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value

검색결과 1,747건 처리시간 0.032초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사용자 경험 개선과 서비스 제공가치 증진 방안 (Improvement of user experience and service value enhancement using Smart Mirror)

  • 오문석;한규훈;최현준;서영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94-401
    • /
    • 2017
  • 스마트 미러는 기존의 공간에 적용하여 전통적인 기능을 탈피하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발전한 대표적인 기술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미러를 미용 공간에 적용하여 뷰티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서비스 제공가치를 발견하고 가치 증진을 위하여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비스 제공가치 증진을 위한 사용자 경험 연구를 위해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친화도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슈를 도출하였고, 최종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 가치를 도출함으로써 스마트 미러를 통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체험 혁신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novation Strategy of User Experience by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 노형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69-17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사용자 관점의 가치사슬 혁신방안에 있다.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는 동기부여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지속적인 스마트폰 사용이 삶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사용자 체험의 가치제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모형에 대한 검정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정서는 기능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채택되고 있다. 둘째, 긍정적 정서는 감성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셋째, 부정적 정서는 기능적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넷째, 부정적 정서는 기능적 가치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다섯째, 기능적 가치는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채택되고 있다. 여섯째, 감성적 가치는 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기업 간 경쟁에서 상품 자체보다 체험이 핵심 차별화 요소로 대두되며, 많은 선진기업들이 고객 행복과 사용자 체험 개선을 가장 중시하기 시작했다.

중소기업 슈퍼컴퓨팅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 분석 (Economic Value Analysis of Supercomputing Service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 김재성;이상민;김명일;장진규
    • 산업공학
    • /
    • 제23권4호
    • /
    • pp.319-326
    • /
    • 2010
  • The SMB supercomputing service provides a supercomputing infrastructure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SMB)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oduct development activity. In this study, the economic value of SMB supercomputing service is presented. The economic value of service is comprised of a direct and an indirect economic value. A direct economic value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 of user survey on service effectiveness. The input-output analysis method was adopted to estimate an indirect economic value induced from a direct economic value. The future economic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user demand survey is also presented. As a result, the annual and future economic value of service were estimated about 55,215 million won and 323,928 million won, respectively.

소프트웨어 재사용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축기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Builder to support Software Reuse System)

  • 김상근;홍찬기;이경환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324-334
    • /
    • 1995
  • 대부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 모델을 채 택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리 시스템의 구현은 채택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대화 모델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는다. 모델-뷰-콘트롤러(Model-View-Controller : MVC) 프레임웨이 Smalltalk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의 여러 측면에서 기여한 동안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강하게 결합된 모델, 뷰, 콘트롤러 클래스를 가진 MVC를 이 용하여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합은 소프트웨어 부품의 재사용을 방해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VC모델이 갖는 강한 결합력으로 인한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저하를 해 결하기 위해, 상호 작용의 구문적 관리를 하는 다이알로그 객체를 추가하여 사용자로 부터 생성된 메세지가 콘트롤러에 의해 바로 값이 변경되지 않고 다이알로그에 전달 되도록 MVCD모델을 제안하였다. 메세지를 전달받은 다이알로그 객체는 모델 객체의 값 을 변경하기 위해 모델 객체를 호출한다. 모델 객체는 active 값들을 가지고 있기 때 문에 값의 변경은 연결된 콘크롤러 객체에게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콘트롤러 객체는 새로운 값을 변경하고 뷰 객체를 수정한다. 이러한 사용자 대화 모델에 기반을 둔 사 용자 인터페이스 구축기를 X-윈도우상에서 OSF/Motif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 PDF

모바일 리워드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사용자 유형과 성별 그리고 적립금 사용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ed Use of Mobile Rewards Applications: Focused on User Type, Gender and Experience of Using Reserved Value)

  • 김은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605-619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광고로써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리워드 어플리케이션은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모바일 광고인 리워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 특성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그리고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특성에 따라 이용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워드 어플리케이션사용자 성별과 적립금 사용 경험 유무에 따른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이용만족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유형과 사용자 성별에 따른 리워드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이용의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성별과 적립금 사용 경험 유무에 따른 리워드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이용의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는 모바일 리워드 어플리케이션 활성화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베이지안 추정치가 부여된 유사도 가중치와 연관 사용자 군집을 이용한 선호도 예측 시스템 (Preference Prediction System using Similarity Weight granted Bayesian estimated value and Associative User Clustering)

  • 정경용;최성용;임기욱;이정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316-325
    • /
    • 2003
  • 기존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선호도 예측 방법에서는 피어슨 상관 계수에 의해 사용자의 유사도를 구하고, 아이템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기반으로 이웃 선정 방법을 사용하므로 아이템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용자 선호도 예측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베이지안 추정치가 부여된 유사도 가중치와 연관 사용자 군집을 이용한 선호도 예측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에서의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ssociation Rule Hypergraph Partition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장르별로 군집하며 새로운 사용자는 Naive Bayes 분류자에 의해 이들 장르 중 하나로 분류된다. 또한, 분류된 장르 내에 속한 사용자들과 새로운 사용자의 유사도를 구하기 위해 Naive Bayes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평가한 아이템에 추정치를 달리 부여한다. 추정치가 부여된 선호도를 기존의 피어슨 상관 관계에 적용할 경우 결측치(Missing Value)로 인한 예측의 오류를 적게 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기존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사용자 행동 분석 프레임워크 제안 (A Suggestion of User Behavior analysis Framework)

  • 김혜린;이민주;박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03-217
    • /
    • 2017
  • 본 연구는 언어학적 해석 기반의 사용자 중심 디자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그 가치를 증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로 제안된 사용자 행동 분석 프레임워크는 문장구조와 그 성분들 간의 통사구조가 사용자의 상황과 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논리적 근간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행동과 사용자 콘텍스트에 대해 미시적 관점으로 정의와 분류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용자 행동이 목적 지향적 특성의 패턴구조가 있음을 파악하고 이를 전제로 하는 사용자 행동 시퀀스를 구성했다. 다음으로 사용자 행동과 사용자 태도, 사용자 콘텍스트 간의 관계와 의의를 정의하여 사용자 행동 분석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프레임워크의 검증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경험을 수집하고 프레임워크에 항목화를 실시한 사례연구를 진행하고 프레임워크의 연구적, 실무적 효용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현업 실무자들에게 전문가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프레임워크가 가진 정성, 정량적 분석 틀로서의 가치를 증명하였고 향후 개발방향을 수립할 수 있었다.

정보기술수용모형(TAM) 관점에서 본 웹사이트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of Web Sites: With a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이경아;이주헌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19-30
    • /
    • 2001
  • With the e-business paradigm emerging, the website became a critical resource for most corporations. However, the amount of value creation through internet is still in question. This paper shows the result of an exploratory study on website assessment, following the tradi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e viewed the intended usage as the value of the website and added such factors as playfulness, commitment,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security as external variables of the model. Website types, visiting purposes, and the user system quality were included as moderators. The website value could differ depending on website types, purposes of the use and system quality. In the case of internet shopping malls, playfulness, compatibility, website quality were identified as key influencers, while for stock trading users, however, commitment and security factors are more important. In terms of user purposes, information search requires both the compatibility and the website quality. Also the website quality was strongly affected by the user system quality. In other words, any investment of upgrading the website system quality can be meaningless unless the user system quality is improved as well. For each variable considered, empirical results are discussed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PDF

사용자 가치 기반에 의한 교육용 모바일 앱의 UX디자인 설계전략 (UX design strategy for Education Mobile app based on User Value)

  • 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386-1392
    • /
    • 2017
  • 디지털 미디어의 활용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UI/UX에 대한 관심 및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교육용 모바일 앱 개발 시 가치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디자인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비자 가치 분석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평가모형의 주요 요인들은 소비자의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에 앱 개발 시 기존 애자일 방식의 개발 단계에 사용자 가치 분석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평가 주요 요인들을 반영하게 되면 최적의 UX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앱은 소비자에게 만족감을 높여주게 되어 지속적인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수용자 집단별 혁신제품 확산 및 지속사용의도에 대한 영향 (Analysis on the Diffusion and the Intention to Use among Technology Adopter Categories)

  • 한상연;배성주;박세범;마은정;한혜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5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diffusion and the intention to use, and how these factors differ among adopter categories. A survey was done to analyze the diffusion of smart-phone, the most popular and innovative product nowdays. We collected 197 survey questionnaires from smart-phone user and analyzed the data using SPSS 18.0 and Smart PLS 2.0. PLS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 was implemented before multiple group-innovator, early adopter, eraly majority- analysis which is categoriezed by Innovation Diffusion Model of Rogers (1995). The results show that firstly, in innovator group (n=63), the functional and the safety valu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user satisfaction and the brand loyalty are significat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use. Secondly, in early adopter group (n = 67), the design value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it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Finally, in early majority group (n = 67), the design value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user satisfaction and it has stronger effect on the intention of use and brand loyalty. We conclude this paper with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o both academia, business practice, and policy ma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