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preference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초

기내인터넷 이용자의 이용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ttitude toward In-flight Internet Usage)

  • 박광식;김혜연;손원목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35-51
    • /
    • 2006
  • 1990년대 하반기 이후 고유가와 지속적인 세계 경기침체에 이어 2000년대 초반 이후 9.11 테로와 이라크전을 거치면서 침체되었던 항공운송산업은 2004년 하반기부터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항공운송산업의 수요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항공사의 대고객서비스 투자 또한 더욱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들어 전세계적으로 선두 그룹에 속해있는 몇몇 대형항공사들이 기내인터넷 상용화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국내 항공사들도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기내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개시하였다. 항공기내에서 인터넷이 상용화되기 시작하면서 기업입장에서 수익에 근거한 수요조사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DEA와 컨조인트 분석을 결합한 모형을 이용하여 항공기에 새롭게 도입되는 기내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이용자가 중요하게 고려하는 속성과 그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기내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속성별 상대적 중요도를 추정한 결과 소비자들은 전송속도, 정보접근성, 컨텐츠 품질, 요금제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이 기내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속성을 추출하고, 각 속성의 중요도 및 속성수준의 부분가치, 최선의 대안을 탐색함으로써 기업이 기존에 설계하고 있는 기내인터넷의 전략적 접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여자 중학생의 SNS 이용동기가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 on Self-control by Usage Motivation of SNS among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 신기수;조미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0-188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s to use social media and self-control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o collect the data, 300 female students of S and E middle school in S city responded t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ir motivation for social media use and self-contro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average time spent on social media was 3.70 hours. The mean scores of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and self-control were 48.15 and 58.47, respectively. The more average time spent on social media, the higher was the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The scores of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were higher in students with low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and family life. Students with low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life had higher scores in some subcategories of self-control; preference to simple task, egocentrism, and stroppiness. Motivations to use social media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ntrol. Self-control was affected by motivations to use social media and this variable explained 11.6% of self-control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develop programs which help improve students' self-control and prevent the sid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의미에 따른 선호 서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ferable font by meaning)

  • 신윤진;홍정표;양종열
    • 감성과학
    • /
    • 제8권4호
    • /
    • pp.375-384
    • /
    • 2005
  • 서체는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느낌을 주고 있다. 적절한 서체의 선택은 내용의 의미를 더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람들은 일반적인 습관이나 경험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과 관련된 서체들의 사용은 그 내용의 의미를 확대시켜 준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글의 의미나 연령, 성별, 대상, 문화적 환경 등에 따라 서체를 다르게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서체 선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서체 선택에 대한 기준이나 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의미가 있는 문장이냐 의미가 없는 문장이냐에 따라 서체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와, 의미가 있는 문장인 경우에 긍정적 의미의 문장이냐 부정적 의미의 문장이냐에 따라 서체 선호도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서체 사용자에게는 의미에 따라 다르게 서체를 사용해야 하는 지침을 제공하며, 서체 제작자에게는 서체 개발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기여하리라고 본다.

  • PDF

대도시 주거용 건물의 벽면녹화에 대한 인식도 및 실태 조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A Surve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nd the State of Facade Greenery of Residential Buildings in Metropolitan -A Case Study of Seoul-)

  • 이은희;김용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81-19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sage of facade greener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cities and to improve their ecological worth.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at people think about facade greenery, what problems they think, they might encounter and to promote the use of facade greenery. The survey was grouped according to three housing types; family house, tenement house and apartment.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individually to 140 people in each of the three housing types. All 420 people answered. The major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relate to the following issues: opinions about facade greenery, opinions regarding reasons to install facade greenery and expected problems, favourite plants, and to provide an analysis of the current usage of facade green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people like facade greenery and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inds of responses from the three types of hous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affect respondents' positive preference for facade greenery is that it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nature near the hous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aesthetic appeal of facades for those living in apartment housing. Negative responses were based on the inhabitation of insects, and the difficulties in maintaining facade greenery. The favourite plants are parthenocissus and climbing rose. Generally people were lacking in an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value of facade greenery. Most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a liking for facade greenery and so the situation is now suitable to promote it.

  • PDF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Traits on Airline Untact Check-in: Focusing on Mobile Check-in User

  • YANG, Jae-Pil;PARK, Sang-Beom
    • 산경연구논집
    • /
    • 제12권1호
    • /
    • pp.15-30
    • /
    • 2021
  • Purpose: Year of 2020, COVID-19 has been changing the people's everyday life to ways never been thought of before all over the world. The IT and electronic industry, the methods of supplying goods and services have been changed from contact to un-tact environments based on un-tact systems very rapidly. COVID-19 has been striking the tourism and the travel industry, especially the airline and hotel industry of which services are provided by human. For the passenger service of airliner, automation has been propelled and un-tact style of service has become mainstreams except cabin service since 2000's. For passenger transportation, due to traffic regulations and exclusions etc., switching to new ways is not easy. However, under the new environment made by COVID-19, kiosk check-in, web check-in and mobile check-i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irline customers using mobile goods are investigated to find ways to raise the rate of utilizing mobile check-in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boarding proc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Considering the COVID-19 environment, survey was done by online research company.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to integrate the user characteristics and usage/purchase motive and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Especially considering infectious diseases prevention, concern of safety is adopted as one of the usage motive variable. Results: Extraversion or conscientiousness characteristics prefers counter check-in(contact service), while openness characteristics prefers mobile check-in(un-tact service). Concern of safety for infectious disease shows strong non-preference on counter check-in. Conclusions: Regarding service type regardless of type of the industry, automation and un-tact have been mainstreams due to high costs of labor, efficiency and standardization issue, etc., and COVID-19 has given impetus to them. For airliner, un-tact service including boarding process service has been more and more important. To raise the rate of un-tact service 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should be analyzed first.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for extraversion or conscientiousness, some kinds of methods to induce them to use un-tact service more are needed.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D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tus of e-Books Usage in Small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the D University Library)

  • 김진영;한상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429-44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통해 소규모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관련 정책과 이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지방의 한 소규모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59명의 유효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종이책과 전자책의 선호도에서 아직은 전자책의 선호도(12%)보다 종이책의 선호도(71%)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자책을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경우 전자책의 이용 만족도(45.6%)가 종이책의 이용 만족도(27.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자책을 일반독서 용도로 사용할 때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 기기는 태블릿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소규모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책서비스 운영 정책 및 홍보 계획의 수립, 이용자에게 친숙한 전자책서비스 이용 환경의 제공, 다양한 주제의 전자책 확보, 전자책 이용 목적에 부합하는 전용 단말기의 제공, 대학 간 전자책 공동 이용 연합체의 구성 등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Z세대 대학생들의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코로나19의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book Usage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y by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Impact of COVID-19)

  • 장수현;박윤서;남영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81-20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Z세대 대학생들의 전자책 이용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 독서 행태를 조사하고, 코로나-19로 인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자책 인지 및 이용, 전자책 이용현황, 전자책 선호도 인식, 코로나 전후 대학도서관 및 전자책 이용 비교 항목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Z세대 대학생들의 전자책 이용에는 대학도서관이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코로나19는 Z세대 대학생들의 하루 평균 독서 시간에 유의미한 변화를 주는 등 독서 행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충북도립대표도서관 건립에 관한 도서관 이용과 서비스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of Library Usage and Service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hungcheongbuk-do Central Library)

  • 노영희;노지윤;장인호;고재민;강정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343-361
    • /
    • 2024
  • 본 연구는 충북도립대표도서관의 건립 기본계획을 위한 사전연구로 충청북도 내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과 서비스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문 대상자들은 충북도립대표도서관의 역할 중 지역 도서관 발전 및 도서관 서비스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 및 시행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서 운영 방향으로 선호하는 정보원 유형은 인쇄자료이며, 주제 측면에서는 문학 분야를 가장 높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분야의 도서와 지식정보 제공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과 모랄머신 선호도 요인 분석 (Analysis of Daily Internet·Gaming·Smartphone Habit and Preference Factors of Moral Machine)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1-28
    • /
    • 2020
  •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등의 기술발전으로 사회 전분야에 대변혁을 일으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들의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 정도를 파악하고, 무인자동차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남녀별, 진단군별 선호도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학생 대부분은 인터넷/게임생활습관의 고위험군이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게임에 더 몰두하고 내성이 생겨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었다.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중 하나라도 고위험군 학생들은 인터넷/게임/스마트폰생활 습관 3가지 모두 고위험군일 가능성이 높았으나, 스스로 인터넷/게임/스마트폰 중독이라고 자각하고 있었으며 사용습관을 바꾸기를 원했다. 이들의 모랄 머신 평가결과, 남녀별, 진단군별 선호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무인자동차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선택의 선호도는 남녀, 일반군/고위험군 모두 사람우선, 보행자우선, 소수보다는 다수를, 교통규칙을 잘 지키는 사람을 중시하였다.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이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일반군보다 고위험군 학생들이 사회적 지위가 낮은사람, 젊은이보다 노인을 우선시 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청의 이용실태 및 선호도 연구 (Study on Utilization and Perception of Jochung)

  • 최정희;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79-989
    • /
    • 2015
  • 본 연구는 조청의 이용실태 및 선호도와 대중화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에 거주하는 주부 4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다음과 같다. 평소 가정에서 먹는 단맛의 정도는 적당하다가 52.4%로 가장 많았으며, 주로 사용하는 당류로는 올리고당 34.8%, 설탕 27.0%로 나타났다. 조청을 구입 유무로 72.8%가 구입한 경험이 있었으며, 이유로는 '가족, 친구, 이웃권유'와 '건강'이 높게 나타났다. 사용빈도로 일주일에 1~2회 정도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구매 시 고려사항으로는 '건강'이 49.7%, '맛'이 3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청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로는 '만들기 힘들어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선 방안으로 '다양한 구매처'와 '조청의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 종류별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정도에서는 화학감미료 1.56으로 가장 낮았으며, 꿀이 3.9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청이 3.65로 다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에서는 꿀과 조청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판 조청에 대한 인식도와 선호도에서 대부분 인식도는 낮았으나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청을 음식에 활용하여 접목하였을 때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한과류, 특히 다식에서 4.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시판 조청에 대한 인지도와 기능성 재료를 첨가한 조청에 대한 선호도가 낮았으며, 조청에 대한 인식 및 소비 증대를 위하여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조청 개발과 품질 향상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