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of Mok-do Isl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nd Monitoring for Vegetation Conservation

목도의 식생: 그 보전을 위한 식물군락의 공간분포와 모니터링

  • Published : 2001.10.0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remnant forest vegetation (Natural Monument No. 65) in the Mok-do island of Ulsan city and its relation to ecological long-term monitoring. Syn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actual vegetation map were depicted in very fine scale 1:800 for better understanding spatial distribution and vitality of individual trees and communities. A total of 111 species and 13 plant communities occurred on the 19,166 ㎡ area.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of Machilus thunbergii is a representative vegetation type, which covers 37.4% of the island area. Evergreen coniferous forest of Pinus thunbergii covers 18.6% of the island. These two forests occurred at different parts of the island, i.e., the former at the rearward and the later at the frontward of island against marine. 95.7% of trees analysed was determined as critically and absolutely monitored individuals. From a conservation perspective the Mok-do vegetation is extremely vulnerable, which must be long-termly monitored using an assessment of tree vitality and a fine scale map of vegetation.

울산광역시 목도 식생에 대한 식생학적 연구가 수행되었다. 전통적인 군락분류법에 의한 식생유형 분석과 축적 1:800의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여 식생의 공간적 분포양식을 규명하고, 식생자원진단카드를 개발하여 주요 수목에 대한 활력도를 평가하였다 목도의 식생은 50과 93속 111종 (귀화식물 11종 포함)으로 이루어진 13개 식물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목도식생은 섬 면적의 37.4%를 차지하는 상록활엽수림의 후박나무군락으로 대표되며, 극히 단순한 종조성과 층구조, 그리고 주요 수목 가운데 95.7%가 절대감시 및 주요감시 대상인 개체를 포함하고 있는 매우 취약한 식생구조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해양에 대응한 공간적 분포의 경향성이 뚜렷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목도식생의 보전을 위한 장기생태연구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홈페이지 기상청
  2. 한국생태학회지 v.15 온산공단 주변의 삼림식생에 관한조사 김종갑
  3. 기술현황분석 보고서 AR-09 우리 나라의 자연환경 현황분석 연구 김종원
  4. 기초과학연구논집 v.15 해당화(Rosa rugosa)의 최남단 자생군락지 김종원;남화경
  5. 자연실태종합보고서 v.10 울릉도·독도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학적 연구 김종원;송승달;김성준
  6. 자연보존 v.87 한반도의 상록 활엽수 보존실태와 대책 김종홍
  7. 한국생태학회지 v.13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내의 상록활엽수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오도군도의 식생을 중심으로 김철수;오장근
  8. 천연기념물 수목지 생태계조사보고서 문화재관리국
  9. 목도 상록수림 관리계획수립 조사 울산광역시
  10. 한국식물분류학회지 v.4 한국 남부도서에 대한 상록활엽수의 분포와 기후요인과의 관계 양인석;김원
  11.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2. 자연보존 v.94 복원생태학의 원리를 이용한 자연보전 이창석
  13. '88자연 생태계전국조사(Ⅰ-3) 제 2차 년도(경남의 녹지자연도) 환경부
  14. Pflanzensoziologie(3rd ed.) Braun-Blanquet, J.
  15. Chousen Hakubutsu Gakkaishi (Journal of Korean Natural History) v.7 On the flora of the Island Ooryongdo or Dagelet IslandI Ishidoya, T.
  16. Ecological Studies v.10 Northern distribu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trees in Togoku Japan and Korean Peninsula Ishizuka, K.
  17. Dissertation of the Univ. of Vienna Vegetation of No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Kim, J. W.
  18. J. Cramer. Vaduz. Das System der Lorbeerwalder(Camellietea japonicae) Japans. Syntaxonomie. Berichte der Internationalen Symposien der Internationalen Vereinigung fur Vegetationskunde Miyawaki, A.;H. Dierschke(ed.)
  19. Angw. Pflanzensoz. v.13 Die Heutige Potentielle naturliche vegetation als Gegenstand der vegetationskartierung Tuxen,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