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etal resistanc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8초

벼흰빛잎마름병에 대한 포장 저항성의 새로운 검정법 (An Improved Method for Screening Rice Cultivars with Field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 최재을;이두구;서재환;배성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5-121
    • /
    • 1985
  • 벼 흰빛잎마름병에 대한 새로운 포장 저항성 검정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검정 식물체 접종법과 인접 식물체 접종법을 비교 검토하였다. 새로운 검정법인 검정 식물체 접종법에서는 포장 저항성 검정 식물체를 전엽접종한 발병엽으로부터 새로 출엽된 잎에 이차전염된 발병 엽면적율을 측정하였다. 검정 식물체 접종으로 검정된 포장 저항성 정도는 인접 식물체 접종 결과와 높은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포장 저항성 정도는 검정 식물체 접종법에서 명확히 구분되었다. 공시한 33품종 중에서는 밀양 42호, 삼강벼, 태백벼, 한강찰벼, 섬진벼, 70 X-46, 중국 45호 등이 강한 포장 저항성을 보였다. 새로운 포장 저항성 검정법은 품종의 질적 저항성 및 포장 저항성을 동시에 검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검정법에 비하여 노력과 포장 면적이 적게 들기 때문에 유용한 검정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잠의 바이러스성 연화병에 관한 연구 I. 장려품종에 대한 저항성 검정 (Studies on the Flacherie Viru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I. Resistance to Flacherie and Ina-flacnerie Virus in the Leading Silkworm Varieties in Korea)

  • 김권영;강석권;이재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2-35
    • /
    • 1978
  • 현장려잠품종에 대하여 FV 및 이나주바이러스의 2령기잠 경구접종에 의한 품종간저항성을 비교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V 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은 한생 1 호 $\times$ 한생 2 호가 가장 강하였고 무등$\times$선호가 가장 약했다. 2. 이나주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은 잠 117$\times$잠118, 경추$\times$소일, 무등$\times$선호, 한생 1호$\times$한생 2호 및 한생 3호$\times$4호 등 5개 품종은 완전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잠 115$\times$잠116이 가장 약했다.

  • PDF

Xylella fastidiosa의 배양여액을 이용한 포도나무 피어스병 품종 저항성 검정 (Evaluation of resistance to Pierce's disease among grapevine cultivars by using the culture filtrates produced from Xylella fastidiosa)

  • 박명수;;윤해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394-400
    • /
    • 2017
  • 포도나무 피어스병에 대한 품종간 저항성을 검정하는 데에 이용되는 병원균 접종법이나 포장저항성 검정법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병원균(Xylella fastidiosa)이 생산하는 배양여액을 이용할 수 있는 검정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상처를 가한 포도나무 잎에 병원균의 배양여액을 처리한 결과 독성이 발현되었으며 품종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병원균 배양여액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공시한 포도나무에서 배양여액 처리와 동일한 반응을 유도하였다. 병원균 배양여액의 독성과 감수성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동일하였다. 감수성 품종은 높은 비율로 희석된 배양여액에도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저항성품종은 원액에서도 반응하지 않았다. 감수성 품종은 희석된 배양여액보다 원액에서 감수성이었으나 저항성 품종은 원액에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유럽종 포도 품종이 중도 감수성이었으나, 배양여액을 이용한 피어스병해 저항성 검정은 병해에 저항성인 유전자원 선발과, 교배조합의 저항성 실생의 조기에 선발에 중요한 기술로서, 향후 병해에 저항성인 포도품종 육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벼의 품종저항성에 관한 연구(1)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Green Rice Leafhopper, Nephotettix cincticeps UHLER)

  • 최승윤;송유한;박중수;손병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7-53
    • /
    • 1973
  • 끝동매미충에 대한 국내장여품종, 계통 및 IRRI선발품종의 저항성정도, 그들 품종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산난선호성, 식이선호성, Antibiosis 및 몇개 지역의 끝동 매미충에 대한 벼의 저항성차이 유무를 알기 위해 시험을 실시한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국내장여품종은 모다 감수성(S) 반응을 보였고 IR 667에서 얻어진 품종과 계통은 중간성(M) 반응을 보였다. 2. IRRI 선발품종중 Bir-tsan-3, MTU-15, DK-1, DV-139, H105, ASD-7, MGL-2, PTB-18, Muthumanikam 및 Vellanlangalayan은 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IR20과 Mudgo는 중도저항성을 보였으며 IR8, IR22, Pankari-203, Su-Yai-20 및 T(N)1은 감수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3. Nephotettix cincticeps와 N. impicticeps간에 현저히 다른 반응을 나타낸 품종은 H105, IR8, Mudgo, Pankari-203 및 Su-Yai-20이었다. 4. 산난선호성은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비교적 많은 산난수를 보인 품종은 Suweon 215, Shirogane, Su-Yai-20 및 Milsung 등이었고 비교적 적은 품종은 Palkweng, Kimmaze, Mudgo 및 Akibare 등이었다. 5. 식이선호성도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는데 비교적 부착충수가 많은 품종은 Shirogane, $Shin{\#}2$, Paltal 및 Nongbaek등이었고 비교적 적은 부착충수를 보인 품종은 Su-Yai-20, TKM-6, Mudgo 및 Murunga 137 등이었다. 6. 유묘의 저항성과 산난선호성, 식이선호성들 간에 유의한 상관은 없었으나 유묘의 저항성과 식이선호성은 비교적 깊은 관계가 있는 것 같았다. 7. 공시품종에 대한 부화약충의 생존충율에 있어서 PTB-18은 3일만에, Muthumanikam은 7일만에, Vellanlangalayan과 H105는 8일만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으며 그 외에도 저항성품종에서 낮은 생존충률을 보였다. 8. 수원, 이리, 밀양 및 진주 4개 지역의 끝동매미충에 대한 벼의 반응에 차이가 없어 끝동매미충의 생태형은 찾아 볼 수 없었다.

  • PDF

맥류품종 및 재배기술의 1962년 이후 변천 (Changes in Variety and Cultural Practices of Wheat and Barley Since 1962 in Korea)

  • 조장환;이은섭;하용웅;신만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2-461
    • /
    • 1982
  • Average yield of wheat and barley cultivars has been increased 3 percent every year by varietal improvement. The major characteristic changes of those improved cultivars were the early maturing and lodging resistance using dwarf genes, 70-90cm of culm length appearances, under the heavy fertilizer application. Looking back the cultural practices of wheat and barley for the last 20 years, the introduction of early maturing and lodging resistance cultivars around 1970 brought the changes of seeding rate from 65kg to 130- 200kg per hector and the tillering increased by heavy fertilizer. The utilization of livestock and man power for preparation of seedbed were gradually disappeared by increasing agricultural mechanization. The narrow-spaced seeding $(40cm {\times} l8cm)$ and drill seeding $(20cm {\times} 5cm)$ in upland, broadcasting or drilling on high ridge $(120cm {\times} 90cm)$ with the power-toller and whole area broadcasting in paddy field were improved as the main cultural method. The use of agricultural machineries reduced the labour consumption of 940 man hours to 180 man hours per hector from seeding to harvest.

  • PDF

이화명나방 유충의 식이선호성에 있어서 수도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s in Feeding Preference of the Striped Rice Borer Larvae (Chilo suppressalis W.))

  • 최승윤;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3-56
    • /
    • 1976
  • 이화병나방 유충의 식이선택성에 있어서 수도품종간 차이를 시험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종에 따라 유충의 식이선택성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도의 생육기에 따라 식이선택성에 변화가 있었는데 생육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높아지는 것(Rexoro, Suweon 240, Suweon 213-1, Yushin 및 Jinheung), 초기에 비하여 후기에 낮아지는 것(Tetep, Suweon 242) 및 생육기에 따라 변화가 없는 것(TKM-6, IR-26)이 있었다. (2) 감수성 대조품종 Rexoro는 저항성 대조품종 TKM-6에 비하여 식이선택성이 언제나 높았다. Tongil(Suweon 213-1)은 Rexoro와 Jinheung에 비하여 유충의 식이선택성이 현저히 낮았고 TKM-6와 거의 대등한 정도의 식이선택성을 타나내었다. (3) 이화명충에 대한 수도의 저항성과 식이선택성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 같다.

  • PDF

Screening of Sclerotinia Rot Resistant Korean Orig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Germplasm Using a Detached Leaf Method

  • Lee, Ho-Sun;Afroz, Tania;Jeon, Young-Ah;Sung, Jung-Sook;Rhee, Ju-Hee;Aseefa, Awraris Derbie;Noh, Jaejong;Hwang, Aejin;Hur, On-Sook;Ro, Na-Young;Lee, Jae-Eu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43-751
    • /
    • 2019
  • Sclerotinia rot,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is a devastating disease that poses a serious threat to perilla production in Korea. Identifying effective sources of resistance offers long term prospects for improving management of this disease. Screening disease resistant genetic resources is important for development of disease-resistant, new cultivars and conduct related research. In the present study, perilla germplasm were screened in vitro against S. sclerotiorum using detached leaf method. Among 544 perilla accessions, two were highly resistant (IT226504, IT226533), five were resistant (IT226561, IT226532, IT226526, IT226441, and IT226589), five were moderately resistant (IT226525, IT226640, IT226568, IT220624, and IT178655), 16 were moderately susceptible, 31 were susceptible, and 485 were highly susceptible. The resistant accessions in this study could serve as resistance donor in the breeding of Sclerotinia rot resistance or subjected to selection procedure of varietal development for direct use by breeders, farmers, researchers, and end consumers.

Screening of Bacterial Leaf Blight Resistance Genes (xa5, xa13, Xa21) using Sequence Tagged Site (STS) Marker in Korean Varieties and Landraces

  • Kim, Young-Chang;Park, Yong-Jin;Ma, Kyung-Ho;Lee, Jung-Ro;Kim, Chang-Young;Choi, Jae-Eul;Kang, Hee-Kyoung
    • Plant Resources
    • /
    • 제7권3호
    • /
    • pp.187-194
    • /
    • 2004
  • Sequence-tagged site (STS) markers tightly linked to the bacterial leaf blight (BLB) resistance genes, xa5, xa13 and Xa21, were use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polymorphisms between the resistant and susceptible germplasm in rice. 500 of Korean varieties and 100 of landrac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STS marker, RG207 was used to having xa5 resistance gene of rice germplasm. 27 varieties of Korean germplasm showed resistant for xa5 gene. The RG136 an xa-13 marker resulted in a single band of approximately 1kb in all the rice accessions studied. In order to detect polymorphism, digestion of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product was performed using a restriction enzyme Hinf Ⅰ. The resistant lines resulted in two bands 0.5kb on digestion with Hinf Ⅰ, while the same enzyme did not digest the PCR product of susceptible lines. No polymorphism was detected in Korean varieties and landraces, indicating that they probably do not contain xa13 gene. pTA248 an Xa-21 marker detected a band of 1kb in the resistant lines and bands of either 750bp or 700bp in the susceptible lines. Among germplasm tested, there are no varieties and landraces with Xa21 resistant gene. The results of the germplasm survey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parents in breeding programs aimed at transferring these bacterial blight resistance genes from one varietal background to another.

  • PDF

Developing screening system for resistance to anthracnose in grapes by using culture filtrates from Elsinoe ampelina

  • Yun, Hae-Keun;Park, Kyo-Sun;Park, Jeong-Ho;Park, Youn-Jung;Jeong, Sang-Bou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70.1-70
    • /
    • 2003
  • It was investigated whether culture filtrates produced by X. fastiduosa could be used to determine varietal susceptibility in grape cultivars to anthracnose as a substitute for pathogen inoculation or field screening. Bioassay of grape leaves with culture filtrates showed that their phytotoxicities were active and host-selective. Ethyl acetate extracts from those also showed the toxicities and host selectivity among grape cultivars. The sensitive range of plants to culture filtrates and their ethyl acetate extracts was consistent with the host range to the pathogen. Susceptible cultivars were sensitive to even highly diluted culture filtrates but resistant cultivars were not affected even at original culture filtrates. Susceptible cultivars were sensitive to the undiluted culture filtrates than highly diluted culture filtrates and the younger leaves were the more sensitive to the culture filtrates and their ethyl acetate extracts in grapes.

  • PDF

벼멸구에 대한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저항성기작(抵抗性機作)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echanism of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Brown Planthopper(Nilaparvata lugens $ST{\AA}L$)

  • 김정화;최승윤;박종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1-60
    • /
    • 1985
  • 본시험(本試驗)은 우리나라에서 수도(水稻)에 큰 피해(被害)를 주는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A}L$)에 대(對)한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 항충성(抗蟲性), 화학적성분(化學的成分), 효소(酵素)의 작용(作用)및 벼멸구의 선호성등(選好性等)을 분석(分析)하여 벼멸구에 대(對)한 수도품종(水稻品種)의 저항성기작(抵抗性機作)을 밝히고자 실시(實施)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묘(幼苗)의 저항성반응(抵抗性反應)에서 청청(靑靑)벼, 가야(伽倻)벼, 한강(漢江)찰벼, 삼강(三剛)벼, IR-36는 저항성(抵抗性), 남풍(南豊)벼, 영풍(永豊)벼는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 진흥(振興), 상풍(常豊)벼, 추청(秋晴)벼는 감수성(感受性)이었다. 2 선호성중(選好性中) 식이선호성(食餌選好性)은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에서 높았고, 저항성(抵抗性)과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에서 낮았다. 이상(以上)과같은 식이선호성(食餌選好性)은 충접종(蟲接種) 72시간이내(時間以內)에 검정(檢定)하여야 한다.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은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에서 높았고, 저항성(抵抗性)과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에서는 낮았으나 이와같은 산란선호성(産卵選好性)은 감수성대조품종(感受性對照品種)과 공시품종(供試品種)을 각(各) 1본(本)씩 짝지어 충(蟲)을 접종(接種)하고 조사(調査)해야 진정(眞正)한 구별(區別)이 된다. 3. 항충성(抗蟲性)에서 감로배설량(甘露排泄量)은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보다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에서 현저(顯著)히 많았다. 벼멸구의 Amylase 활성(活性)은 저항성(抵抗性)에서보다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에서 높았으며 접종시간(接種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감수성품종(感受性品種)에서 그 변화(變化)가 컸다. 암컷성충(成蟲)의 체중(體重)은 수컷보다 무거웠으며 감수성(感受性)에서 사육(飼育)된 성충(成蟲)의 자웅평균체중(雌雄平均體重)은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사육(飼育)된 것보다 무거웠다. 차세대(次世代)의 밀도증식(密度增植)은 감수성(感受性)에서보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에서 현저(顯著)히 낮았다. 4. 수도품종(水稻品種)의 화학적조성성분중(化學的組成成分中) $P_2O_5$, CaO, MgO, Hemicellulose, 엽록소(葉綠素)는 감수성(感受性)에서보다 저항성(抵抗性)에서 함량(含量)이 높았고, Acid detergent fiber, Lignin, Cellulose 는 감수성(感受性)에서 높았다. Esterase isozyme의 영동대(泳動帶)에 있어서 Est ${\beta}-2$는 IR-36을 제외(除外)한 저하성(抵抗性)과 중도저항성품종(中度抵抗性品種)에서, Est ${\beta}-3$는 IR-36에서만 검출(檢出)되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보아 벼멸구의 Amylase 활성정도(活性程度)와 수도(水稻)의 Estrase isozyme의 전기영동(電氣泳動)은 품종저항성(品種抵抗성)을 판정(判定)하는 새로운 방법(方法)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