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center declin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확장과 원도심 쇠퇴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제주시 동(洞) 지역을 중심으로 (A Space Syntactic Study on Urban Expansion and Decline of the Old City Center: Focusing on Jeju City)

  • 김성훈;오병삼;최내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4호
    • /
    • pp.81-92
    • /
    • 2021
  • 본 연구는 도시확장이 원도심 쇠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그 가능성을 공간구문론(Space Syntax) 방법론으로 검토하고자 제주읍성 일대의 원도심을 대상으로 도시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시공간구조에 관한 종단적 분석의 시점은 일제강점기부터 현재 사이에 1914년, 1972년, 1982년, 1996년, 그리고 2021년 현재의 5개 시점으로 설정하였다. 도시공간구조 분석은 공간구문론의 ASA(Angular Segment Analysis)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제주시 동지역의 도시구조는 1914년에서 2021년 사이에 큰 변화를 겪어왔다. 도심은 단일핵 구조에서 다핵 구조로 변화하였으며, 원도심이 위치한 구제주 지역은 지리적으로 바다와 접하여, 도시확장이 한라산 자락의 남측으로 편중되어 도시중심부의 위치도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에 따라 제주시 원도심은 도시공간구조의 역동성에 의하여 도시중심부의 중심지에서 주변지역의 하나로 전락하였다. 이와 같이, 도시확장에 의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과정에서 원도심의 도시중심부 이탈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원도심 쇠퇴의 한 요인으로서 도시확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시활력 측정을 위한 생활인구 특성 분석 -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iv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to measure urban vitality - Focusing on mobile big data -)

  • 카마타 요코;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73-187
    • /
    • 2023
  • 본격적인 인구감소 시대에 들어선 가운데 지방 도시들은 사회적 인구 유입도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여 생활인구 유도를 통한 도시 활력 증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동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도 분석을 위해 인구감소 지역인 부산광역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시공간 분포특성을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행정동을 인구증감의 변화 양상으로 유형화한 후, 도시쇠퇴 및 활력 관련 지표를 사용하여 유형별 지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공간 분포특성 분석결과,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 밀도 분포패턴은 대체로 비슷한 패턴을 보였으나, 원도심 지역에서 주민등록인구 밀도가 낮으면서 생활인구 밀도가 높은 반대의 특성을 가지는 지역이 나타났다.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의 변화 양상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주민등록인구는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생활인구는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생활인구 감소 군집에 인접해서 인구증감의 지역 간 격자가 큰 군집이 나타나,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주변 지역에 생활인구가 확산하는 전이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을 시사했다. 유형화 결과, 주민등록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서도 통근·통학 또는 방문으로 인한 활발한 인구 유입이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은 사업체 수의 증가를 유지하고 있어, 산업·경제적 성장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다만 부산의 약 47% 행정동은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가 모두 감소하고 지역 쇠퇴가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역에 대해 우선적인 도시 활력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인한 도시활동의 한계거리 증가와 이동량의 증가로 지역간 교류가 날로 확대되는 점을 고려해 주민등록인구뿐만 아니라 도시계획지표로서의 생활인구 데이터의 활용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HP분석을 이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발전에 대한 정책적 대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y Alternatives to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Using AHP Analysis)

  • 정삼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5권6_3호
    • /
    • pp.1303-1313
    • /
    • 2022
  • Modern cities need to revitalize the downtown area, which is declining due to population decline, economic recession, and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ally, socially, and physically by introducing and creating new functions. In addition, the hollowing out of the existing city center is getting wor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outskirts of the city. Therefore, the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is the core task of modern cities. This study analyzed based on a basic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rough this, the problems of domestic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derived. In addition, the problem factors and major improvement pla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analyzed from the expert's point of view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Based on this, the purpose is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problems derived to present the policy alternativ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ere classified into problems related to goal achievement, problems related to the business itself, and problems related to project results. It was subdivided into sub-categorie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factors and major improvements from the expert's point of view by us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 for the problem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Based on the AHP analysis results and experts' opinions, five policy alternative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presented.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도심재생에의 주민참여수법에 관한 고찰 (The methods of resident participation for community revitalization in civil renaissance)

  • 이지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33-540
    • /
    • 2008
  • Since late 1990's the urban decline phenomenon has risen in most provincial cities in Korea. Many lively discussions have also risen about how to revitalize declined urban center. In small cities, especially resident participation is very important to revive their old vividness. The study then reviewed literatures published from 1995 to 2007 regarding resident participation in urban center revitalization for community reinvigoration. This study consists of four parts. The first part defined concepts of community and of resident participation, and included discussion about resident participation codes. In the second part, the problems about community formation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scrutinized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The third and last parts suggested some propositions and strategies to draw resident participation into urban center revitalization.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 김화환;최형관;이민석;장문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8-135
    • /
    • 2017
  •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방 항구도시의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 여수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hanges of Land Use in the Local Port City - Focused on Yeosu in Jeonnam Province -)

  • 정금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9-16
    • /
    • 2023
  • This study is on the formation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urban space by referring to the literature in Yeosu where is the important location in logistics & transportation and maritime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are many factors and results of the development process in Yeosu by the opening port, railroads, loads and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 process of urban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pace in Yeosu.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urban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in Yeosu where was a small fishing village in the 1910s is largely divided into four processes. Formation: the population increased due to constructions such as of a railroad, a port, and roads and there were many reclamations around the center of the old city center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tagnation: There was no urban development due to stagnation, war, and the Yeo-sun Incident. Exp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Yeocheon Industrial Complex and Gwangyang Steel and other areas around Yeosu led to a surge in Yeosu's population. To cope with this, the city was expanded through three land readjustment projects and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residential complexes. Decline and Remodeling: Yeosu's urban space declined due to the decline of fisheries and the decrease in marine and railway logistics. And the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for hosting the Yeosu World Expo increased the accessibility of the old city center, transforming it into a tourist city using cultural heritage and nature.

Urban Impermanence on the Southern Malay Peninsula: The Case of Batu Sawar Johor (1587-c.1615)

  • Borschberg, Peter
    • Journal of East-Asian Urban History
    • /
    • 제3권1호
    • /
    • pp.57-82
    • /
    • 2021
  • This article examines the urban example of Batu Sawar which served as the capital of the Johor kingdom between 1587 and circa 1615. Around the middle of the eighteenth-century European reference works continued to describe Batu Sawar as the capital of Johor, even though the city had long ceased to serve as a trading center, let alone as Johor's capital, and probably no longer existed. Such observations raise the question of urban impermanence-the transience of sizeable settlements with reference to the Malay Archipelago. Two overarching questions form the backbone of the investigation: First, why did Batu Sawar rise as a regional trading center, and second, what are the reasons that contributed to its decline? Batu Sawar's fate was sealed by a combination of factors that included poor defenses, multiple external shocks, destruction by fire, court politics and rivalry between the early colonial powers.

대도시 도심부의 토지이용 변화 분석: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An Analysis of Land Use Changes in Urban Center of Metropolis: The Case of Daegu City)

  • 임석회;송민정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856-878
    • /
    • 2013
  • 도심은 도시의 성장과 발달 과정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장소이다. 이 연구는 대구시 중구를 사례로 2000년과 2011년 개별공시지가 자료를 활용하여 토지이용 측면에서 대도시 도심부의 최근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심공동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도심부의 주거기능은 여전히 상당한 수준이다. 주거용 토지이용이 크게 감소하지만 상업용 토지이용 역시 감소하고 있어 도심공동화에 따른 도심의 상업기능 약화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업무용 토지는 다소 증가하는 추세로 도심지향적인 업무기능의 구심적 입지가 지금까지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 토지이용 변화는 도심 중핵부보다 주변부에서 더 크게 진행되고 있어 중핵부가 주변부에 비해 토지이용이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그 상황이 다르다. 주변부 도심에서는 주거용 토지의 감소가 뚜렷한 반면, 중핵부에서는 상업용 토지이용의 감소가 두드러진다. 주거용이나 주상복합용, 상업용 토지가 나지 및 기타 용도로 전환되면서 나지와 기타 용도의 토지이용이 증가하고 있어 적극적인 토지이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도심쇠퇴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업무용과 상업용이 주거용이나 주상복합용 토지이용에 비해 집중된 형태를 보이지만, 이들 용도의 토지이용에서도 2000~2011년 사이 평균중심점과 표준편차거리에 큰 변화는 없다. 이는 도심부의 토지이용 변화가 특정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도심부 전체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 PDF

首都圈地域에서 리기다소나무 生長 減少와 잔뿌리의 非正常 垂直分布 (Growth Decline and Abnormal Vertical Distribution of Fine Roots of Pitch Pine in Seoul Metropolitan Area)

  • Rhyu, Tae-Cheol;Kee-Dae Kim;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3호
    • /
    • pp.261-275
    • /
    • 1994
  • 수도권과 그 주변의 33장소의 리기다소나무 숲에서 연륜생장과 잔뿌리의 수직분포를 조사하였다. 생리적 연령이 16년과 20년 사이의 연륜의 생장은 전원지보다 도심지에서 불량하였다. 그리고 최근 5년간 (1985~1989)의 연륜생장은 연령 11년~20년, 연령 21년~30년 및 연령 31년~40년 그룹 모두에서 도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양호하였다. 리기다소나무 잔뿌리의 양은 도심지, 주변지 및 전원지 모두에서 토양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그 양은 전원지에 비해 도심지에서 매우 적었다. 그리고 전원지의 잔뿌리의 수직분포와 비교해 볼 때, 도심지에서 잔뿌리는 토양층보다 낙엽층에 많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낙엽층 속의 잔뿌리 양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이 있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도심지에서 리기다소나무 생장감소는 잔뿌리 생장감소와 잔뿌리의 비정상적인 수직분포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대도시 도심부의 인구변동과 쇠퇴 양상의 변화 - 도심쇠퇴의 이완과 도심회귀 증후의 검토 - (Demographic Change and Easing Shrinkage in Urban Centers of Metropolises)

  • 임석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99-614
    • /
    • 2016
  • 지금까지 도심은 쇠퇴라는 관점에서 문제지역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 대도시 도심부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이 사회적 이슈가 될 정도로 새로운 양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 논문은 1995년 이후 최근 2015년까지 지난 20년 동안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등 6개 대도시 도심부 쇠퇴 양상의 변화를 인구변동 - 인구성장, 인구구조, 전출 입 인구이동, 인구의 사회적 구성 - 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직까지 명확한 도심회귀나 도심부활이라고 할 수 없으나 최근 도심쇠퇴가 이완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서울의 종로구와 중구는 이제 더 이상 도심쇠퇴라고 말하기 곤란하며 지방대도시 도심 가운데는 대구시 중구의 이완 현상이 두드러진다. 도심회귀의 증후가 일부 있으나 여전히 높은 주택 가격으로 미국이나 유럽, 일본과 같은 본격적인 회귀에는 한계가 있다.

  • PDF