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authentication

검색결과 1,424건 처리시간 0.032초

사용자 인증시스템의 인증결과 예측을 위한 바이오정보의 품질평가기법 (A Quality Assessment Method of Biometrics for Estimating Authentication Result in User Authentication System)

  • 김애영;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2호
    • /
    • pp.242-24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인증시스템에서 인식결과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품질평가모델을 설계하고 분석한다. 제안하는 품질평가기법은 다중고유얼굴 정보에 T-검정과 같은 소표본 분석법을 적용하여 CIMR(Confidence Interval Matching Ratio)이라는 품질 값이 결과로 나타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 CIMR 기반의 품질평가기법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바이오정보간의 차별성이 잘 나타나는지 향후 보편화될 멀티바이오정보 환경을 고려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획득한 바이오정보의 인증결과에 대한 예측가능성 실험은 T-검정기반의 CIMR에 내포되어있는 평균 $\bar{X}$ 와 분산 $s^2$을 이용하였으며, 사용자인증 결과에 대한 예측은 최대 88%정도의 정확도를 보인다.

강력한 패스워드 상호인증 프로토콜 (Strong Password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 윤은준;홍유식;김천식;유기영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1호
    • /
    • pp.11-19
    • /
    • 2009
  • 최근, 인터넷과 같이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환경에서, 사용자 인증은 비밀성과 무결성 보장을 위해 보안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패스워드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비용과 효율성 측면에서 갖는 장점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용자 인증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해쉬 함수를 사용한 강력한 패스워드 상호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제안한 인증 프로토콜은 기존의 관련 프로토콜들과 비교하여 보다 많은 보안성과 효율성을 제공하여 주어, 인터넷 인증 프로토콜로 실용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RADIUS 프로토콜의 향상된 인증기법 (Improved authentication mechanism of the RADIUS protocol in the Internet of Things)

  • 김영세;한근희;김기천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6
    • /
    • 2016
  • 사물인터넷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람, 사물, 공간 등 모든 것들(Things)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객체간의 정보가 수집, 공유, 활용되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다. 현재 헬스케어, 스마트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이며 사물인터넷 환경에 지리적 공간과 인터넷 간의 연결성을 강조한 만물인터넷의 개념도 등장했다. 사람, 사물 등 각 객체간의 연결성이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효율적이고 안전한 인증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람, 사물 등 객체간의 상호인증을 위한 개선된 RADIUS(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안드로이드에서 앱 사용과 터치 정보를 이용한 행위 기반 사용자 인증 기술 연구 (A Study of Behavior Based Authentication Using Touch Dynamics and Application Usage on Android)

  • 김민우;김승연;권태경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361-371
    • /
    • 2017
  • 스마트폰 기기 내에 저장되는 사용자 정보가 다양화되어 개인정보에 대한 위협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패턴 잠금, 지문 인식 등 다양한 사용자 인증 기술이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있으나 사용자 의존적, 거부감 유발 등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행위 기반 인증은 기기 사용과 동시에 인증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나 타 인증 기술에 비해 정확도가 낮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꾸준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앱 사용 정보를 새로운 인증 요소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제 앱 사용 상황을 고려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제안 기술의 성능을 상세하게 분석한다.

A Study on Multibiometrics derived from Calling Activity Context using Smartphone for Implicit User Authentication System

  • Negara, Ali Fahmi Perwira;Yeom, Jaekeun;Choi, Deokja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2호
    • /
    • pp.14-21
    • /
    • 2013
  • Current smartphone authentication systems are deemed inconvenient and difficult for users on remembering their password as well as privacy issues on stolen or forged biometrics. New authentication system is demanded to be implicit to users with very minimum user involvement being. This idea aims towards a future model of authentication system for smartphones users without users realizing them being authenticated. We use the most frequent activity that users carry out with their smartphone, which is the calling activity. We derive two basics related interactions that are first factor being arm's flex (AF) action to pick a phone to be near ones' ears and then once getting near ear using second factor from ear shape image. Here, we combine behavior biometrics from AF in first factor and physical biometrics from ear image in second factor. Our study shows our dual-factor authentication system does not require explicit user interaction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alleviating burden from users from persistent necessity to remember password. These findings will augment development of novel implicit authentication system being transparent, easier, and unobtrusive for users.

마우스 제스처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사용자 인증 인터페이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Commerce User Authentication Interface using the Mouse Gesture)

  • 김은영;정옥란;조동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469-480
    • /
    • 2003
  • 정보화 사회라고 할 수 있는 현 사회에서 정확한 사용자 인증 기술은 가장 중요 이슈가 되고 있다. 대부분 인증 기술은 시스템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신분확인을 수행하는 기술로써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대부분 지불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신용카드와 계좌이체를 기본으로 한 전자상거래 쇼핑몰을 구축하고, 전자화폐가 가지고 있는 위조와 도난의 위험을 보완할 수 있는 소유하는 것에 대한 인증으로 결제 단계에서 마우스 제스처(Mouse Gesture)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인터페이스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마우스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패턴의 고유값이 학습알고리즘을 통해 저장된 결과 패턴의 값들과 비교를 하여 인지의 성공 여부를 화면에서 바로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쇼핑몰을 통하여 물품을 구입하고 대금 결제 시에 지불정보와 함께 사인정보를 함께 입력하면 전자화폐가 가지고 있던 도난이나 위조에 대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텔레메틱스 환경에서 이동성과 보안성을 고려한 지문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gerprint-based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Considering both the Mobility and Security in the Telematics Environment)

  • 김태섭;오룡;이상준;이성주;김학재;정용화;조충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11A호
    • /
    • pp.1128-1137
    • /
    • 2007
  • 최근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차량에서 무선 단말을 이용하여, 유선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텔레메틱스 환경이 실현되고 있다. 텔레메틱스 환경 구축에 앞서 선결해야 하는 문제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보안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증의 문제, 보안성과 이동성의 상충성, 인증의 가용성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텔레메틱스 환경 구축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서는 차량에서 사용자의 인증이 용이하고 분실, 도난 망각의 위험이 없는 생체정보(지문정보)를 이용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기 위한 임시키(Session Key)를 생성하기 위한 마스터키(Master Key)분배가 이루어진다. 특히, 이동성을 고려하여 보안상 취약점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위하여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간의 인증정보를 보다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또한 텔레메틱스의 여러 환경 중 무선랜 환경에서 제안한 프로토콜을 구현하였고, 제안한 프로토콜에 대한 다양한 공격으로부터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다중서버 환경에서의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상호 익명 인증 (Mutual Anonymous Authentication Using Smart Cards in Multi-server Environments)

  • 유혜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2C호
    • /
    • pp.1021-1028
    • /
    • 2008
  •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가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요청할 때,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스킴은 사용자의 적격성을 입증하고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는 매우 실용적인 기술이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 환경에서 네트워크와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서비스는 다중서버 환경으로 변화되었으며, 이는 점점 더 가속화 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다중서버 환경을 지원하는 상호 익명성 제공 인증에 대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 중에서 다중서버 환경을 지원하며, 동시에 서버와 사용자 간의 상호 인증 및 상호 익명성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계산량 측면에서 효율성을 취하고, 사용자는 한 번의 등록으로 등록한 서버에 관계없이 서버 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원격 서버에게도 안전한 익명성을 제공받으면서 서버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A Security Assessment on the Designated PC service

  • Lee, Kyungroul;Yim, Kangbi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1-66
    • /
    • 2015
  • In this paper, we draw a security assessment by analyzing possible vulnerabilities of the designated PC service which is supposed for strengthening security of current online identification methods that provide various areas such as the online banking and a game and so 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designated PC service and online identification methods. Online identification methods authenticate an user by the user's private information or the user's knowledge-based information, though the designated PC service authenticates a hardware-based unique information of the user's PC. For this reason, high task significance services employ with online identification methods and the designated PC service for improving security multiply. Nevertheless, the security assessment of the designated PC service has been absent and possible vulnerabilities of the designated PC service are counterfeiter and falsification when the hardware-based unique-information is extracted on the user's PC and sent an authentication server.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possible vulnerabilities of the designated PC service and draw the security assessment.

스마트 카드 분실 공격에 안전한 사용자 인증 스킴의 취약점 및 개선방안 (Weaknesses and Improvement of User Authentication Scheme against Smart-Card Loss Attack)

  • 최윤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5-101
    • /
    • 2016
  • 최근에는 인터넷 및 통신망 기술의 발달과 함께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와 더불어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을 적법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 및 센서에 대한 인증기술에 대한 중요성도 커져가고 있다. 처음으로 Das가 스마트 카드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인증 스킴을 제안한 이후로, 취약점 분석 및 안전한 인증기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 Chen 등은 스마트 카드 분실 공격에 안전한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Chen 등이 제안한 스킴은 효율적이지만 여전히 완전 순방향 비밀성 미보장, 익명성 미보장, GW에 의한 세션키 노출 문제와 패스워드 검사가 제공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취약점들이 분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출 기술, 타원곡선 암호, 동적 ID 기술 등을 스킴에 적용하여, 보안성이 향상된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고, 제안하는 스킴의 안전성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