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arietal resistance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9초

Artificial Screening for Black Rot Resistance Based on Different Disease Parameter in Early Cauliflower

  • Pandey, Koshlendra Kumar;Pandey, Padma Kant;Singh, Bijendra
    • Myco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73-178
    • /
    • 2003
  • India has maximum genetic materials in early cauliflower, which grow in subtropical conditions. Different disease parameters like linear growth, maximum growth rate per day, AUDPC, apparent infection rate and percent diseased area were calculated in artificially inoculated plants. Apparent infection rate is not co-related with the black rot disease incidence and should never be considered during characterization of disease resistance and varietal screening. Based on the above disease parameters Kunwari-18, Phool Gobhi Kunwari, Kataki-7 and BT-10-2 were selected as moderately resistance to black rot in early cauliflower. These lines can be used for black rot prone area and also for black rot disease improvement programme. Consider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arameters, slow rotting resistance cauliflower lines are selected as such for cultivation and would be best suited in integrated disease programme.

벼 누른오갈병(Sclerophthora macrospora) 발생이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 및 병 저항성 품종 검정 (Effect of Rice Downy Mildew (Sclerophthora macrospora) on Rice Growth and Screening of Disease Resistance of Cultivars)

  • 이용환;차광홍;고숙주;박기범;김영철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52-56
    • /
    • 2003
  • 전남 나주의 벼 누른오갈병이 발생한 담수직파 포장에서 일미벼를 대상으로 병 발생이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품종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누른오갈병 발생시 잎에는 퇴록반점이 나타나고 엽장이 짧아지며 벼의 생육이 진행되면서 줄기의 절간신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마디사이가 기형적으로 자라고 출수가 안되거나 기형이삭이 되는 증상을 보였다. 벼 누른오갈병 이병시 초장이 짧아졌고, 분얼수는 최고분얼기 전에 발병주가 적었지만 그 이후에는 발병주가 많았다. 마디수는 발병줄기가 건전줄기에 비해 많은 반면에 마디길이는 짧았다. 발병정도가 심할 수록 단위면적당 이삭수가 적고 등숙율이 낮아 수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유묘를 대상으로 품종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동진벼, 계화벼가 벼 누른오갈병에 대해서 저항성이었다.

애멸구에 대한 벼의 품종저항성에 관한 연구(VI)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Smaller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IV))

  • 최승윤;송유한;박중수;최광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6
    • /
    • 1974
  • IRRI에서 선발된 Indica형 벼, IR 667계통에서 유내한 벼 및 Japonica형 국내장려품종을 공시하여 애멸구에 대한 저항성정도를 검정하고 나아가 내충성 기작으로 간주되는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Antibiosis)을 시험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IRRI에서 선발된 19개 Indica형 벼품종 중 저항성반응을 보인 것은 H 105, Muthumanikam, Vellailangalayan, Karsamba Red ASD-7, Manavari Co 22, Mudgo, PTB-18, IR-18 및 IR 20 등 9개 품종이었고 TKM-6은 중도저항성(MR)이었으며 그밖에 것은 모다 감수성으로 나타났다. 국내재료중 IR 667에서 유래한 벼는 저항성반응을 보였으나 Japonica형 5개 장려품종은 모두 감수성반응을 나타내었다. 2. 저항성품종 ASD-7과 감수성품종 Jinheung(진흥)에 대한 식이선호성은 감수성품종에서 높고 저항성품종에서 낮았는데 접종 72특간후 Jinheung과 ASD-7 두 품종에 대한 선호율은 각각 $88.6\%$$11.4\%$이었다. 3. 저항성품종 ASD-7과 감수성품종 Jinheung에 대한 산난선호성은 식이선호성과는 달러 저항성품종에서 높고 감수성품종에서 비교적 낮았는데 두 품종에 대한 산난비율은 저항성품종에서 $58.6\%$, 감수성품종에서 $41.4\%$이었다. 4. 저항성품종에서는 약충의 사충율이 높았고 우화율이 낮았으며 반대로감수성품종에서는 약충의 사충율이 ?았고 우화율이 비교적 높았다.저항성반응을 보인 품종종에서도 IRRI 선발품종들은 $84\%$ 이상의 사충율을 보였으나 IR 667에서 유래한 Suweon 213-1(통일품종)은 $48\%$ Suweon 214$62\%$의 비교적 낮은 사충율을 보여 저항성품종이라도 항충성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애멸구에 대한 저항성품종은 Indica형 벼 품종에서 상당수를 찾아 볼 수 있었으며 그들 저항성품종의 내충성 기작은 우선 비식이선호성(Non-feeding preference)과 항충성이 관계하고 산란선호성은 관계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고추의 풋마름병(靑枯病)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in Pepper (Capsicum anuum L.))

  • 임양숙;김병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3-77
    • /
    • 1994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method of nioculation and inoculum level, and the optimum age of pepper seedlings for evaluation of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in pepper. Injection of bacterial suspension(107~108 cells/ml) to the leaf axil of the 3rd or 4th leaf of pepper, and drenching the soil planted with pepper seedling after wounding roots with scalpel, resulted in good varietal difference in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PI377688, PI358812 and PI369994 of 298 open-pollinated lines and 10 hybrids tested for resistance to bacterial wilt were highly resistant and such local cultivars as Masan, Anjinbaengi, Kimyongcho and Punggakcho moderately resistant.

  • PDF

Rice Insects : The Role of Host Plant Resistance i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 Heinrichs, E.A.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56-275
    • /
    • 1992
  • Insect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abiotic and biotic constraints to rice production. National rice research programs are in various stage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stratagies for rice insect control. Among the various control tactics, insect resistant cultivars are sought as the major tactic in rice IPM. Through the activities of interdisciplinary teams of scientists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development and release of insect resistant cultivars to farmers. Because of its compatibility with other control tactics insect resistance has proven to fit well into the IPM approach to rice insect control agents and minimize the need for insecticide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of biotypes which overcome the resistance in rice plants has been a significant constraint in the breeding of rice for resistance to insects. Most notable examples in Asia are the green leafhopper, Nephotettix virescens,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ygens and the Asian rice gall midge, Orseolia oryzae. The current breeding stratege is to develop rice cultivars with durable resistance on which virulent biotypes cannot adapt. In spite of the significant progress made in the breeding of insect resistant cultivars there are still numerous important rice insect species for which host plant resistance as a control tactic has not been fully utilized. Advances in biotechnology provide promise of solving some of the problems that have limited the use of host plant resistance as a major tactic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rice insect pests.

  • PDF

한국 도열병균 KI-409 race의 급격한 증가 현황과 원인 분석 (Analysis of Rapid increase of Rice Blast Fungus Race KI-409 in Korea)

  • 한성숙;최성호;나동수;은무영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05-709
    • /
    • 1998
  •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Korean rice blast fungus (Pyricularia grisea) race KI-409 that has been rapidely increased since 1993 and became predominant in 1995 in Korea were investigated. Varietal resistance of current commercial cultivars of rice to the race was also tested in this study. The race KI-409 was first isolated from rice cv. Namyangbyeo in 1985. Since 1985 the race had been isolated mainly from the rice cultivars having BL1 BL7 pedigree as a resistance source. Distribution ratio of the race in 1995 was 23.7% in average and became a predominant in the P. grisea population in Korea. The race distributed widely and found in all the eight provinces in Korea. Many commercial cultivars such as Chucheongbyeo as well as those with BL1 or BL7 as a genetic background were found to be susceptible to the race KI-409.

  • PDF

고추 탄달병(炭疸病)에 대한 품종(品種) 저항성(抵抗性) 및 병원균(病原菌)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양원(營養源)의 효과(效果) (Studies on the Varietal Resistance and Effects of Nutrients for Fungal Growth of Pepper Anthracnose Disease Caused by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

  • 장순화;정봉구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27-233
    • /
    • 1985
  • 고추 탄저병(炭疽病)(Colletorichum dematium f. sp. capsicum)에 대한 본(本) 병(病)의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 육성(育成)과 방제법(防除法) 수립(樹立)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분리균(分離菌)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양원(營養源)의 효과(效果)에 관한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시(供試)한 21품종중(品種中) Kumchang No.2, Bulamhouse, Pakistan, Hongilpum 등의 품종(品種)은 공시균(供試菌)에 대해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었고 Taiwan pepper등 5개(個) 품종(品種)은 중(中) 간성(間性)으로, H-038, Haneulcho 등 12개(個) 품종(品種)은 이병성(罹病性) 품종(品種)으로 판정(判定)되었는데 이병성(罹病性) 품종(品種)은 대체(大體)로 감미종(甘味種) 이었다. 2. 공시균(供試菌)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탄소원(炭素源)의 효과(效果)는 과당(果糖)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가장 왕성(旺盛)하였고 농도별(濃度別)로는 공시(供試) C-원(源) 모두 3% 전후(前後)에서 가장 왕성(旺盛)하였다. 3. 포자형성(胞子形成)은 공시(供試) C-원(源) 모두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오히려 감소(減少)하였고 건물중(乾物重)은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N-원(源)과 vitamin의 효과(效果)는 현저(顯著)하지 않았으며 실소원(室素源) 첨가배지(添加培地)는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저하(低下)되는 경향(傾向)이었는데 ammonium sulfate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가장 저조(低調)하였다. vitamin중(中)에서는 niacin과 thiamine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 근소(僅少)한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 PDF

참깨발병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연구 (An Evaluation Method for Sesame (Sesamum indicum L.) Resistance to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 Seong Ho, Choi;Eui Kyoo, Cho;Young Am, Cha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3-180
    • /
    • 1987
  • 본 시험은 참깨 발병(병원균 :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다. 공식작물의 묘령, 접종방법, 토양수분상태 및 접종원의 농도는 공시한 중도저항성계통 B-67, IS 103과 나병성계통 수원9호, 수원 2006 모두의 병진전속도와 발병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파종후 20일된 유묘에 1 $m\ell$당 200개 포자상의 접종원을 폿트(8$\times$16.7$\times$7.2cm)당 10$m\ell$씩 토양표면에 접종한 후 저면관수로 토양수분을 포화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계통간 저항성의 차이를 갈 볼 수 있었다. 묘령 70일의 성묘를 사용하였을 때는 토양접종을 하였을 때나 분무접종을 하였을 때 모두 계통간 저항성 차이를 잘 볼 수 있었다. 전술한 유묘검정방법에 의해 이병성계통인 수원2006는 이병주율로는 100%, 발병심도로는 최대치인 9.0을 보였다. 반면에 중도저항성계통인 B- 67은 이병수율로는 20%, 발병심도로는 1.7을 보였다. 발병심도는 0에서 9까지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발병심도 0은 병징이 없는 상태, 5는 지면부 줄기가 변색된 경우, 9는 잎마름증상과 함께 줄기변색이 지면부로 부터 10cm 이상인 경우이다. 품종간 저항성의 차이는 병총면적률로도 조사를 하였으며, 이 결과는 발병심도로 조사한 검정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