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d Onggi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Earthenware Containers Affected by Soy Sauce Fermentation Use

  • Seo, Gyeong-Hee;Yun, Jung-Hyun;Chung, Sun-Kyung;Park, Woo-Po;Lee, Dong-S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168-172
    • /
    • 2006
  • Soy sauce was fermented at $20^{\circ}C$ for 100 days in onggi containers (ethnic Korean earthenware) which had been fabricated using three different glazing treatments: unglazed, glazed only on the outside, and glazed on both surfaces. The changes in microstructure and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onggi containers were examined after fermentation of soy sauce. The effect of repeated use of onggi containers on the fermentation was analyzed by the contact between an aqueous model solution and the onggi containers used once for soy sauce fermentation. The levels of reducing sugar and free amino acids produced from the dissolved starch and protein, respectively, in the solu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new and reused onggi containers. The moisture permeance and gas permeabilities of the onggi jars were progressively reduced with continuing use for soy sauce fermentation, probably due to clogging of micropores by solid materials. After having been used once for fermentation, the microbial cells and/or enzymes immobilized on the surface or in the micropores of the onggi containers seemed to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 hydrolytic reactions of starch and protein.

옹기의 재 사용이 어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use of Onggi Containers on the Quality of Anchovy Soy Sauce)

  • 정순경;최동만;정용면;신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3-229
    • /
    • 2010
  • 20 L 부피의 발효용기에서 어간장을 발효하면서 용기의 내부 온도 변화와 염도, pH, 산도, 총질소, 유리아미노산, 미생물 변화를 분석하였고 4개월 발효후의 어간장의 관능적 품질을 평가하였다. 발효용기로는 새 옹기와 재사용한 옹기, 스테인레스,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였고 발효숙성은 외기조건에서 이루어졌다. 옹기가 가지는 통기성 및 보온성으로 인하여 발효 중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육환경을 적절하게 조성하여 여러 가지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옹기는 새 것보다는 재사용한 옹기에서 제품의 발효에 좋은 영향을 미쳐서, 높은 총질소, 유리아미노산함량, 향, 맛 전체적인 수용도의 관능적 품질을 보여주었다.

옹기가 빵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ggi on Bread Quality)

  • 정순경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16
  • 빵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반죽을 담는 용기를 기존에 사용하는 스테인레스 용기 대신 옹기를 이용하면 어떨까? 빵을 굽는 과정에서 철판이 아닌 옹기판을 사용하면 빵 맛에 영향을 미칠까? 하는 고민을 해보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하였다. 결과는 발효실에서 옹기의 특성이 그대로 반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옹기의 장점 중 하나인 보온성이 발효실 내부 온도와 더욱 가깝게 유지되며 반죽의 표면온도와 중심온도가 일치되는 시간이 스테인레스 용기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따라서 반죽의 전체온도를 낮은 편차에서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발효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구운 후 제품의 부피와 표면 색상이 철판보다는 옹기판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관능평가 역시도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옹기를 사용함으로써 발효식품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듯이 빵을 만드는 과정에서도 옹기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더욱 더 좋은 품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옹기 화병이 절화 거베라의 수명 및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thenware Vase on Vase Life of Cut Gerbera Flowers and Microbial Multiplication)

  • 임영희;오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10-115
    • /
    • 2011
  • 미세다공성의 옹기 화병의 절화수명 연장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거베라 절화를 식물재료로 하여 관행의 자기 및 유리 화병과 절화수명을 비교하였다. 수돗물과 절화보존제가 들어있는 유리, 자기, 옹기 화병에 거베라 'Honeymoon'과 'Golden Time'을 꽂고 절화수명과 미생물 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품종 모두 옹기 화병에서 절화수명이 길었으며, 절화보존용제가 수돗물에 비해 절화수명을 연장시켰다. 특히 절화보존제를 넣은 옹기 화병에서 두 품종 모두 절화수명이 14일 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누적 흡수량은 절화보존용제를 넣은 옹기 화병에서 'Honeymoon'이 19.2mL, 'Golden Time'이 15.8mL로 가장 많았다. 생체중은 대체로 옹기에 꽂은 절화가 다른 재질의 화병에 꽂은 것에 비해 컸으며, 절화보존제 처리가 생체중 감소를 지연시켰다. 특히 옹기에 절화보존제를 처리한 경우 처리 8일 후에도 초기 생체중의 89% 수준을 유지하여 수분 흡수가 원활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수 측정 결과, 'Golden Time'은 옹기 화병 내의 보존용액의 총균수가 다른 재질의 화병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Golden Time'의 총균수는 8일째 옹기 화병 내의 보존용액에서 435cfu/mL 정도로 자기나 유리 화병 내의 보존용액보다 20-30%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옹기 화병은 보존용액 내 미생물의 증식을 지연시켜 절화 거베라의 물올림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도관 폐쇄에 의한 화경굽음 현상이 억제되었고, 절화수명도 길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세다공성의 옹기는 화병의 좋은 재질이며, 절화보존제는 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발효 담금 용기에 따른 어간장의 숙성 중 품질변화 (Effect of Fermentation Vessel on Quality of Anchovy Soy Sauce)

  • 정순경;이광수;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33-239
    • /
    • 2004
  • 발효식품 담금 용기로 사용되고 있는 유리, PP, PET, 스테인레스 용기와 흙으로 제작된 옹기에 간장을 각각의 용기에서 발효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물리, 화학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발효식품 담금 용기에 따른 품질 특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발효조건은 3$0^{\circ}C$ 발효실에서 4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저장 중 수분손실은 기공이 있는 옹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염 함량은 용기별 차이는 미미하였다. pH의 경우 옹기를 제외한 다른 용기는 초기부터 끝까지 거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나 옹기는 3개월 째 급격하게 낮아졌다. 이는 기공율에 의해 미생물의 활발한 증식과 이에 따른 산도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현상은 발효식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도는 초기 0.6%에서 최고 0.9%까지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총질소량은 다른 용기에 비해 옹기에서 높게 나타났고, 핵산은 옹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맛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실제 관능검사 결과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군의 변화는 호기성 세균인 총균수는 높은 균수를 보였으며 발효 2개월째 가장 높은 균수를 보이다 그 이후 감소하였다. 젖산균과 효모는 3개월 이후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Protease 활성 역시 옹기발효 처리구에서 강한 활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아미노산의 분석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맛에 관여하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옹기발효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이러한 결과는 관능검사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제주옹기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프린트 문양 및 문화상품 개발 (The Development of Print Patterns and Cultural Products Using the Local Culture Resource of Jeju Onggi as a Design Motif)

  • 김혜성;유희주;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89-707
    • /
    • 2018
  • This study reviewed the differences among Onggis made in Jeju and other areas, developed creative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and conducted the consumer evaluation of developed products. First, the 1,063 photos of Onggis made before the first part of the 20th century were collected and the unique differences of Jeju Onggis were confirm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collected photos. Second, based on the uniqueness of Jeju Onggis, the eight pieces of Jeju Onggis were selected from the photos and used as pattern design motifs. Nine basic patterns were drawn and ten textile designs were created using the basic patterns. Third, the 16 pieces of textile products were made with cotton fabrics on which the textile designs were printed. Four mugs and four tumblers with printed patterns were also made. Finally, 64 students evaluated the developed products using a 7-point scale. As a result, folksy atmosphere, uniqueness, usage as a Jeju souvenir and at local restaurants, and the role of fostering concern for Jeju Onggi were highly evaluated but aesthetics was rated relatively low. Most of the developed products were highly preferred and recommended as Jeju souvenirs or for local restaurants.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효된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 이은지;박소은;최혜선;한귀정;강순아;박건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93-799
    • /
    • 2010
  • 김치를 기체 투과도가 조절된 플라스틱 용기, 시유옹기, 유리병을 사용하여 각각 발효하였을 때, 그 품질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5^{\circ}C$에서 8주간 발효하면서 관찰하였다. 다른 용기에 보관한 김치에 비해,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의 pH 감소가 적었으며, 산도 역시 8주 후에 0.99로 나타나 증가율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미생물수의 변화를 보면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가 총균수의 증가는 적고, 유산균의 증가는 높게 나타나 김치의 발효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김치 조직의 탄성은 역시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에서 그 감소폭이 가장 적었으며, 적숙기인 3-4주차 때에는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와 유리병에 보관한 김치간의 탄성 차이가 10%정도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도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효한 김치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질감 및 외관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점수가 높았다.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한 김치의 항산화 효과는 다른 용기에 보관한 김치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용기별 기체투과도에 있어서도, 시유옹기에서 $O_2$, $CO_2$ 투과력이 각각 $10\;mmol\;h^{-1}\;m^{-2}\;atm^{-1}$, $13.7\;mmol\;h^{-1}\;m^{-2}\;atm^{-1}$,이었는데 비해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가 $458\;mmol\;h^{-1}\;m^{-2}\;atm^{-1}$, $357\;mmol\;h^{-1}\;m^{-2}\;atm^{-1}$, 로 더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전통적으로 김치발효 용기로 사용된 옹기와 유사한 결과이며, 따라서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는 김치 발효에 적합한 용기이며, 앞으로 김치의 보관 및 발효에 있어서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교 일반 교실 가구 개선을 위한 현황 및 제품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Product Analysis for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 Furniture)

  • 문선욱;김자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93-105
    • /
    • 2017
  •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s a space where children spend a long time during the day, during the six years of childhood, in which children are emotionally sensitive and emotionally import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lassroom that can develop emotion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However,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Korea has less change in the classroom envir- onment than in the rapidly changing curriculum, and classrooms and furniture considering emotional development are hard to fin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for classroom furniture of elementary school, presents problem and consideration condition of present classroom furniture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classroom in Korea and child development characteristic of school age, and proposes the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classroom furniture products. To do this, we checked the physical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ges 8 to 13, confirmed the use of the classroom furniture in 10 schools located in Seoul, Gye- onggi and Incheon, analyzed the problems of these furnitu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hape, material, and color of the products of 32 domestic companies teaching tools manufacturers focusing on desks, chairs, lockers, and teaching aid box that are commonly used in classrooms. Through thi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ideal classroom furnitur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