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ea method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초

N-Dodecanoyl, N-Methyl Glucamine(GL 12)과 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Dynamic Surface Tension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ynamic Surface Tension of GL12 and Anionic Mixtures)

  • 안호정;최규석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01-108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 내에서 생분해도가 우수하고 인체에 mild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GL12와 범용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linear laurylbenzene sulfonate(LAS) 또는 sodium polyoxyethylene(3) glycol lauryl ether sulfate(SLES) 각각 용액의 dynamic surface tension과 이들 계면활성제 혼합용액의 dynamic surface tension이 혼합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 maximum bubble pressure method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salting-cut 효과가 있는 NaCl, CsCl과 salting-in 효과가 있는 요소를 계면활성제 용액에 첨가하여 이들 염들이 용액의 dynamic surface tension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도 연구하였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GL12의 dynamic surface tension은 염의 존재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으나 음이온성인 SLES와 LAS는 크게 영향을 받았다. 또한 GL12/SLES와 GL12/LAS 혼합계에서도 GL12의 함량이 많을수륵 용액의 dynamic surface tension에 대한 염의 영향이 감소하였으나 LAS 또는 SLE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염의 영향은 증가하였다.

  • PDF

Solid SCR용 암모니아 저장물질인 Calcium Ammine Chloride의 합성방법 및 물질분석 연구 (A Study on Synthetic Method and Material Analysis of Calcium Ammine Chloride as Ammonia Transport Materials for Solid SCR)

  • 신종국;윤천석;김홍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99-207
    • /
    • 2015
  • Solid materials of ammonia sources with SCR have been considered for the application of lean NOx reduction in automobile industry, to overcome complex problems of liquid urea based SCR. These solid materials produce ammonia gas directly with proper heating and can be packaged by compact size, because of high volumetric ammonia density. Among ammonium salts and metal ammine chlorides, calcium ammine chloride was focused on this paper due to low decomposition temperature. In order to make calcium ammine chloride in lab-scale, simple reactor and glove box was designed and built with ammonium gas tank, regulator, and sensors. Basic test conditions of charging ammonia gas to anhydrous calcium chloride are chosen from equilibrium vapor pressure by Van't Hoff plot based on thermodynamic properties of materials. Synthetic method of calcium ammine chloride were studied for different durations, temperatures, and pressures with proper ammonia gas charged, as a respect of ammonia gas adsorption rate(%) from simple weight calculations which were confirmed by IC. Also, lab-made calcium ammine chloride were analyzed by TGA and DSC to clarify decomposition step in the equations of chemical reaction. To understand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lab-made calcium ammine chloride, DA, XRD and FT-IR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published data of literature. From analytical results, water content in lab-made calcium ammine chloride can be discovered and new test procedures of water removal were proposed.

병원자료에 근거한 혈액 및 혈액화학 검사항목의 참고구간 설정 (Reference Intervals from Hospital-Based Data for Hematologic and Serum Chemistry Values in Dogs)

  • 권영욱;박선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6-70
    • /
    • 2010
  • Reference interval is critical for interpreting laboratory results, monitoring response to therapy and predicting the prognosis of the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pdate established reference intervals for routine hematologic and serum chemistry values for a population of clinically healthy dogs (range, 1-8 years) seen in an animal hospital. Blood was obtained by venipuncture while animals were physically restrained, and samples were analyzed for 9 chemistries on MS9-5H (Melot Schloesing Lab, France) and 6 hematology on Vet Test 8008 (IDEXX, USA). Data from 105 dogs (52 males and 53 females) for hematology and 113 dogs (37 males and 76 females) for chemistry were used to determine reference intervals using the parametric, nonparametric and bootstrap methods. Prior to analysis, all parameters were tested for normal distribution using Anderson-Darling criterion. Of the 9 biochemical analytes, alkaline phosphat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creatinine, total protein, and glucose concentrations did not fit normal distribution for both original and transformed data. All but eosinophil count satisfied normal distribution for either original or transformed data. Parametric method can be used for origin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RBC, WBC, and neutrophil counts. This technique can also be used for power-transformed values of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and for logarithm of lymphocyte and monocyte counts. Non-parametric or bootstrap method was the preferred choice for the remaining 7 biochemical parameters and eosinophil count as they did not follow normal distributions. All three statistical techniques performed in similar reference intervals. When establishing reference intervals for clinical laboratory data, it is essential to assess the distribution of the original data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interval, and non-parametric or bootstrap methods are of alternative for the data that do not fit normal distribution.

GC/FID에 의한 작업환경중 메틸 이소시아네이트의 분석 (The Determination of Methyl Isocyanate in the Workplace by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 이은정;유철;한영선;조영봉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49-25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the simple and precise sampling and analysis method of methyl isocyanate(MIC) in the work place as their secondary aliphatic amine derivatives by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The urea derivatives are quantitatively and simultaneously derived from MIC with secondary aliphatic amines such as dipropylamine(DPA), dibutylamine(DBA), and dipentylamine (DAA) in methylene chloride. The method is based on sampling glass tube in XAD-2 resin which is coated with secondary aliphatic amines. The samples are desorbed by $2m{\ell}$ methylene chloride and analysed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GC/FID). In the results, the detection limit of the overall procedure and reliable quantity are $0.020-0.027{\mu}g$($1.347-1.740{\mu}g/m^3$(0.529-0.684 ppb) based on a 15 L air volume) MIC per sample. The average desorption efficiencies are 97.96 - 101.23 %. The results of versus storage time are high and stable recovery rates.

  • PDF

Improvement of Biomineralization of Sporosarcina pasteurii as Biocementing Material for Concrete Repair by Atmospheric and Room Temperature Plasma Mutagenesis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Han, Pei-pei;Geng, Wen-ji;Li, Meng-nan;Jia, Shi-ru;Yin, Ji-long;Xue, Run-z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9호
    • /
    • pp.1311-1322
    • /
    • 2021
  • Microbially induced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MICP) has recently become an intelligent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method for repairing cracks in concrete. To improve on this ability of microbial materials concrete repair, we applied random mutagenesis and optimization of mineralization conditions to improve the quantity and crystal form of microbially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Sporosarcina pasteurii ATCC 11859 was used as the starting strain to obtain the mutant with high urease activity by atmospheric and room temperature plasma (ARTP) mutagenesis. Next, we investigated the optimal biomineralization conditions and precipitation crystal form using Plackett-Burman experimental desig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iomineralization with 0.73 mol/l calcium chloride, 45 g/l urea, reaction temperature of 45℃, and reaction time of 22 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mount of precipitated calcium carbonate, which was deposited in the form of calcite crystals. Finally, the repair of concrete using the optimized biomineralization process was evaluated. A comparison of water absorption and adhesion of concrete specimens before and after repairs showed that concrete cracks and surface defects could be efficiently repaired. This study provides a new method to engineer biocementing material for concrete repair.

가열 유무에 따른 참담치(Mytilus coruscus) 추출물 내의 항균 펩타이드 변화 (Vari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 in the Extract of the Hard-shelled Mussel Mytilus coruscus Depending on Boiling)

  • 이지은;서정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875-885
    • /
    • 202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optimal extraction method for antimicrobial peptides from the Hard-shelled mussel. Extractions were performed with two processes including 1% HAc/boiling and 1% HAc/non-boiling methods and used extracts for the comparison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protease stability, action mechanism, AU-PAGE (acid-urea PAGE), and HPLC chromatograms. 1% HAc/boiling extract showed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es both against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um but 1% HAc/non-boiling extract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onl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Treatment of 1% HAc/boiling extract with proteases retained almos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subtilis, but abolished significa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 coli D31. Only 1% HAc/boiling extract showed two discrete clearing antibacterial zones including slow migrating and rapid migrating zones. Both extracts showed strong DNA-binding ability but did not show bacterial membrane permeabilizing ability. In comparison of the chromatogram obtained from C18 or cation-exchange HPLC, the eluted peaks from 1% HAc/boiling extract showed high hydrophobic property or absorbance compared to 1% HAc/non-boiling extract,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the purified antimicrobial peptide was also higher in 1% HAc/boiling extract than in 1% HAc/non-boiling extrac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ive extraction condition for antimicrobial peptides from marine invertebrate is boiling process in a weak acetic acid solution (1%).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이음부 적정 시공안 제안을 위한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for Proposing Proper Construction Method for Joints of Polyurea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 이정훈;김병일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7-8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의 시공 시차별 분석과 열화면에 대한 유지관리 시공 타입별 분석을 통해 시공 이음부위의 적정 시공 방안을 제시하고자 전체 16가지 조건을 대상으로 시공 이음부위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을 통해 시공시차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이음부를 통한 누수발생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프라이머 시공을 통해 누수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시간 옥외 노출된 폴리우레아는 표면이 열화되어 약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부위를 연마할 경우 표면손상이 확대되어 계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유지관리 시공 시에는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동일한 우레아 계열의 재료를 시공하는 것이 방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논토양에서 경운 및 무경운재배시 재배방법별 메탄 배출 양상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Methane Emission in Tillage and No-tillage Practice from Rice Paddy Fields)

  • 고지연;이재생;김민태;강항원;강위금;이동창;신용광;김건엽;이경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6-222
    • /
    • 2002
  • 무경운 재배가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1998~2000년에 걸쳐 식질계 답토양에서 질소비종(요소, 유안, 완효성비료), 시비방법(전층시비, 표층시비), 유기물 시용(볏집시용, 무시용) 및 재배양식(건답직파, 중묘이앙) 등의 다양한 재배조건별 메탄가스 배출량을 경운과 무경운재배에서 조사하였다. 질소비종은 경운유무에 관계없이 유안시비구에서 메탄배출량이 가장 낮았다(요소 대비 26.6~41.1% 저감). 그러나 경운재배에 비해 수량이 낮은 무경운재배에서는 완효성 비료가 메탄배출량이 요소구에 비해 약간 적었고, 수량은 다른 질소비료 시비량이 80% 처리수준에서도 가장 높아 더 효율적인 비종으로 고려되었다. 시비방법에 따라서는 전층시비시 경운구에 비해 무경운구의 메탄배출량이 낮았으나 표층시비시에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볏짚 시용시에는 무경운에 의한 메탄배출 저감 효과가 강조되는 경향으로, 볏짚을 시용하지 않았을 때는 경운 대비 10.7% 저감되었고, $5000kg\;ha^{-1}$시용 시는 26.6% 저감되었다. 중묘이앙 재배시 무경운은 경운에 비해 26.6%의 메탄 배출 저감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건답직파 재배시는 무경운에서 경운보다 메탄배출이 11.2% 증가하였는데 이는 건답직파시 논토양이 완전 담수되는 3엽기 이전에 경운에 의해 토양에 투입된 볏짚 중 상당한 양이 산화적으로 분해되어 $CO_2$로 대기중으로 배출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되었다.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이용(利用)한 합판용(合板用) 접착제(接着劑)의 증량(增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Extending of Plywood Adhesives used Foliage Powder)

  • 김종만;박종열;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3-100
    • /
    • 1979
  • 본연구(本硏究)는 합판용(合板用)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고 있는 도입소맥분(導入小麥粉)을 값이 싸고 대량생산(大量生產)이 가능(可能)한 낙엽분말증량제(落葉粉末增量劑)로 개발(開發)하여 대치(代置)키 위(爲)한 가능성(可能性)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해서 계획(計劃)하고 착수(着手)되었다. 낙엽증량제(落葉增量劑)로 채취가공(採取加工)하기 위(爲)한 수종(樹種)은 침엽수종(針葉樹種)에서 소나무를 택(擇)하였고 활화수종(濶華樹種)에서는 미류나무, 참나무, 푸라타누스를 택(擇)하였으며, 각각(各各)의 낙엽(落葉)을 채취(採取)하여 $100{\sim}105^{\circ}C$에서 24시간동안(時間同安) 전건(全乾)시킨 다음 40 mesh로 분쇄한 분말(粉末)을 증량제(增量劑)로 사용(使用)하였으며, 이와 비교시험(比較試驗)을 위(爲)해서 소맥분(小麥粉)을 사용(使用)하였는데 소맥분(小麥粉)의 분말도(粉末度)는 100mesh의 것을 이용(利用)하였다. 증량방법(增量方法)은 합판접착용요소수지(合板接着用尿素樹脂)와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수종별(樹種別)로 낙엽분말(落葉粉末)과 소맥분(小麥粉)을 각각(各各) 10, 20, 30, 50 및 100%로 증량(增量)하여 합판(合板)을 가공(加工)한 다음 접착력(接着力)을 분석고찰(分析考察)하였다. 본연구(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고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가장 접착력(接着力)이 낮았다.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접착력순위(接着力順位)는 참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이 가장 좋았고 미류나무, 소나무, 푸라타누스낙엽분말(落葉粉末)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였다. 2)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미류나무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이었으며 이들은 모두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보다 접착력(接着力)이 높았다. 미류나무를 제외(除外)하고 접착력(接着力)이 불량(不良)하지만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의 접착력순위(接着力順位)는 소나무, 푸라타누소, 참나무의 순(順)으로 낮아졌다. 3)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3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으며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접착력(接着力)이 급격히 저하(低下)하여 불량(不良)하였다. 4)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50%와 10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만 우수(優秀)한 접착력(接着力)을 보여 주었을 뿐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50%에서만 소나무, 미류나무에서 약(弱)한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었고 기타(其他)의 낙엽분말(落葉粉末)은 박리(剝離)하였고 100%에서는 모든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이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5)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과 같이 소맥분(小麥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이었으며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은 미류나무를 제외(除外)하고 모두 낮은 접착력(接着力)을 나타냈다. 6)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무증량합판(無增量合板),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 순(順)으로 접착력(接着力)이 낮아졌으나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은 미류나무와 참나무를 제외(除外)하고 박리(剝離)하였다. 7)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 30%이상(以上)을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내수접착력(耐水接着力)은 30%와 50%의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에서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었을 뿐 낙엽분말(落葉粉末)은 모두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8)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1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우수(優秀)하였고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은 접착력(接着力)이 낮았으나 그 순위(順位)는 참나무, 미류나무, 소나무 순(順)이었고 푸라타누스에서는 박리(剝離)하였다. 9)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2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맥분증량(小麥粉增量)이 가장 우수히였으나 소나무 낙엽분말합판(落葉粉末合板)이 그 다음으로 급상승(急上昇)하였으며 다음 순위(順位)는 참나무, 미류나무의 순(順)으로 저하(低下)하였고 푸라타누스는 박리(剝離)하였다. 10)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3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나무가 급상승(急上昇)한 접착력(接着力)으로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보다 우수(優秀)하였으나 미류나무, 참나무는 20%증량(增量) 보다 저하(低下)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푸라타누스는 박리(剝離)하였다. 11)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 50%와 100%를 증량(增量)한 합판(合板)의 상태접착력(常態接着力)은 소나무 낙엽분말증량합판(落葉粉末增量合板)과 소맥분증량합판(小麥粉增量合板)이 우수(優秀)한 접착력(接着力)을 보여주고 있는데 반(反)하여 미류나무, 참나무, 푸라타누스등(等) 활엽수낙엽분말(濶葉樹落葉粉末)의 증량(增量)은 박리(剝離)하여 접착력(接着力)이 측정(測定)되지 않았다. 12) 낙엽분말(落葉粉末)의 증량(增量)은 요소수지접착제(尿素樹脂接着劑)에서 미류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을 20%까지 첨가사용(添加使用)할 수 있으며 석탄산수지접착제(石炭酸樹脂接着劑)에서는 소나무 낙엽분말(落葉粉末)을 소맥분(小麥粉)의 증량(增量)과 똑같이 첨가사용(添加使用)할 수 있다.

  • PDF

Homogeneous precipitation method를 통한 나노 YAG : Ce 형광체 합성과 광학 특성 (Synthesis and luminescence characteristics of nano-sized YAG : Ce phosphors by homogeneous precipitation method)

  • 이철우;권석빈;지은경;송영현;정병우;김은영;정몽권;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2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homogeneous precipitation method를 통하여 구형의 단분산(monodispersed) YAG : $Ce^{3+}$를 합성했다. 단분산 YAG : $Ce^{3+}$의 전구체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aluminum ion들이 먼저 석출되어 aluminum 화합물을 형성하고 후에 yttrium 화합물들이 aluminum 화합물들의 표면에서 석출된다. 합성된 전구체를 파우더형태로 얻기 위해 건조과정을 거치는데, oven에서 건조했을 때 보다 동결건조기에서 건조했을 때 비교적 구형의 단분산 YAG : $Ce^{3+}$ 입자를 얻을 수 있었다. 하소 과정에서 공정을 진행하는 온도로서 $1100^{\circ}C$$1200^{\circ}C$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결과 $1200^{\circ}C$의 온도로 상압에서 6시간 동안의 하소 과정을 진행하였을 때 400~500 nm 입자크기를 가진 단분산된 구형의 나노 YAG : $Ce^{3+}$ 입자가 합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