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nillin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6초

Enhanced Yield of Extraction from Gastrodia elata Blume by Ultrasonication and Enzyme Reaction

  • Kim, Hyun-Jong;Kwak, In-Seob;Lee, Bong-Soo;Oh, Seung-Bae;Lee, Hyun-Chul;Lee, Eun-Mi;Lim, Ja-Young;Yun, Yeoung-Sang;Chung, Bong-Wo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3호
    • /
    • pp.123-126
    • /
    • 2005
  • Gastrodia elata Blume (Chunma) belongs to Orchidaceae, which is a perennial parasitic herbaceous plant and grows in the woods of the central provinces of China, Korea and Japan. Recently, the constituents of the tubers of this plant have been investigated by researchers who have revealed the presence of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gastrodin as a major constituent, together with 4-hydroxybenzaldehyde, 4-hydroxybenzyl alcohol, parishin, 4,4-dihydroxybenzyl sulfoxide, vanillin, vanillyl alcohol, beta-sitosterol, organic acids and polysaccharides, etc. In this study, we used ultrasonicator and two kinds of enzymes for enhancement of extraction yield. We also used electronic nose for the aroma pattern analysis of Chunma extracts. The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functional constituents (gastrodin, vanillin, 4-hydroxybenzaldehyde and 4-hydroxybenzyl alcohol) were measured by biochemistry analyzer and HPLC, respectively. Therefore, we showed that the yield of extraction was increased and discomfortable odor was reduced.

Enzymatic Release of Ferulic Acid from Ipomoea batatas L. (Sweet Potato) Stem

  • Min, Ji-Yun;Kang, Seung-Mi;Park, Dong-Jin;Kim, Yong-Duck;Jung, Ha-Na;Yang, Jae-Kyung;Seo, Won-Teak;Kim, Seon-Won;Karigar, Chandrakant S.;Choi, Myung-Su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4호
    • /
    • pp.372-376
    • /
    • 2006
  • Ferulic acid is a phenolic compound that serves as a major biosynthetic precursor of vanillin in higher plants. We investigated the ability of the 3 commercial enzymes - Ultraflo L, Viscozyme L, and ${\alpha}-Amylase$ - to induce the release ferulic acid from the Ipomoea batatas L. (sweet potato) stem. The rate of release for ferulic acid was optimal when Ultraflo L (1.0%) was used compared with the other enzymes, whereas Viscozyme L was most effective for the release of vanillic acid and vanillin. Thus, these enzymes may be useful for the large-scale production of ferulic acid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from sweet potato stem.

Agrobacterium tumefaciens와 Tumor-inducing 플라스미드에 의한 virulence 유전자의 발현 (Effects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and Tumor-inducing plasmid on the virulence gene expression)

  • 음진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000-10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vir유전자의 발현에 있어서 페놀화합물, Ti 플라스미드들의 종류(cctopine, nopaline), A. tumefaciens 들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9종류의 페놀화합물들을 3종류의 A. tumefaciens들과 3종류의 Ti 플라스미드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Nopaline Ti 플라스미드를 포함하는 A. tumefaciens MW107에 존재하는 vir유전자는 4-hydroxyacetophenone, phenol, catechol, resorcinol, acetosyringone과 vanillin등 6종류의 페놀화합물들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Octopine Ti 플라스미드들을 포함하는 A. tumefaciens MW105와 MW108의 vir유전자들은 acetosyringone에서만 발현되었다. 따라서 vir유전자의 발현을 유도시키는 요인들은 Ti 플라스미드 종류, A. tumefaciens와 페놀화합물들의 종류에 따라서 서로 다르다는 결과를 얻었다.

화이트바이오텍기반 방향족화합물 개발에 관한 연구동향 (Research Trend about the Development of White Biotech-Based Aromatic Compounds)

  • 이진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6-315
    • /
    • 2009
  • 원유의 고갈, 반복되는 에너지 위기 및 지구온난화 문제에 기인하여 석유 대신 재생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사용하여 방향족 화학원료를 개발하는 연구가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테크놀로지를 이용한 포도당으로부터 방향족아미노산 생합성경로 중간대사체 및 그 유도체 합성기술은 벤젠유래 화합물을 포함한 많은 방향족 석유화학원료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고는 미생물 대사공학, 생물전환, 화학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hydroquinone, catechol, adipic acid, shikimic acid, gallic acid, pyrogallol, vanillin, p-hydroxycinnamic acid, p-hydroxystyrene, p-hydroxybenzoic acid, indigo, indole 3-acetic acid와 같은 방향족화합물을 어떻게 개발하고 있는지를 논하였다. 또한, 경쟁력있는 화이트바이오텍기반 방향족화합물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문제점 및 해결방안등을 논했다.

사과의 총 페놀함량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otal Phenolic Content in Apple)

  • 황혜정;한완수;윤광로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377-383
    • /
    • 2001
  • 사과에 분포하는 페놀계 물질의 총 함량을 분석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4품종을 각각 5개 지역에서 수집한 20개 종류의 사과를 시료로 가장 효율적인 분석조건을 조사하였다. 천연재료 줌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는 분광광도법인 Foline-Dennis법, Prussian-blue법 그리고 vanillin-HCI법을 각각 시료에 적용하여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chlorogenic acid 상당량으로 산출한 Folin-Dennis법이 사과의 총 페놀 정량방법으로 가장 적합하였다.

  • PDF

Corrosion Inhibition Studies on Low Carbon Steel in Hydrochloric Acid Medium Using o-Vanillin-Glutamine Schiff Base

  • Thusnavis, G. Rexin;Archana, T.V.;Palanisamy, P.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1호
    • /
    • pp.32-40
    • /
    • 2022
  • The o-Vanillin - Glutamine Schiff base [2-Hydroxy-3-Methoxy BenzylidineCarbomyl) -2-Butanoic Acid] was examined for low carbon steel corrosion inhibition in acid media. Weight loss studies were carried out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to determine the inhibition efficiency (IE).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revealed that the charge transfer resistance controlled the corrosion reaction and Tafel polarization indicated that the Schiff base acts as mixed mode of inhibitor. SEM images were recorded for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low carbon steel surface. DFT studies revealed corrosion control mechanisms using quantum chemical parameters such as EHOMO, ELUMO, energy gap (∆E), chemical Hardness (η), chemical Softness (σ), Electronegativity (χ), and the fraction of electron transferred (∆N), which is calculated using Gaussian software 09. The gas-phase geometry was fully optimized in the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B3LYP-6-31G (d)).The DFT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ll the results proved that the Schiff Base (2-Hydroxy-3-Metoxy BenzylidineCarbomyl) -2-Butanoic is a suitable alternative for corrosion inhibition of low carbon steel in acid media.

추황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과피로부터 3종의 저분자 화합물의 단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 Low-molecular Compound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Peel)

  • 이유건;조정용;김찬미;정항연;이동이;김수로;이상현;김월수;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4-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양배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분자수준에서 밝히고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섭취되고 있는 품종 중의 하나인 추황배를 대상으로 배 과피의 MeOH 추출물을 해리성을 이용하여 용매분획하였다. 얻어진 획분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에 초점을 맞추어 open column chromatography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행하여 3종의 항산화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그 결과, BuOH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1을, EtOAc-산성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2를, 그리고 EtOAc-페놀성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3을 단리하고, 각각 NMR 및 MS 분석을 행하여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3은 각각 2-carboxyl 4(1H)-quinolinone (kynurenic acid, 화합물 1), cis-coumaric acid (화합물 2), 그리고 vanillin(화합물 3)으로 동정되었다. 이 3종의 화합물 모두 본 연구에 의해 배로부터 처음 동정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배의 유용성 및 기능성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발효조중의 발효이동에 미치는 phenol 유도체 및 Catechol 유도체의 영향

  • 이경희;이근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8.2-98
    • /
    • 1978
  • 호기성 발효에 있어서, 산소와 charge transfer complex를 형성할 수 있는 phenol 유도체인 guai-acol, vanillin, O-v-anillin 등과 catechol 유도체인 resorcine, adrenaline, dopamin 등이 산소와의 반응에 의하여 효과적인 산소공급 촉진제로서 이용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합성배지중에서 나타내는 산소이동계수(KLQ)를 측정 비교하여 발효공학에의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Phytochemical Constitutes of Artemisia japonica ssp. littoricola

  • Kwon, Hak-Cheol;Lee, Kang-R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94-197
    • /
    • 2001
  • The phytochemical study of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japonica ssp. littoricola (Asteraceae) led to the isolation of two acetylenic compounds, (3R)-dehydrofalcarinol (2) and (3R)-dehydrofalcarindiol (6), two sesquiterpenes, $1{\beta}$, $6{\alpha}$-dihydroxy-4(15)-eudesmene (5) and oplodiol (8), and four phenolic compounds, eugenol (1), vanillin (3), 3'-methoxy-4'- hydroxy-trrans-cinnamaldehyde (4) and p-hydroxyacetophenone (7).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oscopic methods.

  • PDF

주요 침ㆍ활엽수 목초액의 성분분석 (Component Analysis of major Softwood and Hardwood Vinegars)

  • 황병호;조재현;배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21권2호
    • /
    • pp.69-76
    • /
    • 2002
  • 주요 침ㆍ활엽수 목초액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그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침엽수 목초액에서는 리그닌과 추출성분에서 유래하는 페놀성 화합물 즉, vanillin, guaiacol, 3-methylphenol, acetoguaiacone, 1,2-benzendiol, ethylguaiacol, pyroctechol 등이 분석되었다. 탄수화물에서 유래되는 화합물로서는 2-hydroxy-3-methyl-2-cyclopenten-l-one, 3,4-dimethyl-3-hexen-2-one, 6-methyl-3-(1-methylethyl)-2-cycolhexen-1-one 등이 분석되었다. 또한 각 분획 중에서는페놀성 분획에서 많은 종류의 화합물들이 단리되었다. 활엽수 목초액에서도2-methoxyphenol, 2,6-dimethoxyphenol, 1-(4-hydroxy-3-methoxyphenyl)-ethanone, 3-methoxy-4-hydroxybenzylalcohol, 1-(4-hydroxy-3,5-dimethoxyphenyl)-ethanone 등이 리그닌과 추출성분으로부터 유래되는 물질들이 분획되었다. 2-Hydroxy-3-methy1-2, 4-cyclopen-1-one, methyl-4-t-butyl-2-furoate 등은 탄수화물의 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주요 물질이다. 활엽수 목초액에서는 역시 중성, 페놀성, 산성 분획에서 많은 물질들이 분석되었으며, 활엽수 목초액이 침엽수 목초액보다 많은 물질들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종류도 더 많이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