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ge experience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28초

폭소노미 태그의 생성과 성장에 관한 연구 - LibraryThing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reation and Development of Folksonomy Tags on LibraryThing)

  • 김동숙;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03-230
    • /
    • 2010
  • 본 연구는 LibraryThing내의 베스트셀러 40권에 대한 태그를 6개월 간격으로 수집하여 폭소노미의 생성과 성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태그의 양적, 질적 성장과 그러한 태그가 갖는 주된 의미와 주제 표현의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이용자 태깅의 동기는 개인의 자료 정리나 검색용도, 욕구의 성취, 감정 표출과 같은 자신을 위한 목적과 타인과 경험을 공유하거나 자신의 행동이 사회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사회성이 강조된 목적으로 구분되며, 사회적 동기가 부여된 태그는 74.12%로 드러났다. 둘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체 태그 수와 이용 빈도수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셋째, 태그의 성장세가 큰 항목은 출판 시기 및 읽은 시기, 장르, 핵심 주제어, 등장인물, 책에 대한 소감 부분이었으며 주제관련 태그의 비율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LCSH 중에서 해당 장르, 핵심 주제어, 등장인물이 다수 부여되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좀 더 세부적인 핵심 주제어와 등장인물이 추가되었고, LCSH와 일치하는 태그의 수도 소폭 상승하였다. 다섯째, 핵심 태그는 해당 시대의 지식을 반영하는 용어 집단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폭소노미가 형태적인 단점을 극복하고, 내적으로 시맨틱 의미를 찾으며, 일대기를 고려한 유동적인 용어집단으로서 기존의 택소노미와 함께 적극 활용되기 위해서는 태그의 생성부터 양적, 질적 성장까지 전 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국내 시각장애인의 의약품 안전사용 실태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Qualitative Study for Medication Use among Visually Impaired in Korea)

  • 구희조;장선미;오정미;한나영;한은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4-32
    • /
    • 2016
  • Objective: The visually impaired have limited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and related information, and thus, they can have serious hurdles against properly taking medications. Despite that it is important to improve self-care ability of the visually impaired for correct medication us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investigating their needs for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particularly focusing on proper medication usage. This study is to explore safety-related issues regarding mediation usage among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in-depth interview. We particularly focus on any obstacles for safe use of medicines including experience on medication-related adverse effects in order to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for policy measures to improve proper medication use among the visually impaired. Methods: Study sample was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who resided in Seoul area and were registered in the National Association of Visually Impaired. The association helped the process of recruiting the study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 for each study participants was conducted. Each interview was recorded and later converted into a written script to extract core contents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of three women (42.9%) and four men (57.1%). One was in his 20's, and there were four participants in 30's and two in 40's. Fully impaired participants were majority (5 out of 7). Limitation to physical access to health care providers and health information were the key factors to hamper safe medication utilization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Difficulty reading medication information and may take the wrong medication or incorrect doses of medication, resulting in serious consequences, including overdose or inadequate treatment of health problems. Visually impaired patients report increased anxiety related to medication management and must rely on others to obtain necessary drug information. Pharmacists have a unique opportunity to pursue accurate medication adherence in this special population. This article reviews literature illustrating how severe medication mismanagement can occur in the visually impaired elderly and presents resources and solutions for pharmacists to take a larger role in adherence management in this population. Conclusion: The visually impaired had difficulties reading medi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ying medicines, and took incorrect doses of medications. Public support for safe medication use and medication management among the visually impaired is necessary.

전국 한방병원의 장기입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4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ong Term Hospitalization in Korean Medical Hospital and Its Affecting Factors - Based on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Report In 2014 -)

  • 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53
    • /
    • 2018
  • Objectives : It was to classify and its affecting factors to the patients of Korean medicine hospital with short term and long term hospitalization. Methods : I focused on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I was conducted on 344 hospitalized patients among the original data of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al report in 2014. Among those patient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long term inpatients(131 patients) and short term inpatients(213 patients) based on 16 days of hospitalization.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izati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long term hospitaliza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of the subjects, the top 21 diseases and the distribution of human bodies, side effects and kinds of Korean medicine. 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hospitalized patients due to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all 21 diseases and institutional fees, experience of Korean medical treatment due to traffic acci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education level, residence, income level, type of medical insurance, whether private insurance, type of medical treatment for Korean medicine, medical expenses for car accidents, reason for dissatisfaction with treatment.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in model 1 where confounding factors were differently controlled. In model 2,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among those who earned 5,000,000 Korean won or more, and among those with nerve diseases.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de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among the unemployed and others in model 2. In model 3,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among those who earned 5,000,000 Korean won or more, and among those with nerve diseases, while the number de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among the married.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hospitalization of patients with Korean medicine hospit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specially it was significant by age, over 5,000,000won Income per month, nerve disease, but decrease significant married.

사용자 특성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의 양가성: 페이스북 이용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통한 고찰 (Facebook Ambivalence by User Characteristics)

  • 이은지;조민하;안홍민;성용준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3-53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페이스북(Facebook)의 이용행태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크게 순기능과 역기능적 측면으로 구분된다. 순기능이란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얻는 사회적 지지, 즐거움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로 인해 페이스북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긍정적 측면을 의미하며, 역기능이란 반대로 이용 시 느끼는 피로감, 짜증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로 인해 페이스북 이용을 중단하는 부정적인 측면을 뜻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의 개별적 특성이 SNS 이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문헌의 결과에 따라, 페이스북 이용자의 특성(인구통계학적 특성, 페이스북 주 활동 특성, 페이스북 이용량 및 이용 빈도 특성)에 따른 페이스북 이용(순기능, 역기능)을 탐색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1)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여성 사용자가 남성 사용자보다 더 큰 페이스북 피로감과 페이스북 중단의향을 보였으며, 40-50대 사용자가 10대 사용자보다 더 큰 페이스북 피로감을 느꼈다. 또한 (2) 주 활동 특성 중 작성자는 관찰자보다 더 높은 긍정정서와 사회적 지지를 느끼고, 페이스북 지속사용의도 또한 높았다. 마지막으로 (3) 사용자의 이용량 및 이용 빈도 특성 중 일평균 사용시간이 높은 사용자는 낮은 사용자에 비해 긍정정서를 높게 느끼고 지속사용의도 또한 높았다. 반면, 일평균 사용시간이 낮은 사용자는 높은 사용자보다 중단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특성별로 이용행태를 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성숙기에 도입한 SNS 시장에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 PDF

근린공간으로서 도심지 쌈지공원의 이용행태와 장소애착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지역의 한평공원 및 한뼘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Usage Behaviors and Place Attachment of Urban SSamji Park as a Neighborhood Space - Focused on Hanpyeong Park and Hanpyeom Park located in Capital Area-)

  • 박훈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707-722
    • /
    • 2019
  • 근린의 개념은 근현대사를 거치며 우리사회에 지역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원리로 활용되어 왔으며, 물리적 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근린의 개념은 역할과 의의에 관해 꾸준히 논의 되어왔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쌈지공원은 근린시설로서 재생을 통한 환경의 개선과 이를 통한 지역 공동체의 확보에 역할을 하였으며, 수도권지역에 조성된 한평공원 및 한뼘공원 총 72개의 답사 조사를 통해 계획적 의의와 함께 설문조사를 통해 쌈지공원 주변 거주민과 이용자의 이용성 및 장소애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집단별로 공원에 대한 장소애착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오늘날 공급되는 주거의 주된 유형의 차이가 생태적 공간을 경험하고자 하는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교육수준에 따라 집단별로 공원에 대한 장소애착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라 집단별로 공원에 대한 장소애착에 차이가 존재하며 이는 이용회수, 체류시간 등에 따른 구체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빅데이터 기반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C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r Behavior of University Library Website based Big Data: Focusing on the Library of C University)

  • 이선우;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49-174
    • /
    • 2019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웹사이트 실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웹사이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1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C대학교 웹사이트에서 이루어진 이용자들의 트래픽을 분석하여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 웹사이트의 분석 툴로는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하였다. 웹 트래픽 변수는 세션, 사용자, 페이지뷰 수, 세션당 페이지수, 평균 세션 시간, 이탈률을 측정지표를 기준으로 이용자 일반적 특성, 사용자환경 분석, 방문 분석, 유입분석, 사이트 분석 5가지로 구분지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이용자 일반적 특성을 분석 결과에서 웹사이트 접속 위치가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일부 접속이 있었다. 2) 사용자 환경 분석에서는 주 이용 브라우저 유형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나타났다. 다음 순위는 크롬이었으며, 3위와 4위인 Safari로 이탈률이 익스클로러나 크롬의 두 배에 달했다. 화면 해상도에서는 1920x1080 해상도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환경에서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유입 매체 분석에서는 직접 유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사이트 분석에서는 총 페이지뷰 수인 4,534,084 페이지 중 최다 페이지뷰를 차지한 페이지는 메인페이지 다음으로 대출/연장/이력/예약 페이지, 학술DB 페이지, 소장자료 페이지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시니어의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 기반 이용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usage decision factors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smart seniors using smartphone delivery applications)

  • 최부헌;문수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9-209
    • /
    • 2021
  •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 애플리케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요인들을 배달앱 특성과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배달앱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50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달앱 특성 중 유용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스마트 시니어의 개인적 특성 중 사회적 공감성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달앱 만족도는 재이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스마트 시니어의 배달앱 만족과 이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 시니어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회적 공감성에 초점을 둔 배달앱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기업상담 대상자의 상담 선택기준에 의한 유형분석: 마케팅 믹스 7P를 근거로 (Types of Workplace Counseling Recipient by Selection Criteria of Counseling Services: Based on Marketing Mix 7p)

  • 김정은;이동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07-3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업상담 대상자를 상담 선택요인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하위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및 상담이용관련 특성, 직무소진, 상담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회사 중 기업상담 서비스를 도입한 회사의 상담 경험이 없는 직원 3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사람·제품 중시 집단', '사람·제품·유통 중시 집단', '사람·제품·서비스전달과정 중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하위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및 상담이용관련 특성, 상담에 대한 태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주로 주니어 계층들은 '사람·제품 중시 집단'에 속해 있고 나머지 두 군집은 시니어 계층들로 구성되었으며, 추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때 상담 받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 집단은 '사람·제품·서비스전달과정 중시 집단'이었다. 또한 하위유형에 따라 직무소진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람·제품 중시 집단'이 가장 직무소진이 큰 것으로 나타나 상담이 시급한 대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하위유형에 따라 중요시 하는 상담서비스 선택요인과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해서 차별화된 홍보 전략을 기획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이 논의되었다.

스킨헬스케어를 위한 미용 왁싱 이용 실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te of Usage and Awareness of Cosmetic Waxing for Skin Health Care)

  • 박채영;박정연;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53-162
    • /
    • 2020
  • 본 연구는 미용 왁싱 이용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여, 미용 왁싱 산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남지역의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연령은 20대가 가장 많았고, 결혼여부는 기혼, 직업은 전문직이 가장 높았으며,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 최종 학력은 고졸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왁싱 시술에 대한 인식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는 직접 경험해 본 제모법은 면도와 왁싱이 높게 나타났고, 왁싱에 대한 인지 경로는 지인, 왁싱을 시술받는 것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왁싱 시술을 하면 위생적이고, 깔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위생, 건강)이 높게 나타났다. 왁싱 시술 장소는 미용 전문샵(네일, 피부, 헤어 등)이, 왁싱 시술 이유는 피부 위생에 효과적이기 때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왁싱 시술을 주로 하는 부위는 겨드랑이와 팔, 다리이고 시술 빈도는 월 2회, 시술 계절은 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시술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국가경제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뷰티산업의 일환으로 미용 왁싱 산업이 동반 성장하기를 기대해본다.

The Role of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in Improving the Future Specialists Professional Training with Usage of Multimedia Technologies

  • Palshkov, Kostiantyn;Kochubei, Olena;Tsokur, Olga;Tiahur, Vasyl;Tiahur, Liubomyra;Filimonova, Tetiana;Kuzminskyi, Anatol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95-102
    • /
    • 2022
  • The article considers the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in improving the future specialists professional training with usage of multimedia technologies by various scientists. Various points of view and approaches to defining the concepts of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and multimedia technologies are identified. The concept of fundamentalization of professional training of a future specialist is based on the goals and functions of fundamentalization and - on the ways and means of achieving it, etc. Most authors agree only in their views that the fundamentalization of education is aimed at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the individual. Others involve the formation of a culture and worldview, increasing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potential, form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a specialist and the potential for further education, and so on. The term multimedia refers to interactive systems that provide processing of moving and still video images, animated graphics, high-quality audio and speech. It is found out that professional training of a specialist by means of multimedia technologies includes not only the activities of the teacher and student, which form the learning process, but also the independent activity of the subject, self-development, assimilation of experience by the subject through analysis, comprehe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field of activity in which he is included. It is reveal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which approaches to the fundamentalization of higher professional education, it becomes possible to fully present theoretical training courses and effectively pass practical training by students, which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raining of future specialist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oretical analysis of scientific views indicates a fairly serious attention of scientists to the problem of professional readiness of specialists and the possibility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preparing for it. At the same time, professional readiness is considered from different positions: as an active state of a person, which manifests itself in activity; as a result of activity; as goals of activity; as a quality that characterizes the attitude to solving professional problems and social situations; as a prerequisite for purposeful activity; as a form of activity of the subject; as an integral formation of personality; as a component of socio-professional culture; as a complex professionally significant neoplasm of the individ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