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authentication

검색결과 1,423건 처리시간 0.035초

핀테크 환경에서 보안 키패드와 생체인증을 이용한 1.5-factor 인증 기법 (1.5-factor Authentication Method using Secure Keypads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in the Fintech)

  • 문형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1호
    • /
    • pp.191-196
    • /
    • 2022
  • 핀테크 환경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한 금융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안전한 금융거래를 위해 사용자 인증 기술이 필수적이다. 기존 보안 키패드를 통한 PIN 인증은 입력 편리성이 좋지만, 보안성이 떨어지고 취약점이 존재한다. 생체인증 기법은 보안성이 안전하지만 오탐 및 미탐 인증 가능성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2-factor 인증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인증 기법을 적용한 PIN 입력을 통해 편리성과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1.5-factor 인증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문인증의 안정성과 2~4번의 PIN 입력을 통해 편리성을 제공하여 안전한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제안기법은 PIN 입력 시 생체인증을 동시에 수행하므로 PIN 입력할 때 터치하는 영역에 지문인식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보안이 요구되는 경우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추가적인 PIN 입력을 통해 입력 편리성을 보장하면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안전한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을 위한 보안성이 향상된 프라이버시 보호형 two-factor 인증 프로토콜 (Security enhanced privacy-aware two-factor authent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최윤성;장범환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1-84
    • /
    • 2019
  • Various researchers conducted the research on two-factor authentication suitabl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after Das first proposed two-factor authentication combining the smart card and password. After then, To improve the security of user authentication, elliptic curve cryptography(ECC)-based authentication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Jiang et al. proposed a privacy-aware two-factor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ECC for WSM for resolving various problems of ECC-based authentication protocols. However, Jiang et al.'s protocol has the vulnerabilities on a lack of mutual authentication, a risk of SID modification and a lack of sensor anonymity, and user's ID exposed on sensor nod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security enhanced privacy-aware two-factor authent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to solve the problem of Jiang et al.'s protocol, and security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roposed protocol.

IEEE Std 802.1x 사용자 인증을 위한 분할된 패스워드 인증 기반 EAP (EAP Using Split Password-based Authenticated Key Agreement Protocol for IEEE Std 802.1x User Authentication)

  • 유종호;서동일;염흥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27-43
    • /
    • 2005
  • EAP(Extenwsible Authentication Protocol)는 IEEE Std 802.1x 무선 근거리 통신망 및 RADIUS/DIAMETER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각 개체에 대한 인증을 제공하며 인증의 수단으로 인증서, 패스워드, 이중방식(패스워드 및 토큰)등을 이용한다. 인증된 키교환을 위한 패스워드 기반 인증 방식은 특정 하드웨어 장치 없이도 암기하기 쉬운 간편성, 편리성, 이동성으로 인해 상당히 많이 이용되는 사용자 인증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사용자를 인증하고 안전한 암호통신용 세션키 교환에 적합한 패스워드 기반 인증된 키교환 프로토콜 SPAKE(Split Password-based Authenticated Key Exchange)을 제안한다. 더불어 제안된 SPAKE를 토대로 안전한 EAP 인증 프레임워크 EAP-SPAKE를 제시한다.

  • PDF

해시 체인 기반 일회용 키를 이용한 하둡 보안 프로토콜 설계 (A Design of Hadoop Security Protocol using One Time Key based on Hash-chain)

  • 정은희;이병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340-349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전송공격과 가장 공격을 방지할 수 있는 하둡 보안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하둡 보안 프로토콜은 사용자 인증 모듈, 공개키 기반 데이터노드 관리 모듈, 네임노드 인증 모듈, 그리고 데이터노드 인증 모듈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증모듈은 인증서버에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한 후에 TGS로부터 임시접속 ID를 발급받고, 공개키 기반 데이터 노드 관리 모듈은 네임노드와 데이터 노드간의 비밀키를 생성하고, 해시체인기법으로 OKTL(One-Time Key List)를 생성한다. 네임노드 인증 모듈은 임시접속 ID로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DT(Delegation Token)와 BAT(Block Access Token)를 사용자에게 발급해주고, 데이터 노드 인증 모듈은 BAT의 OwnerID을 검증하여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암호화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제안하는 하둡 보안 프로토콜에서는 OTKL, timestamp, OwnerID을 이용하여 데이터 노드의 비밀키 노출을 대비할 뿐만 아니라 재전송 공격과 가장 공격을 탐지하고, 데이터 노드의 데이터 접근을 강화시키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달함으로써 데이터 보안을 강화시켰다.

AAA시스템에서의 이동에 따른 PIN 기반의 인증 및 ID 등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IN-based Authentication and ID Registration by Transfer in AAA System)

  • 강서일;이임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3호
    • /
    • pp.359-368
    • /
    • 2006
  •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는 인증, 인가 그리고 과금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AAA가 필요하다. 모바일 단말기 인증 과정은 외부 네트워크의 인증 서버를 통해 홈 네트워크의 인증 서버에 접근하여 인증 결과를 외부 인증 서버가 통보 받는다. 이후 홈 인증 서버는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 에이전트, 사용자 그리고 홈 인증 서버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사용될 키가 분배된다. 본 논문은 모바일 단말기가 외부 네트워크의 이동시 외부 인증 서버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키 분배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외부 인증 서버간의 이동시에 홈 인증 서버로부터 인증을 재발급 받지 않으므로 홈 인증 서버의 과부화를 줄일 수 있고, PIN 기반을 이용하여 키를 분배한다.

유한체의 부분군을 이용한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프로로콜 설계 (Design of an Efficient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subgroup of Galois Field)

  • 정경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05-113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증가되고 있는 사이버스페이스 상에서의 다양한 전자상거래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거래하기 위하여 유한체 부분군 기반의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Lenstra와 Verheul에 의해 제안된 XTR은 짧은 키 길이와 빠른 연산 속도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잡한 연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문제 도메인을 기존의 유한체인 GF($p^6$)을 사용하지 않고, GF($p^6$)의 부분군인 GF($p^2$)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XTR-ElGamal기반의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XTR-ElGamal 기반의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은 유한체 상의 부분군들을 이용함으로써 키 교환 시 요구되는 키의 비트 수를 줄였다. 또한 계산 시 필요한 오버헤드를 줄여 빠른 계산과 실행을 제공하였다. XTR기반에서 사용자 인증을 하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한 인증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통신량과 계산량이 적게 요구되는 환경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OpenID 기반의 사용자 인증 기법 (OpenID Based User Authentication Scheme for Multi-clouds Environment)

  • 위유경;곽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7호
    • /
    • pp.215-223
    • /
    • 2013
  • 클라우드 컴퓨팅이 활성화됨에 따라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각각 서로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각각의 서비스에 개별적인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절차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거듭된 인증 과정 수행으로 인한 비밀번호 노출, 각 클라우드 서버마다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소유해야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과부하, 서비스마다 각기 다른 인증방법과 개인정보 입력방법으로 인한 피싱공격 등의 보안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의 자격증명을 신뢰할 수 있는 ID제공업체에 의해 티켓을 제공받아 안전하게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OpenID 기반의 사용자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익명성을 제공하는 스마트카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 (Anonymous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with Smart Card)

  • 김세일;이현숙;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39-144
    • /
    • 2007
  • 인터넷의 급성장과 정보화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개인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의 요구에 발맞춰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여러 기술들이 제안되어 지고 있다.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에 대한 연구에서도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일환으로 사용자 익명성 제공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04년 Das et al.는 동적 아이디를 사용함으로서 처음으로 사용자의 익명성을 제공한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로그인 단계에서 서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지 못했다. 2005년 Chien et al.은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는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지만 제3자에게만 안전한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서버간의 상호 인증을 만족하며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위해 제3자뿐만 아니라 원격서버에게도 안전한 익명성을 제공하는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멀티서버를 위한 안전한 동적 ID 기반 원격 사용자 인증 방식에 대한 안전성 분석 (Security Analysis of a Secure Dynamic ID 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for Multi-server Environment)

  • 양형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73-278
    • /
    • 2013
  • 최근에, 멀티서버 환경을 위한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식이 실질적인 응용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2009년도에 Liao-Wang은 멀티서버를 위한 안전한 동적 ID 기반 원격 사용자 인증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 방식은 여러 종류의 가능한 공격에 안전하면서 사용자 익명성 보장하였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Liao-Wang의 방식에 대한 안정성을 분석하고, Liao-Wang의 방식이 위조 공격, 패스워트 추측 공격, 세션키 공격 그리고 내부자 공격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로 Liao-Wang의 방식이 사용자와 서버간의 사용자 익명성 역시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인증 수준에 의한 서비스 접근제어 프로토콜 (POSCAL : A Protocol of Service Access Control by Authentication Level)

  • 유성민;최석진;박준후;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1509-15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에서 유연한 인증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모든 서비스에 동일한 수준의 인증을 요구하기 보다는, 사용자 인증 시점에 인증 수준을 파악하여, 동적으로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편리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로컬 인증정보를 바탕으로 인증 수준에 따라 서비스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POSCAL (A Protocol of Service Access Control by Authentication Level)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인증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인증 프레임워크의 기능 검증을 위해 POSCAL 인증 프레임워크 기반의 전자지갑 서비스를 개발하였고, 유즈케이스(Use Case)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구현 기능을 평가했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사용자 및 메시지 인증, 인증정보의 기밀성, 인증 내역의 무결성, 인정 내역에 대한 부인방지, 보안 요구수준에 따른 서비스별 접근제어를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