Those of seminature preservation area are rarity in the broad sense (distribution area of vegetation), vegetation size, successional stage, diameter at breath height and depth of organic matters. And those of urbanized area are vegetation distribution in area, successional stage, age of forest and diameter of breath height. The basic data of criterion was gathered by field survey. 3. Evaluation index and total naturalness index was obtained by adding the each criterion. It is made up of two categories-rarity and naturalness. TNi is divided into 3 grades. Grade I is more than 70% for TNi, grade IT is 50~70%, and grade III is below 50%. According to the each grade, permitted action and facilities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just focuses on the evaluation of vegetation quality and the assessment results do not directly judge conservation or development. To make better evaluation criteria, various fields of forest ecosystem-geological or physical nature environment and fauna ecosystem etc. -will be added wholly to this research.

  • PDF

저서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동해안, 죽도) II. 해조류 식생의 계절변화와 대형갈조류 성장상태의 관계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Phytobenthos in Juckdo (Eastern Coast of Korea) II. Seasonal Changes of Algal Vegetation in Relation to Annual Growth of Large Brown Algae)

  • 고철환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6권4호
    • /
    • pp.181-190
    • /
    • 1983
  • Seasonal occurrence of benthic algae and changes of subtidal vegetation were studied for their species composition, diversity and biomass during 1982 and 1983 at several selected sites at Juckdo Island (38$^{\circ}$12'N, 128$^{\circ}$32'E), eastern coast of Korea. Three large brown algae which played a role in change of algal vegetation through their great biomass were investigated with regard to their seasonal growth. Large brown algae such as Undaria pinnatifida, Costaria costata, Laminaria japonica, Agarum cribrosum, Sargassum confusum and S. hornerii constitute the major portion of vegetation in this area throughout the year. Algal vegetation in spring time is characterized by dominance of species U. pinnatifida and C. costata, whereas the summer vegetation by S. confusum and S. hornerii. In autumn large brown algae are shedded and only small algae, such as Chondrus ocellatus and Grateloupia filicina, remain. The vegetation in winter is dominated by the growth of U. pinnatifida and C. costata. Monthly changes in mean length and weight of randomly collected U. pinnatifida, C. costata and S. confusum are as follows; U. pinnatifida occurs from December to June and shows their maximum growth during March (120 cm in length, 201 g/individual in wet weight), its maximum growth rate is 1.4 cm/day, 3.3 g/day in this month. The growth season of C. costata is very similar to U.pinnatifida, but their average maximum length(110 cm) and weight (106 g/ind.) are lower than U. pinnatifida. The greatest growth rate is during March (1.8 cm/day, 2.0g/day). S. confusum is present throughout the year and reaches the maximum growth (102 cm, 63g/ind.) in July. Maximum growth rate (1.5 cm/day, 1.2 g/day) occurs also during this month. U. pinnatifida and C. costata show different months of maximum growth evidently during the two year. This seems to be caused by a considerable damage to the local vegetation followed by heavy storm in February 1983.

  • PDF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침엽수림의 식생형과 식물상 조성 (Vegetation Types & Floristic Composition of Native Conifer Forests i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 박상곤;조현제;이창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464-471
    • /
    • 2009
  • 백두대간 마루금일대 침엽수 자연림의 식생형이 Braun-Blanquet방법과 TWINSPAN을 병용하여 분류되고 그 생태적 특성이 분석되었다. 식생형은 소나무-가는잎그늘사초형과 잣나무-관중형 등 2개의 상위단위와 7개의 하위단위로 유형화되었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종풍부도와 총피도율은 각각 $21.9{\pm}8.9$종류, $146.9{\pm}32.3$%이었다. 식물상 특성은 82과 217속 387종류이었으며, 국화과, 백합과, 장미과 등이 전체 구성종의 약 25.6%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단 1종만 출현하는 과도 7.8%에 달하였다. 총피도율에 의한 상대적 중요치는 소나무과가 19.2로 가장 높았으며 과별 종풍부도 경향과 다소 반대로 나타났다.

이안천의 식생분포 (Distribut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Ian Stream)

  • 김호준;이혜근;최광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74-1279
    • /
    • 2005
  • The complex vegetation and plant species distributions within riparian corridors influence plant species diversity patterns at both local and regional scales and further reflect both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riparian zones are often the ecosystem level component that are most sensitive to change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y provide early indications of environmental change and can be viewed as the important source in the watersh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wo concepts: first, document the composition and dominance of plant communities of riparian areas in the stream, second, compare species composition and temporal diversity between stations in riparian areas of the Ian Stream. The flora was composed to total 158 kinds of the vascular plants as 49 family, 54 genera, 145 species, 12 varieties, 1 forma When the naturalized plant were applied to the recent classification system 280 kinds, the naturalization rate was $10.8\% higher than that of mean value($10.3\%$) of the Korean mountain district. Furthermore, urbanization index (UI) was $6.1\%$. The dominant vegetation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the habitats of three compartment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he vegetations were included Phragmites japonica, Salix gracilistyla, S. hulteni and Robinia pseudo-acacia in the riparian area, and Persicaria sieboldii, Stellaria alsine var. undulata, Draba nemorosa var. hebecarpa, Capsella bursa-pastoris, Lepidium apetalum, Bidens frondosa, Trigonotis peduncularis and Hemistepta lyrata in the sandbank or the riparian area, and Equisetum arvense, Humulus japonicus, Persicaria perfoliata, Trifolium rep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Avena fatua, Agropyron yesoense, Oenothera odorata, Viola mandshurica, Rumex crispus in banksides, respectively.

  • PDF

내연산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 남쪽 지역을 중심으로 - (Synec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Pohang City, Korea - Focusing on the Southern Area -)

  • 김학윤;김준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8-328
    • /
    • 2017
  • 내연산일대 산림식생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총 149개의 표본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식생유형을 구분하고 그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산림식생은 종조성 측면에서 총 10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2개 군락군, 4개 군락, 6개 아군락 그리고 6개 변군락의 단위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상층 우점종에 의한 상관식생은 총 19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 중 자연식생은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망개나무군락, 헛개나무군락 등 18개 유형 그리고 인공식생은 일본잎갈나무림 1개 유형이었다. 구성종의 중요치 분석 결과 잠재자연식생 요소인 신갈나무가 다른 구성종에 비하여 대부분의 임분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 인위적 간섭이 없는 한 일부 입지를 제외하고 대부분 신갈나무군락으로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층 우점종에 의해 1/5,000 대축척 현존상관식생도를 작성한 결과, 자연식생이 98.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식생 패치수는 733개 그리고 패치당 평균면적은 3.93ha로 나타났다.

삼나무 인공조림(人工造林)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에 관한 연구(研究) (The Study of Forest Vegetation in Cryptomeria japonica D. Don Plantations)

  • 이정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9권1호
    • /
    • pp.42-50
    • /
    • 1985
  • 한국남부지역(韓國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삼나무의 조림적지(造林適地)의 판정(判定) 및 시업방법(施業方法)의 개선(改善)에 필요(必要)한 기초(基礎)를 얻고자 삼나무 임분(林分)의 식생(植生)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사지역(調査地域) 및 임분(林分)의 환경조건(環境條件)은 일본추전현지역(日本秋田縣地域)에 비교(比較)하면 21~25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동등(同等)하였으나 51~58년생(年生) 임분(林分)은 불량(不良)한 생육상태(生育狀態)이었다. 2) 총출현종수(總出現種數)는 256종(種)이었고, 조성종수(組成種數)는 42~99종(種)으로 일본(日本)에서 보다 많은 편(便)이나 상한수(上限數)는 같았다. 3) 온대남부(温帶南部) 및 난대북부림대(暖帶北部林帶)에 속(屬)하며 표(表) 4 와 같이 I~IV 급(級)의 임상형(林床型)으로 구분(區分)하였다. 4)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H' max)와 우점도(優占度)(1-J')는 높았고 Simpson 종다양도(種多樣度)(${\lambda}$)와 균재도(均在度)(J')는 낮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한 식생(植生)이었다. 5) 유사율(類似率)(PS)은 평균(平均) 3.904 이하(以下)로 낮은 유사성(類似性) 즉 지구간(地區間)에는 특이성(特異性)이 있다. 6) Morista's 지표(指標)($I_M$)에 의(依)하면 8번 구(區)는 일반화(一般化)되어 있고 12번 구(區)는 특성화(特性化)되어 있다. 7) Sneath-Sokal의 근원계수(近遠係數)(I)에 의(依)하면 0.15 이하(以下)의 낮은 비유사계수(非類似係數) 즉 각구간(各區間)의 유사성(類似性)이 매우 높았다.

  • PDF

남산, 오대산, 울릉도 지역의 주요 참나무과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구조 비교 (Community Structure Comparison of Fagaceae Forest Vegetation in Namsan, Odaesan, and Ulleungdo)

  • 윤이슬;송주현;변성엽;김호진;이정은;김지동;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11-529
    • /
    • 2022
  • 한반도의 산림식생은 낙엽참나무림으로 우점되는 대륙형의 한반도형으로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참나무과 산림식생이 우점하는 남산, 오대산, 울릉도 지역을 대상으로 이질적인 생태 특성에 따른 종조성과 환경인자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식생조사는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총 75개소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결과 총7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최상위 수준에서는 내륙지역의 대표식생군락인 신갈나무군락과 도서지역의 대표식생군락인 너도밤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은 도시의 대표식생인 팥배나무군과 산악지역의 대표식생인 피나무군으로 세분되었다. 지역형에 따른 천이경향을 살펴보고자 중요치와 지표종 분석을 시행한 결과, 도시형과 도서형은 참나무군락으로 유지되며, 산악형의 경우 피나무 및 까치박달 등 활엽수종의 천이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생유형과 입지환경인자와의 CCA 분석결과, 동위도 상에서 종조성의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해발고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반도의 산림생태계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체계적인 보전 및 복원 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分類法과 傾度分析에 의한 無等山 蒜林植生 分析 (Classification Analysis and Gradient Analysi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Mudung)

  • Kim, Chang-Hwan;Kang, Seon-Hee;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71-484
    • /
    • 1994
  • The forest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 Mt. $Mud\v{u}ng$ were investigated by classification method and ordination method. The forest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by ristic composition table: Quercus monogolica community, Q. serrata community, Q.acutissima community, Q.variabilis community, Q.dent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Frainus mandshurica community. Considering the moisture gradient, two kinds of distributuin pattern were shown as follows; F. mandshurica, Q. acturissima, Platycarya strobilacea and Staphylea bumalda were distribute at moist habitats, while Q. monogolica, P. densiflora and Q.variabilis at dry habitats. In continuum analysis, each population occupied different distribution area but it was continuously overlapped. On the successional trends of tree species, it is postulated that Q. mongolica species might dominate the altitudinal zone over 700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